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핀터레스트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소셜 미디어 적소분석 연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핀터레스트, 트위터의 이용자 충족을 중심으로 (Niche Analysis in Social Media with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ppply in Facebook, Instagram, YouTube, Pinterest, Twitter)

  • 차현주;권상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89-107
    • /
    • 2021
  • 본 연구는 주요 소셜(social) 미디어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핀터레스트, 트위터에 대한 적소분석을 통해 어떠한 경쟁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적소이론을 활용하여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24명의 이용자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관계성, 사회성, 편의성, 일상성, 오락성 등 5가지 차원의 공통요인을 추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적소이론을 이용한 미디어의 적소폭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이 사회성(.627) 및 편의성(.636)에서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유튜브는 일상성(.670)과 오락성(.615)에서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스타그램은 관계성(.520)에서 적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적소중복의 경우, 페이스북과 유튜브 간의 경쟁이 관계성(1.826)과 사회성(2.696)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핀터레스트와 트위터 간의 경쟁은 일상성(1.937)과 오락성(2.263)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쟁을 보였으며, 유튜브와 트위터 간의 경쟁은 편의성(2.583)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경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적소이론을 이용한 미디어 간의 경쟁우월성을 비교한 결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유튜브는 핀터레스트와 비교하여, 관계성, 사회성, 편의성, 일상성, 오락성에서 경쟁적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유튜브는 트위터에 비해 일상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경쟁적 우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난 이미지의 속성과 사용자 만족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Images in Image-based SNS and User Satisfaction - Focusing on Instagram and Pinterest -)

  • 윤지선;류한영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13
    • /
    • 2019
  • SNS는 서비스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발전을 거듭해왔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이나 핀터레스트와 같이 이미지를 중심으로 소통하는 이미지 기반 SNS가 3세대 서비스로 떠오르면서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이미지 기반 SNS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소통한다는 특징 때문에 이미지의 활용 방식에 있어서도 다른 서비스들과는 차별 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특징에 주목하여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다양한 속성을 살펴보고 사용자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각 속성들이 서비스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살펴본 이미지의 속성은 '자기지시성', '기록성', '정체성 표현', '간접 경험', '일회적 유희성', '욕망 생산' 과 같이 6가지였다. 사용자들의 6가지 속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기록성과 간접 경험을 비교적 높게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각 속성에 대한 인식은 사용자의 연령, 이미지 기반 SNS의 사용 동기, 보유한 팔로워 수와 같은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미지의 속성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간접 경험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경험은 실제 이미지 기반 SNS의 이미지에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고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속성으로 밝혀져, 이미지 기반 SNS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속성으로 이해해볼 수 있었다.

온라인 쇼핑몰의 해외시장 성과향상을 위한 이미지 기반 SNS 마케팅 채널의 활용방안 : 핀터레스트 활용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Image-Oriented SNS Marketing Channel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Online Shopping Malls : Pinterest Case Analysis)

  • 신설희;강보현;김상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7-396
    • /
    • 2014
  • There is a phenomenon that the consumers from all over the countries are using the Korean online shopping malls, which has settled as a distribution industry. To get the attention of the consumers from other countries, the marketing strategy is important in order for the online shopping malls to go advance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the Pinterest, which is a shopping-orient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based on the image content. The Pinterest is a valuable online shopping mall marketing channel.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growth and feature of service, the existence of the mega SNS as a center in the social business is to see how Pinterest is targeting a niche market. As a result of this study, Pinterest has the advantage against other SNS for joining with online shopping malls because a tendency of the traffic referrals from Pinterest is increasing and the average of the cost of the purchase is high. Therefore, this study is reflecting various cases of utilizing the online shopping malls. In conclusion, Pinterest represents an illustrative case of effective marketing channel of the online shopping malls.

국내·외 SPA 브랜드의 이미지 기반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 및 이용자의 이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Types and User's Preference on Image-based Fashion Cu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 김지우;오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7-488
    • /
    • 2016
  •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types of images posted on official accounts operated by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on Instagram and Pinterest, which are image-based fashion curations, and performed a survey on preferred image types in the fashion curations of SPA brands. It aims to induce active apparel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hrough the suggestion of image types about fashion cura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fashion brands and consumers. The survey to targets the 20s and 30s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23, 2015 until November 22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paired t-test. The above imag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previous studies: product images, brand images, lifestyle images, multiple imag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lso divided into four factors in line with the classification of image types. Generally, foreign SPA brands(H&M, Uniqlo, Zara) used image-based fashion curation services more frequently than domestic SPA brands(8Seconds, Mixxo, Spao, Tngt). The analysis of image types in the fashion curations of SPA brands showed that product imag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images used in the official accounts of SPA brands. However, the comparison of averages on the preferred image types of survey respondents showed that the users who had once visited the official accounts of SPA brands on Instagram and Pinterest preferred in the order of lifestyle information > product information > brand information > multiple information provided by SPA brand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