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핀테크 산업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핀테크 사업 분야별 현황과 한국형 핀테크 산업 성장 방향 모색

  • Park, Hye-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2
    • /
    • pp.73-78
    • /
    • 2016
  • 본고는 국내외 핀테크 사업 영역별 현황을 알아보고, 국내 핀테크 산업의 향후 성장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되는 핀테크 사업 영역별로 국내외 시장을 간략히 살펴보고, 글로벌 시장에서 각광 받고 있는 분야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목적인 한국형 핀테크 산업 성장방향에 대한 제언을 위해 국내 핀테크 산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1)국내 핀테크 사업 영역별 시장 매력도를 조망하고, (2)한국형 핀테크 산업 성장을 위한 산업 구조적 지향점 및 (3)국내 핀테크 산업 성장을 위한 선결 과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였다.

Bright Sides of Financial CVC in Start-up Screening and Monitoring : Evidence from Fintech Industry

  • Bae, Sang-Cheol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91-195
    • /
    • 2020
  • 최근 벤처 캐피탈의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핀테크 산업의 투자가 괄목할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 핀테크는 금융과 기술의 만남이라는 관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핀테크 업체는 기존 전통 금융기관이 가지고 있는 Pain Point를 공략하여 혁신을 주도 해 나가고 있다. 결제, 송금 등에서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있으며, 자산 관리 분야에서도 편리한 투자 솔루션을 낮은 수수료 체계하에서 제공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가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적이다. 이러한 핀테크 스타트업의 성장 추세에서 어떠한 요인이 기업 가치에 가장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개념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한국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규제로 인해 글로벌 업체 대비 발전에 저해가 되는 제도적인 문제가 있어 성장성을 보이는 업체가 제한되어 있고, 글로벌의 경우도 의미있는 핀테크의 성장은 최근 2~3년내에 빠르게 변화한 상황으로 관련 연구가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20년 1분기까지의 글로벌 핀테크 업체를 대상으로 어떠한 요인이 기업 가치 증대에 가장 의미있는 영향을 주고 있는지 파악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금융 CVC 투자 여부, CEO의 학력, 사업 지역, 핀테크내 세부 산업 분류 등의 요인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핀테크 산업 성장을 견인 할 수 있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국내·외 핀테크 서비스 및 정책 동향 분석

  • Park, Byeong-Ju;Choe, Seul-Gi;Kim, Deuk-Hun;Gwak, 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3-10
    • /
    • 2017
  • 핀테크는 금융과 ICT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를 칭하는 용어로 글로벌 ICT 기업 또는 금융기관이 확보중인 폭넓은 사용자층을 기반으로 송금, 결제, 대출, 자산관리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를 말한다. 국내 핀테크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한 간편결제 서비스가 핀테크 서비스 산업 중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관련 정책 또한 2015년 6월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 폐지 등 핀테크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발효되고 있지만, 많은 규제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핀테크에 대한 국외 동향으로는 페이팔(Paypal), 알리페이(Alipay), 트랜스퍼와이즈(TransferWise) 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모바일 디바이스만을 중심으로 한 간편결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금융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핀테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핀테크의 개념과 발전 배경 등에 대해 설명하고, 국내 외 핀테크 서비스 및 정책 동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국내 핀테크 서비스 발전 방향에 대하여 제안한다.

Review of Fintech and Bigdata Technology (핀테크와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리뷰)

  • Choi, Gi Woo
    • The Journal of Bigdata
    • /
    • v.1 no.1
    • /
    • pp.77-84
    • /
    • 2016
  • We investigat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ntech has become a major issue. Through this, we believe that the essence of Fintech are platform business and market occupancy. To success Fintech business, the price of Fintech services needs to be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financial services. The solution is to take advantage of big data and big data analysis. Finally, we think only a win-win cooperation with Fintech startups and financial companies in the direction we need to go.

  • PDF

Study on the FinTech activation plan: The U.S., China, and Korea's Regulations (핀테크 활성화 방안 연구: 미국, 중국, 한국의 규제 현황 중심으로)

  • Kim, Sang-Won;Im, Seokji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9 no.4
    • /
    • pp.29-35
    • /
    • 2021
  • Fintech, a new form of financial industry that converges IT, is developing rapidl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China. The U.S. and China lowered barriers to entry through deregulation to develop and expand the fintech industry, and, for example, encouraged startup companies to incorporate various ideas through negative regulations that are more relaxed or do not apply regulatio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U.S. and China did not apply existing financial regulations to the fintech industry, providing an environment where fintech startups could grow more easily. Currently, in Korea, fintech technologies such as 'Samsung Pay', 'Toss' and 'Kakao Pay'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activated, and also their scale is expanding. Although various systems are being reorganized and regulated for the development of Fintech, Fintech's growth rate is slow due to unfriendly and unopened regulations in the financial sector and various markets.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fintech, focusing on advanced fintech and Korea, and examines fintech-related regulations that hinder the development of the fintech industry. We propose a more flexible way of easing excessive regulation in the financial sector, such as post-regulation.

An Exploratory Study on Fintech Regulations and Start-ups: Focusing on the US, China, and Korea Cases (핀테크 산업 규제와 스타트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국, 중국,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Jeon, Seongmin;Pak, Do H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1
    • /
    • pp.45-57
    • /
    • 2020
  • Among the fintech businesses that are actively developing around the world, payment and settlement are the most prominent. Korea has a well-developed IT industry and a good existing card payment environment, however, its innovative movement is overwhelmingly s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in the fintech. In this study, we try to assess the regulations on fintech and their impacts on the startup ecosystem by comparing the cases of U.S., China, and Korea. We have found that bo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lowered barriers to entry for the newly launched fintech industry, allowing startups and IT companies to start fintech businesses at the existing financial sector. Particularly the implementation of predictable regulations in U.S., and the failure to apply the financial regulations in China, help start-up companies' growth in the fintech industry. This finding provides us with a lesson that current positive regulations in Korea should gradually change into negative regulations, and predictable regulations that strictly enforce post-management except major items rather than pre-approval. Th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with the perspective of start-ups in fintech industry.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Fintech on the Banking and Savings Banking Industries in Korea (핀테크 등장이 은행 및 저축은행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unhee;Song, Joonhy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271-282
    • /
    • 2022
  • The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the emergence of Fintech on the banking and savings banking industries in Korea. From the analysis, we find that net interest margin decreases and credit supply increases with the advent of Fintech in the banking industry. Similarly, in the savings banking industry, a profitability index decreases.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reduced monopoly power and increased efficiency in the industries, inducing an increase in overall consumer benefits. Individual financial institutions may, however, experience difficulties such as reduced profitability and increased Fintech investment costs.

Countermeasure and Security Vulnerability of Fintech Services (핀테크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과 대응방안)

  • Park, Jeong-Guk;Kim, In-Jae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22 no.5
    • /
    • pp.36-45
    • /
    • 2015
  • 금융과 IT의 융합을 의미하는 핀테크(Fintech) 열풍이 전세계적으로 뜨겁게 불고 있다. 핀테크를 통해 신기술들이 금융 산업 전반에 융합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금융서비스가 등장하고 기존의 금융 시스템들이 가져왔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 규제 완화와 이용자 편의성을 위한 각종 절차의 간소화 그리고 채널 서비스 기술간의 융복합이 일어나는 환경에서 제공되는 핀테크 서비스의 안전성에 대해 우려가 있다. 핀테크 시대에 정보보안은 성장의 인프라이며 금융상품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므로 보안리스크의 정량화와 단계별 통제 방안을 수립하고 사용자 인증, 결제정보 보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보안 등 필요한 보안요소를 사업모델에 맞게 적용함으로써 편리성과 보안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안 관점에서 핀테크의 서비스의 특징과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관련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Essential Technical Patent Extraction Method Associated with Fintech Based on Text Mining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핀테크 연관 핵심 기술 특허 추출 방법)

  • Lee, Hwangro;Choi,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219-1222
    • /
    • 2015
  • 금융과 IT가 융합되는 핀테크(Fintech)가 IT산업과 금융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핀테크 기술에 대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유사한 연관 기술을 도출하는 것은 관련 사업자가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해 준다. 하지만 핀테크와 같이 단 기간 내에 기술에 대한 파급 속도가 빠르게 일어나며 산업전반에서 기술선점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는 경우 특허 데이터베이스만으로 유사기술을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이슈화되는 기술 중 그 성장세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등록된 특허만으로는 연관 기술 영역을 파악하는 일이 번거로운 상황에서 기사 분석을 통해 연관 기술 키워드를 추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핀테크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결제, 보안, 사용자환경에 대한 연관 기술 키워드를 기사 내용에 포함되는 단어의 빈도 분석을 통해 추출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기술 키워드를 이용하여 실제 특허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특허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핀테크와 관련성이 매우 높은 연관 핵심 기술 특허를 도출하였다.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Fintech using Topic Modeling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핀테크 기술 동향 분석)

  • Kim, TaeKyung;Choi, HoeRyeon;Lee, H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1
    • /
    • pp.670-681
    • /
    • 2016
  • Recently, based on Internet and mobile environments, the Fintech industry that fuses finance and IT together has been rapidly growing and Fintech services armed with simplicity and convenience have been leading the conversion of all financial services into online and mobile services. However, despite the rapid growth of the Fintech industry, few studies have classified Fintech technologies into detailed technologies, analyzed the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of major market countries, and supported technology planning. In this respect, using Fintech technological data in the form of unstructured data, the present study extracts and defines detailed Fintech technologies through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hereafter, hot and cold topics of the derived detailed Fintech technologies are identified to determine the trend of Fintech technologies. In addition, the trends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USA, South Korea, and China, which are major market countries for major Fintech industrial technologies, are analyzed. Finally, through the analyses of networks between detailed Fintech technologies, linkages between the technologies are examined. The trends of Fintech industrial technologies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in the area of the Fintech industry and Fintech related enterprises' establishment of technology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