• Title/Summary/Keyword: 필기인식

Search Result 313, Processing Time 0.05 seconds

3D On-lin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for Wearable Devices (웨어러블 장치를 위한 3D 온라인 필기인식 시스템)

  • Kim, Minji;Choi, Lyn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100-110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펜 형태 또는 손가락 부착 형태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3D 온라인 필기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3 축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장착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손의 움직임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 기기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3D 필기인식 시스템은 필기 경로를 복원하여 획을 추출하고, 3 차원 공간의 필기문자에서 나타나는 기울임이나 왜곡, 겹쳐 쓰기를 고려한 특징점 추출 과정을 거친다. 추출한 특징점을 2 단계 결정 트리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공간상에서 필기한 알파벳을 인식한다. 10 명의 사용자에게 3 회의 필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총 780 개의 문자를 인식한 결과, 87.69%의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3D Onlin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with Modified 2D Handwriting Recognition Model (개선된 2차원 필기 인식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온라인 필기 인식)

  • Kim Dae Hwan;Rhee Taik Heon;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790-79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온라인 필기의 효과적인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3차원 필기 시 pen-up/pen-down 정보의 구분이 없이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필기하도록 하고 구분의 부정확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를 줄인다. 또한, 기존의 2차원 필기 인식 모델을 개선하여 3차원 필기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인식이 가능하다. 실험 결과 제안된 인식 방법을 통해 pen-up/pen-down 정보의 구분이 없는 3차원 필기 숫자에 대해 $91.6\%$의 인식 성능을 얻었으며, 특히 인식 모델의 개선을 통해 여러획으로 이루어진 글자의 경우 높은 인식 성능의 향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On-line word recognition of continuous English handwriting by mixture of stroke (영문 대문자의 획간 조합 순서를 이용한 온라인 필기의 문자열 인식)

  • 조현철;김우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452-454
    • /
    • 1999
  • 온라인 필기 문자의 경우에는 필기의 변형이 심하고 문자간의 분리가 힘들기 때문에 인식률이 낮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문 대문자의 자유로운 필기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영문 대문자의 필기시에 발생하는 획간 조합의 특징을 사용하여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n Accurate Stochastic Model for the Pen Trajectory-Based OCR (필기영상의 동적 정보 추출 및 인식을 위한 통계적 모형)

  • 신봉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395-397
    • /
    • 2003
  • 온라인 필기 인식기의 필기 모델을 응용하여 오프라인 한글 필기의 필기 궤적을 추적하고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한 온라인 모델은 HMM의 망으로 구성한 조합형 한글 필기 모델 BongNet이다. 그리고 시계열 신호의 길이에 대한 모델이 전혀 없는 표준 HMM 대신 동적인 연속 출력 nonstationary HMM 을 이용한 방법을 기술하였다. 획 추적 계산 과정에는 프레임 동기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HMM의 각 상태는 가능한 필기 궤적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매 시각마다 최종 상태의 후보 중에서 모든 획을 완전히 지나는 경로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본 방법은 문자영상에서 온라인 시계열 코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며 코드와 동시에 인식결과를 출력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Hand Writing Interface-based Calculator Using Sequential Ordering (순차적 정렬을 이용한 필기 인터페이스 기반의 계산기 구현)

  • 강경완;김보중;정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5-25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필기수식의 인식 및 계산을 목적으로 입력 필기수식의 심볼별 분리 및 순차적 정렬 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온라인 필기인식의 특징인 실시간 개념을 이용하여 태블릿 상에서 입력받은 수식의 픽셀별 좌표를 입력받아서 분리 과정을 수행 한 후, 필기순서와 무관한 순차적인 하나의 완성된 수식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통계적 패턴 정합 및 숫자별 특정 가중치를 이용하여 완성된 수식을 인식하고 계산 결과를 출력한다. 본 모듈은 PDA에 임베디드를 목적으로 구현하였으며, 여러 검증과정을 통해 약 98%의 인식률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an On-line Handwritten Hangul Character Recognition by Identifying Relative Positions of Strokes (획 상대 위치 판별을 통한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에 관한 연구)

  • 정진국;김수인;남궁재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4 no.2
    • /
    • pp.65-7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획 상대위치 판별을 통한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글을 구성하는 획을 인식하기 위하여 각 획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의 방향코드를 이용하였으며, 인식된 획들을 바탕으로 각 획들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소를 인식하였다. 온라인 필기체 한글의 경우 획의 모양과 크기가 필기자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하므로 획의 모양보다는 획의 위치를 인식에 더 중요한 자료로 삼아 인식을 행하였다. 6,000자의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문자당 평균인식속도 0.034초, 획 인식률 92.3%와 문자 인식률 94.6%를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서 온라인 필기체 인식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획의 시작 부분과 끝부분의 진행방향이 획인식의 중요 요소임과 획들간의 상대적 위치가 한글 문자 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밝혔다.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Handwri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중학생의 필기에 대한 인식, 실태 및 필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Jeong, Min-Seon;Shin, Na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416-428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handwri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urvey targeting 346 students enrolled in 9 middle schools(Male=172, Female=172, Unknown=2, M=13.5 years old, SD= .94). Interviews, too, were conducted with 12 stud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students' perceptions of handwriting. The analyses of both survey and interview data revealed the following: (1)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believed that handwriting is useful for memory and summarization so as to get a better school grade, including performance evaluations; (2) Man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ir handwriting skills, giving higher scores to their peers' handwriting; (3) 45.7%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mother was the one who taught them how to write for the first time; and 49.7% of them had no learning experience of taking notes; (4) Girls than boys and 1st graders than 2 or 3 grad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handwriting; and (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variables entered in the regression model, including sex, grade, affective attitude toward hands-on activities, physical abilities, time spent using a computer, and perceptions of Korean characte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A Study on Stroke Extraction for Handwritten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을 위한 획 추출에 관한 연구)

  • Choi, Young-Kyoo;Rhee, Sang-Burm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3
    • /
    • pp.375-382
    • /
    • 2002
  •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s classified into on-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and off-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On-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has made a remarkable outcome compared to off-line hac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This method can acquire the dynamic written information such as the writing order and the position of a stroke by means of pen-based electronic input device such as a tablet board. On the contrary, Any dynamic information can not be acquired in off-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since there are extreme overlapping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and heavily noisy images between strokes, which chang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with the result of the preprocessing.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effectively extracts the stroke including dynamic information of characters for off-line Korea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First of all, this method makes improvement and binarization of input handwritten character image as preprocessing procedure using watershed algorithm. The next procedure is extraction of skeleton by using the transformed Lu and Wang's thinning: algorithm, and segment pixel array is extracted by abstracting the feature point of the characters. Then, the vectorization is executed with a maximum permission error method. In the case that a few strokes are bound in a segment, a segment pixel array is divided with two or more segment vectors. In order to reconstruct the extracted segment vector with a complete stroke, the directional component of the vector is mortified by using right-hand writing coordinate system. With combination of segment vectors which are adjacent and can be combined, the reconstruction of complete stroke is made out which is suitable for character recognition. As experiment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itable for handwritten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Off-line Character Modeling using HMM (HMM 기반의 오프라인 필기 모델)

  • Sin, B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37-340
    • /
    • 2000
  • 음성 인식 및 온라인 필기 인식기 모델로 널리 알려진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을 오프라인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성과는 찾아보기 어렵고 인식률도 신경망 등 다른 방법에 의한 시스템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필기 모델 HMM을 오프라인 필기인식에 활용하는 방법 한 가지와 순수하게 오프라인 필기 모델로서 제안된 2D HMM을 기술한다. 두 방법 모두 기존의 HMM 모델링 틀에 기초를 두고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국소 변형을 해석하기 위해 동적 계획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응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독립적인 아이디어 제안에 의의를 두었으며 주요 아이디어만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 PDF

Handwritten Hangul Recognition by Dynamic Lattice Search with Structural Constraints (문자의 구조적 제약과 동적 격자 탐색을 이용한 필기 한글 문자 인식)

  • Kang, Kyung-Won;Kim, Jin-H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59-364
    • /
    • 2001
  • 필기 한글문자 인식은 다양한 필기 변형, 자모 간의 접촉과 같은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랜덤 그래프를 이용한 필기 한글 모델링이 제안되었으나, 상향식 정보처리의 한계인 시간 복잡도 문제를 겪고 있다. 영어 단어인식에 관한 인지과학적 연구에서는 하향식 정보처리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로 인식 과정에서의 계산 중복을 없애는 필터링의 역할을 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랜덤 그래프를 이용한 필기 한글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여 필기체에 나타나는 다양한 변형을 흡수하며, 시간 복잡도를 해결하기 위한 한글 문자의 구조에 바탕을 둔 하향식 정보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모델 발화를 이용한 자모 후보 추출 DP 정합과 동적 격자 탐색을 이용한 문자 후보 탐색, 그리고 문자의 구조적 제약을 이용한 후보 제거 기법을 포함한다. 필기 한글 데이터베이스인 SERI-DB에 대한 예비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인식률의 큰 저하 없이 상향식 정보 처리에 바탕을 둔 기존 방법에 비해 높은 속도 향상을 가져 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