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Handwri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중학생의 필기에 대한 인식, 실태 및 필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Received : 2014.08.18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handwri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urvey targeting 346 students enrolled in 9 middle schools(Male=172, Female=172, Unknown=2, M=13.5 years old, SD= .94). Interviews, too, were conducted with 12 stud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students' perceptions of handwriting. The analyses of both survey and interview data revealed the following: (1)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believed that handwriting is useful for memory and summarization so as to get a better school grade, including performance evaluations; (2) Many of the interviewee stu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ir handwriting skills, giving higher scores to their peers' handwriting; (3) 45.7%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mother was the one who taught them how to write for the first time; and 49.7% of them had no learning experience of taking notes; (4) Girls than boys and 1st graders than 2 or 3 grad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handwriting; and (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variables entered in the regression model, including sex, grade, affective attitude toward hands-on activities, physical abilities, time spent using a computer, and perceptions of Korean characte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s handwriting.

최근 컴퓨터와 스마트 폰 사용의 증가로 학생들의 필기 능력 및 필기 행위 자체가 감소되는 추세에 있다. 이런 변화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필기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그리고 필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 자료는 서울, 인천 지역의 9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46명의 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다(남 172명, 여 172명, 미기재 2명, 평균연령=13.5세, SD=.94). 필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인터뷰는 동일 군 학생 가운데 학년별 남녀 2명씩, 총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식 및 실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기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기억, 암기, 요약, 정리 그리고 성적향상, 수행평가 및 필기 검사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필체에 대해서는 그리 만족하지 않으며 자신보다는 친구들의 필기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최초 필기교육은 어머니로부터 이루어진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45.7%), 절반 정도 학생이 노트 필기 방법에 대해 배운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49.7%). 필기 태도에 대한 설문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년별로는 1학년이 2, 3학년보다 필기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둘째, 만들기, 그림 그리기, 낙서하기를 좋아하는 정서가 높을수록, 그리고 시력, 기억력, 손의 힘 조절 능력이 높을수록 필기 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역시 필기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컴퓨터 사용 시간은 필기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요약하자면, 중학생의 필기에 대한 태도에는 성, 학년, 정서적 태도, 신체적 요인, 컴퓨터 사용시간, 한글에 대한 인식 등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가 중학생의 필기 실태 이해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다루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광오, "한글 필기행동의 연구",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발표 논문집, Vol.3, pp139-146, 1991.
  2. R. Plamondon and S. Srihari, "On-line and off-line handwriting recognition: A comprehensive survey,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22, No.1, pp.63-84, 2000. https://doi.org/10.1109/34.824821
  3. P. Feder and A. Majnemer, "Handwriting development, competency, and intervention,"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Vol.49, pp.312-317, 2007. https://doi.org/10.1111/j.1469-8749.2007.00312.x
  4. W. Ong, 구술문화와 문자문화[Orality and Literacy], 이기우, 임명진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전은 1982에 출판), 2003.
  5. Nicholas Carr,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The shallows], 최지향 역, 서울: 청림출판, (원전은 2010에 출판), 2012.
  6. G. Bounds, "How handwriting trains the brain," Journal of The wall street, 2010.
  7. 정영희, 뇌를 자극하는 손글씨의 힘, 한살림사람들, 121, 2012.
  8. Albertine Gaur, 문자의 역사[A history of writing], 강동일 역, 서울: 새날, 1995.
  9. 김영실, 함은숙, 김용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컴퓨터쓰기와 연필쓰기",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 pp.1-17, 2003.
  10. F. Ryan, "Have computers forced handwriting out of the picture?," Journal of Education World, from http:/www.educationworld.com/a_curr/curr241.shtml, 2000.
  11. 최미셸, "인터넷 도구와 소프트웨어 활용 쓰기 학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343-348, 2013. https://doi.org/10.9728/dcs.2013.14.3.343
  12. 정해동, "뇌성마비 아동의 쓰기 평가 및 특성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5권, 제2호, pp.115-133, 2004.
  13. M. Anne and L. V. Jean, "Handwriting is beneficial to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Journal of FYI Living, 2011.
  14. R. J. Peper and R. E. Meyer, "Generative effects of note-taking during science lectur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8, No.1, pp.34-38, 1986. https://doi.org/10.1037/0022-0663.78.1.34
  15. M. L. Joanne and R. B. Keith, "Factors affecting handwriting," Journal of Family Education, 1999.
  16. A. Lipsett, "Emphasis on neat handwriting stifles creativity, says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 Guardian, Vol.12, No.14, 2007.
  17. 소년 한국일보, 앞서가는 우리학교 행복한 배움터: 서울 후암 초등학교, http://kid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news/200809/kd2008092314330077120.htm&ver=v0022013, 2008.
  18. 김은영, 박승호, "노트 필기훈련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주의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3호, pp.525-543, 2010.
  19. 전명남,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수행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4호, pp.1-28, 2003.
  20. K. A. Kiewra and H. J. Fletcher,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note-taking and achievement," Human Learning, Vol.3, pp.273-280, 1984.
  21. S. W. Vander Stoep and P. R. Pintrich, Learning to learn: The skill and will of college success, NJ: Prentice Hall, 2007.
  22. Medwell, J., & Wray, D, "Handwriting: what do we know and what do we need to know?," Literacy Volume, Vol.41, pp.10-11, 2007. https://doi.org/10.1111/j.1467-9345.2007.00453.x
  23. 권나무, "지식을 구하는 지식에 대한 고민-공책 활용이 고기 낚는 법이 될 수 있는가", 초등우리 교육, Vol.145, pp.122-124, 2002.
  24. V. W. Berninger and H. L. Swanson, Modifying Hayes and Flower's model of skilled writing to explain beginning and developing writing. In E. C. Butterfield & J. S. Carlson(Eds.), Children's writing: toward a process theory of the development of writing skill, Greenwich, CT: JAI, pp.31-56, 1994.
  25. 임지룡, "영어: 영국의 국가교육 과정에 대하여", 한국어 교육학회, pp.75-94, 2002.
  26. 조선일보, "글씨노트 40년 고집 한신초:아이들이 차분해져요",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15/2011081500230.html, 2011.
  27. A. D. Sandler, T. E. Watson, M. Foot, M. D. Levine, W. I. Coleman, and S. R. Hooper, "Neurodevelopmental study of writing disorders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Vol.13, pp.13-17, 1992.
  28. H. Cornhill and C. J. Smith, "Factors that relate to good and poor Handwriting,"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0, pp.732-739, 1996. https://doi.org/10.5014/ajot.50.9.732
  29. 양영애, 이선명, "시지각 능력과 필기속도와의 관계", 대한건강과학학회, 제3권, 제1호, pp.46-60, 2006.
  30. R. Kipling, Assessment: Defining needs and problems, In D. E. Penso(Eds), Keyboard, graphic and handwriting skills: Helping people with motor disabilities. London: Chapman & Hall, pp.23-45, 1990.
  31. D. Thomas, First steps towards handwriting, graphic and keyboard skills. In D. E. Penso(Ed). Keyboard, graphic and handwriting skills: Helping people with motor disabilities. London: Chapman & Hall, pp.11-22, 1990.
  32. 유구종, 정봉숙, "쓰기활동 방법에 따른 유아의 쓰기발달과 자아개념: 컴퓨터로 쓰기와 연필로 쓰기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9권, 제3호, pp.119-148, 2004.
  33. 박한숙, "학습기술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노트 필기 기술", 부산교육학연구, 제15권, 제1호, pp.95-123, 2002.
  34. B. B. Armbruster, Taking notes from lectures. In R. F. Flippo and D. C. Caverly(Eds.). Handbook of college reading and study strategy resear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0.
  35. 이익수, "지각된 관광지 이미지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423-43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2.423
  36. 이수원, "태도에서 감정과 인지성분의 측정", 심리학의 연구문제, 제3권, pp.161-191, 1988.
  37.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38. R. A. Krueger, "Designing and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http://www.comm.umn.edu/-akoerner/courses/5431-S10/Krueger FocusGro upInterviews.pdf, 2002.
  39. K. T. Judi and P. Franklynn, Note-taking Made Easy, Contemporary Books Inc. chicago, 2003.
  40. 손정란, "노트 필기 전략 훈련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강의 듣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응용언어학회, 응용언어학, 제25권, 제1호, pp.1-26, 2009.
  41. 김춘화, "학생들의 수업필기에 중시를 돌린 소감", 중국조선어문, 제11권, pp.54-55, 2007.
  42. 최윤경, "인터넷 중국어 강의에서 노트 필기 과제의 효과성 검증", 한국중국어교육학회, 제17권, pp.293-311, 2013.
  43.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제18권, 제3호, pp.155-181, 2005.
  44. F. Pajares and G. Valiante, "Gender difference in writ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 function of gender orient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26, pp.366-388, 2001. https://doi.org/10.1006/ceps.2000.1069
  45. 박영민, 문광진, "중학생 쓰기 동기의 수준 및 변화 양상 분석",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제9권, pp.95-121, 2009.
  46. 이재승, 신헌재, 임천택, 전제응, "초등학생용 쓰기 동기 검사 도구 개발과 활용방안", 청람어문교육, 제34권, pp.129-159, 2006.
  47. 박영민, "중학생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제26권, pp.337-369, 2006.
  48. F. Pajares and G. Valiante, "Writing self-efficacy and its relation to gender,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competence: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G. Rijlaarsdam, P. Boscolo, & S. Hidi. Writing and Motivation, Oxford: Elsevier, pp.141-159, 2007.
  49. 곽한영, 김주영, "교칙에 대한 태도가 고등학생의 준법행위에 미치는 영향", 법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1-30, 2013.
  50. S. N. Srihari, "Online and off-line handwriting recognition: a comprehensive survey,"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IEEE computer society, Vol.22, pp.63-84, 2002.
  51. 이광오, "한글 필기 행동의 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 제15권, 제2호, pp.1-15,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