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핀 다이오드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TO와 P형 GaN 사이 그래핀 삽입을 통한 발광다이오드의 효율향상

  • Min, Jeong-Hong;Kim, Gi-Yeong;Lee, D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400-402
    • /
    • 2013
  • 육각형 구조를 지닌 2차원의 물질인 그래핀은 높은 열전도도, 투과도, 이동도와 기계적, 화학적 안정도등 많은 장점을 가졌기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핀의 이런 많은 장점으로 그래핀을 투명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투과도와 이동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단층 그래핀을 사용하게 되면 면저항과 그래핀의 탄화문제를 극복하기 힘들어지고, 면저항과 그래핀의 탄화문제를 위해 다층 그래핀을 사용하게 되면 투과도과 이동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즉, 그래핀을 알맞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층 혹은 다층 그래핀을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투과도와 이동도를 가진 단층 그래핀을 기존에 투명전극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ITO와 P형 갈륨나이트라이드 발광다이오드 사이에 삽입층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 투명전극으로 ITO를 사용한 발광다이오드보다 약 45%의 발광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소비전력을 고려한 발광세기는 약 33% 정도 향상되었다. 이런 발광효율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던 이유는 ITO의 단점인 낮은 이동도를 그래핀의 높은 이동도로 보상해주며, 그래핀의 높은 투과도 때문에 그래핀을 한 층 더 삽입하였지만 투과도 면에서 감소가 없었기 때문이다.

  • PDF

Reconfigurable Polarization Patch Antenna with Y-Shaped Feed (Y형태의 급전 구조를 이용한 편파 변환 재구성 패치 안테나)

  • Lee, Da-Ae;Sung, Youngj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5 no.1
    • /
    • pp.1-9
    • /
    • 2014
  • In this paper, a reconfigurable polarization patch antenna that uses a Y-shaped feed is proposed. The proposed antenna consists of a square patch, a Y-shaped feeding structure, a PIN diode, and a bias circuit for diode operation. The structural symmetry/asymmetry of the feeding structure is determined by the on/off operation of the PIN diode that inserted into the side of one of the lines of the Y-shaped feeding structure. For the proposed reconfigurable antenna, the two microstrip lines of the feeding structure have the same length when the PIN diode operates in the on state, and the antenna exhibits linear polarization(LP).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N diode operates in the off state, the length of one side line of the feeding structure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other line. Therefore, the antenna exhibits circular polarization(CP).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proposed antenna exhibits good impedance matching and axial ratio. In addition, polarization switching can be easily achieved in the same operating band.

A Reconfigurable Antenna for Quad-Band Mobile Handset Application (4중 대역을 포함하는 휴대폰용 재구성 안테나)

  • Park, Young-Keun;Sung, Young-J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3 no.5
    • /
    • pp.570-582
    • /
    • 2012
  • In the communication, a reconfigurable antenna using two PIN diodes is presented for quad-band(GSM900/GSM1800/GSM1900/UMTS) mobile handset applications. The proposed antenna has a size $45{\times}11{\times}6mm^3$. By independently adjusting the on/off states of two PIN diodes located on the radiating element, the proposed structure can be operated in the PIFA and loop mode, respectively. The PIN diodes are replaced by conducting tape in order to verify the concept. In regards to the fabricated reconfigurable antenna, when operating in the PIFA mode, th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e 7 dB bandwidth is 8.62 %. which covers the GSM900(880~960 MHz) band. When operating in the loop mode, th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e 7 dB bandwidth is 26.36 %, which covers the GSM1800(1,710~1,880 MHz), GSM1900(1,850~1,990 MHz), and UMTS(1,920~2,170 MHz) bands, respectively.

Square Patch Antanna with Switchable Polarization Using Spur-line and PIN Diode (Spur-line과 PM Diode를 이용한 편파변환 특성을 갖는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

  • Jang Tai-Un;Sung Young-Je;Kim Young-Si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5 no.12 s.91
    • /
    • pp.1178-1183
    • /
    • 2004
  • In this paper, a novel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switchable polariza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antenna has a simple structure, consisting of a square radiating patch, a pair of L-type spur-lines, and a microstrip line feed. It can produce either linear polarization or circular polarization by setting the diode on or off From the measured results, low cross polarization levels when operated in the linear polarization, and good axial ratios in the circular state have been observed.

OLED소자를 위한 그래핀 투명전극에 대한 연구

  • Kim, Yeong-Hun;Park, Jun-Gyun;Jeong, Yeong-Jong;No, Y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237.1-237.1
    • /
    • 2015
  • OLED의 낮은 외부 광자 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광층은 물론 전극 재료에 대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분야에서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전자소자의 투명전극으로는 인듐산화물(ITO, Indium Tin Oxide)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ITO의 주원료인 인듐(Indium)은 희소성으로 인해 앞으로 30년 후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어 ITO를 대체할만한 투명전극 재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인듐이 포함되지 않은(Indium-free) 투명전극을 개발하려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 중인데, 본 연구에서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 유연기판 상에 그래핀(Graphene)을 투명전극으로 구현하여 OLED의 효율을 높이는데 이용하고자 하였다. 화학 기상 증착(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Cu 호일 위에 그래핀을 성장시킨 후 PEN 유연기판에 전사하여 그래핀 투명전극을 구현하면서 그래핀 성장층을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분하여 성장시켜 각각의 투명전극을 구현해보았다. 유연기판 상의 그래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라만 분광(Raman Spectroscopy) 분석을 이용하여 그래핀 고유의 라만 꼭지점(Raman peak)인 G 꼭지점(G peak: 1580 cm-1), 2D 꼭지점(2D peak: ~2700 cm-1)을 확인하였는데 그래핀 전사 상태가 양호하여 D 꼭지점(D peak: ~1360 cm-1)은 나타나지 않았다. 원자힘 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e) 분석을 통해 다층 및 단층 그래핀 표면의 거칠기(Roughness) 및 두께(Thickness)를 각각 확인할 수 있었고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ible Spectroscopy) 분석으로 그래핀 투명전극과 유연기판의 투과도(Transmittance)를 분석하였으며, 단층 그래핀 투과도가 90%수준의 높은 값이 나타나 ITO보다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그래핀 면저항은 TLM(Transmission Line Measurement)법을 통해 측정하였는데, 단층 그래핀의 경우 $800{\Omega}/{\square}$ 내외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자외선 영역에서 높은 투과도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그래핀 투명 전도성 전극 구조를 제안하고, 나아가 가시영역에서 ITO를 대체할 수 있는 투명 전도성 전극 물질을 개발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의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투명 전도성 전극을 구현하였다.

  • PDF

Study on the wettability of precuesor solution for MoS2 film by spin coating (스핀코팅에 의한 MoS2 박막 합성을 위한 전구체 용액의 젖음성에 관한 연구)

  • Kim, Min-Gyeong;Park, Yeong-Bae;Lee, Gy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05a
    • /
    • pp.160-161
    • /
    • 2015
  • 탄소 원자들이 육각형의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그래핀은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며,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열전도율이 높으며,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며,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가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핀의 이러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은 에너지 밴드 갭이 없는 그래핀의 전자구조에서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밴드 갭이 없는 그래핀은 반도체가 아닌 준금속의 특성을 보이며, 전자산업의 핵심소자인 트랜지스터로의 상용화에 큰 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그래핀 이외의 2D 물질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가운데 최근 $MoS_2$과 같은 Transiton-Metal dichalcogenide(TMD)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TMD 중 대표적인 물질인 MoS2는 단일 층이 직접 전이 밴드 갭을 가진 반도체로서 전자회로와 발광 다이오드에 이용될 잠재적 가능성을 가진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MoS2 박막 형성을 하기 위해서 대면적이고 저비용으로 만들 수 있는 spin coating을 이용하려고 한다. spin coating을 이용하여 박막을 얻기 위해서는 좋은 wettability가 필수적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용액, 전처리에 따른 wettability를 비교한 후, 열처리를 하여 그 표면을 관찰하고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 PDF

Thermal Characteristics of a Heat Sink with Helical Fin Structure for an LED Lighting Fixture (헬리컬 핀 구조를 가진 LED 조명용 히트싱크의 열 특성)

  • Kim, Young-Hoon;Yim, Hae-Dong;O, Beom-Ho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5 no.6
    • /
    • pp.311-314
    • /
    • 2014
  • In this paper, we design a helical fin structure for the heat sink for a high-power LED lighting module, and analyze its thermal properties. By means of the helical fin structure, we can obtain about 14% larger surface area for the limited volume and it can decrease the LED chip temperature by about 12%. Because this helical fin heat sink has 15% less total volume than a conventional one, we can also expect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due to these structural properti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Electronically Scanned TACAN Antenna (이동형 전자식 TACAN 안테나 설계 및 구현)

  • Park, Sang Jin;Koo, Kyung He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6 no.1
    • /
    • pp.54-62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an electronically rotated Tactical Air Navigation(TACAN) antenna using parasitic elements and PIN diode switches. We used parasitic elements arranged in a circular array and PIN diode switches to electronically rotate the antenna instead of employing a mechanically rotated antenna using motor. The antenna'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features to generate the cardioid pattern and nine-lobe pattern including bearing information are described and simulated. The measured result shows a very good agreement with simulation and meets the specification of MIL-STD-291C.

A Study for Faliure Examples Involved Diode, Thermo Sensor and Wiring Short of Electronic Control A/C System in a Vehicle (승용자동차 전자제어 에어컨 장치의 다이오드, 써모센서와 배선단락에 대한 고장사례 고찰)

  • Lee, IL Kwon;Kook, Chang Ho;Ham, Sung Hoon;Lee, Jeong Ho;Moon, Hak Hoon;You, Chang Bae;Hwang, Han Sub;Lim, Chun Moo;Jung, Dong Hwa;Na, Yun W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5
    • /
    • pp.83-8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for a failure examples producing in electronic control air conditioner in vehicle. The first example, it looked for the repetitive fuse cutting phenomenon that the diode using for a surge voltage prevention of inner A/C relay damaged because of no absorbing the surge voltage by short of diode when the A/C is off. The second example, it knew the icing phenomenon of evaporator that the A/C ECU didn't control the A/C because of inner cutting of fin thermo sensor. The third example, it verified the operation trouble phenomenon because of the A/C switch and for sensor burned in flames by short phenom enon when the sheath of the cable has peeled off. Therefore, the driver have to manage the optimism system of a car by thoroughgoing inspection and improvement the failure phenomenon.

효과적인 일함수 조절을 위한 그래핀-고분자의 적층 구조

  • Cha, Myeong-Jun;Kim, Yu-Seok;Jeong, Min-Uk;Song, U-Seok;Jeong, Dae-Seong;Lee, Su-Il;An, Gi-Seok;Park,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10-210
    • /
    • 2013
  • 그래핀은 뛰어난 기계적, 화학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2차원 물질로, 대면적 합성법과 전사 공정을 통해 다양한 기판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차세대 전자 소자로 활용하기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태양전지의 전극과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채널로 적용한 연구에서 우수한 결과들을 보이고 있다. 특히, 금속/금속 산화물 전극은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할 뿐 아니라 일함수가 고정되어 쇼트키 접촉이 형성되면 저항을 낮추기 어렵지만, 그래핀은 금속/금속 산화물 전극보다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일함수의 조절이 가능해 옴 접촉 형성에 용이하다. 그래핀의 일함수를 조절하는 연구는 크게 공유결합과 비공유 결합을 이용한 방법이 시도된다. 공유 결합을 이용한 방법은 합성과정에서 그래핀의 구조에 내재된 결함 혹은 새로운 결함을 형성하여 다른 원소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그래핀의 결함 영역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그래핀 전자 구조의 높은 수준 조절을 위해선 그래핀 구조의 파괴가 동반된다. 반면, 비공유 결합을 이용한 방법은 전하 이동 도핑 효과를 이용해 그래핀의 전자 구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금속/금속산화물/기능기와 그래핀의 적층으로 복합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금속/금속 산화물과의 복합구조는 안정적인 p-형 도핑이 보고되었지만, n-형 도핑은 대기중의 수분, 산소 그리고 기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대기중에서 불안정해 추가적인 피막공정이 요구된다. 기능기를 이용한 적층 구조는 그래핀과 기판사이의 상호작용 혹은 그래핀 전자 구조를 다양한 기능기를 이용해 제어하는 것으로, 이극성을 가진 자기정렬 단일층(self-assembled monolayers)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공간기(spacer)의 길이나 말단기(end group)의 종류로 p-형과 n-형의 도핑 수준을 제어할 수 있지만, 흡착기(chemisorbing groups)의 반응성이 기판의 화학적, 물리적 표면상태에 의존하기때문에 기판 선택이 제약되며 전처리 공정이 요구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판에 적용가능한 용액 공정을 이용해 그래핀과 고분자를 적층하였고,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일함수를 낮추는 구조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