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혁류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5초

동북.내몽골지역 중국소수민족이 착용한 모피와 피혁류 복식의 유형과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othes of Fur and Leather Worn by Chinese Minority Races in the Northeastern Regions of China and Inner Mongolia)

  • 고순희;장현주
    • 복식
    • /
    • 제60권4호
    • /
    • pp.58-7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ur and leather clothes of minority races of China in Northeas and Inner Mongolia.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the clothes and ornam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headwear, clothes, footwear, and accessories. First, headwear was divided into animal head-shaped, petal-shaped, round-shaped, and cone-shaped head wear. Among them, the animal head-shaped headwear was made by making the best use of the shape of animal's head and it was used as the best disguising method when hunting. Second, clothes were composed of upper garments and lower garments. For the upper garments, Po and Jeogori were worn and pants were worn for the lower garments. The clothes were decorated with lining, applique, or top-stitching on the outer collar, neck circumference, and the edge of sleeves and pants. Third, for the footwear, high boots of leather were developed to meet the needs for a convenient life in the plains. In some areas, fur shoes and leather shoes were also used. Finally, accessories included bags and gloves. Bags were usually decorated with fur on the outside or with a fringe or applique of tanned leather. Gloves were lavishly decorated with embroideries and partly with fur or leather.

셰이빙 스크랩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계 공중합체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Peptide Based Copolymer from Shaving Scrap)

  • 박민석;신수범;김호수;김민수;김하선;장재혁;이진규;이동국
    • 공업화학
    • /
    • 제33권6호
    • /
    • pp.581-587
    • /
    • 2022
  • 피혁 산업은 매년 여러 유형의 유해한 피혁 폐기물을 발생시킨다. 그중에서, 셰이빙 스크랩은 크롬이 함유되어 있어 재활용하기 어렵다. 최근에 셰이빙 스크랩을 이용한 흡착제, 충전제 및 가금류 사료와 같은 다양한 부가가치 제품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셰이빙 스크랩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를 추출하고, 이들의 물성을 개선하여 새로운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셰이빙 스크랩에 포함된 크롬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여 농축 및 저온 결정화를 통해 정제하였다. 정제된 콜라겐 펩타이드 농축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추출 및 정제된 콜라겐 펩타이드와 methacrylic anhyride (MAA)를 반응시켜 이중결합을 도입하였으며, 1H 핵자기공명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개질화 콜라겐 펩타이드에 2-ethylhexyl acrylate (2-EHA)와 레독스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만들었으며, 적외선 분광분석으로 그라프트 여부를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피혁 폐기물인 셰이빙 스크랩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를 추출한 후 일정한 처리를 통하여 새로운 친환경 재료로 전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기도 B 지역 학교폐기물의 성상 및 물리∙화학적 특성 (The Composition and Physico-chemcal Characteristics of school waste in B area, Kyunggi-do)

  • 이건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1호
    • /
    • pp.70-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B지역 학교 폐기물의 성상 및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것은 폐기물 재활용 및 자원화시설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학교폐기물의 물리적 조성의 실험결과 음식 쓰레기 12.25%, 종이류 56.26%, 플라스틱과 비닐류 9.26%, 섬유 1.52%, 나무 3.70%, 고무 및 피혁류와 기타는 0.11%이다. 학교폐기물의 대부분은 종이류와 플라스틱류이고, 약 90%가 가연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분 분석 결과 수분 5.72%, 가연분 88.29%, 그리고 회분 5.98%로 나타났으며, 농촌지역 학교 폐기물 성분중 수분이 도시지역 학교보다 높게 나왔다. 건조된 폐기물의 원소 분석 결과 탄소, 산소, 수소가 높게 나왔으며 학교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은 3051.44kcal/kg로 조사되어졌다.

  • PDF

가구소재의 화재전파해석을 위한 열해리 물성 평가 (Estimation of Pyrolysis Properties for Fire Propagation Analysis of Furniture Materials)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1-46
    • /
    • 2013
  • 본 연구는 가구류를 구성하는 주요 재료의 열적조건에 따른 반응특성과 화염전파해석에 필요한 열해리 물성을 제공하기 위해 열중량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대상 시편은 가구류에 널리 적용되는 MDF 판재와 코팅재, 합성피혁과 쿠션재 등이며 가열율 $10^{\circ}C/min$, 최대 온도 $600^{\circ}C$까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MDF 소재의 경우 $324^{\circ}C$에서 피크 반응을 나타냈었으며 MDF 코팅재의 경우 초기 피크반응온도가 $270{\sim}280^{\circ}C$로 감소하였다. 합성피혁과 폼 소재의 경우 재료를 구성하는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기준온도와 기준 반응율이 차이를 보였으나 기준온도는 $270^{\circ}C$$420^{\circ}C$ 정도로 비교적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Lyon 등이 제시한 방법에 의해 반응상수와 활성화 에너지를 산정하기 위해 시편의 기준 온도와 기준 반응율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기초 물성연구를 통해 화염전파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화재해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진해만의 바다밑 쓰레기에 대한 조사연구 (Study on the Marine Debris on the Seabed in Chinhae Bay, Korea)

  • 구본삼;강헌;허성회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91-98
    • /
    • 2000
  • 본 연구는 남해안에 위치한 진해만의 바다 밑에서 수집한 쓰레기를 유형별로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1998년 2월부터 1999년 1월까지 저인망을 사용하여 총 11회의 수집 과정을 통하여 바다쓰레기를 수집하였다. 1회에 60-90분의 간격으로 바다밑 쓰레기를 채취하였으며 이를 8가지(플라스틱, 어구, 금속성 물질, 나무, 고무 혹은 피혁, 유리, 섬유 및 기타)의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8가지의 형태별로 분류된 쓰레기의 개수와 무게 그리고 분포 등의 결과를 얻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조사지역의 단위면적(ha) 당 27.8개(총 1,612개), 3,130 g(총 193,820 g)의 바다쓰레기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항목별 조성에 있어서 플라스틱류와 어구류의 구성비가 높았으며 무게별 조성에 있어서는 금속류와 어구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고문헌을 통해 본 방충향 (A Review on Ancient Literatures of Anti-insect Incense)

  • 권영숙;이경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5호
    • /
    • pp.802-81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natural incense on the preservation of paper- and textile-based remains and the kinds and applications of natural anti-insect incense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s of the ancient times. There are few ancient literatures of incense published in Korea. The researcher deducted how incense was used in this nation through reviewing verses contained in ancient literatures and medical books. In contrast, the kinds and applications of anti-insect incense used in China, where incense culture prospered, were investigated here through reviewing technical books about incense published during the Song(宋) and Ming(明) periods, $\ll$Incense record(香譜)$\gg$, $\ll$Chen's Incense record(陳氏香譜)$\gg$ and $\ll$Incense record(香乘)$\gg$. There were several methods of keeping clothes better from insects. In relation, how to use anti-insect incense varied in accordance with main materials of clothes, paper, textile, leather and others. Cymbopogon dstans(芸香), Brassica rapu var and Incarvillea sinensis(角蒿) are anti-insect incense which were used for paper. Anti-insect incense for textiles is classified into single and mixed incenses depending on whether only one kind of incense was used or more than seven kinds of the substance. Acori rhizoma(菖蒲), Capsella bursa-pastoris(薺菜花), Lactuca sativa L., Erigeron canadensis(莽草), Stemona japonica(百部) and Moschus sifanicus(麝香) are single anti-insect incense which were used for textile. While, the latter was called. ‘Yi Xiang(衣香)’ is mixed anti-insect incense which was used for textile. Artemisia asiatica(艾葉) and Zanthoxylum schinifolium(花椒) are anti-insect incense which were used for leather. Angelica dahurica(芳香) and Bamboo are anti-insect incense which were used for others. There were three main methods of using incense to prevent insects, that is, diffusing incense's strong scent and ingredients, exposing to smokes from burnt incense and washing with incense-boiled water. Diffusing incenses had a strong scent and antibiotic ingredients, which were put between books or clothes or into a storage box without being processed. If necessary, however, they were processed into rough powders that were in turn used singly, or otherwise mixed for a stronger scent and better insect elimination. Exposing to smokes from burnt incense was done as follows. A clothes was put on 'Long(籠)' underneath which there was a boiling water. The clothes was humidified by the water and then exposed to smokes from burnt incense. 'Long(籠)' had been long used since it was manufactured in the QinHan(秦漢) period for the first time. A local literature, $\ll$Koryo TuGing(高麗圖經)$\gg$ shows that in the Koryo(高麗) period, BoShaLu(博山爐) were used as a means of exposing clothes to smokes to prevent moths, similarly to China. Washing clothes with incense-boiled water was more effective in removing lots of worms and germs from clothes, but leaving the scent and ingredients of the used incense and maintaining the effect of anti-insect.

  • PDF

저서성 해산 요각류 harpacticoid Tigriopus japonicus 유생을 이용한 해양생태독성평가 (Marine Ecotoxicological Assessment Using the Nauplius of Marine Harpacticoi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윤성진;박경수;오정환;박승윤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0-167
    • /
    • 2006
  •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는 한국연안에 널리 분포하며, 영양단계에서 1차 소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 실험생물로서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T. japonicus 유생($100{\sim}200{\mu}m$)을 이용하여 염분 및 수소이온농도(pH) 내성실험과 2종의 표준독성물질(황산구리, 카드뮴) 및 3종의 산업폐수오니(피혁, 염색, 염료공장폐수오니)에 대한 48시간 사망률 실험을 실시하였다. T. japonicus 유생은 $5.0{\sim}35.0psu$ 염분과 pH $6.3{\sim}8.2$ 범위에서 90% 이상 생존하여 염분 및 pH에 대한 강한 내성을 보였다. 또한 표준독성물질에 대한 48시간 $LC_{50}$은 황산구리의 경우 $3.6{\pm}0.7ppm$, 카드뮴은 $1.7{\pm}0.8ppm$ 이었으며, 각각의 반복구간의 사망률 편차는 10% 이하였다. 황산구리에 대한 T. japonicus 유생의 독성반응은 요각류를 포함한 소형 갑각류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카드뮴에 대한 T. japonicus 유생의 독성반응은 요각류 T. japonicus, Paracalanus parvus 및 윤충류 Brachinonus plicatilis 성체 보다 훨씬 민감하였다. 산업폐수오니의 경우, 염료오니 추출액을 제외한 피혁과 염색오니 추출액은 농도-반응 사이의 선형관계가 뚜렷하였다. 산업폐수오니 추출물에 대한 T. japonicus의 48시간 $LC_{50}$은 피혁 추출물의 경우, $31.1{\pm}1.1%$ 이었으며, 염색 추출물은 $54.4{\pm}15.1%$로 산출되었다. 상기의 실험결과들에 의하면, 요각류 T. japonicus 유생을 이용한 생물검정법은 산업폐수나 화학물질에 대한 해양생태독성평가 시 유용한 평가 수단인 것으로 판단된다. 광범위한 염분 및 pH에 대한 내성, 농도-반응(사망률) 사이의 뚜렷한 선형관계는 본 종이 표준시험종으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GC/MS를 이용한 산업폐수중의 염화페놀류 분석 (Determination of chlorophenols from the industrial wastewater by GC/MS)

  • 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18권4호
    • /
    • pp.320-328
    • /
    • 2005
  • 산업폐수 중 염화폐놀류 5종 (4-chloro-3-methylphenol, 2,4,5-tri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2,3,4,6-tetrachlorophenol, pentachlorophenol)의 잔류량을 GC/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산업폐수 시료는 석유화학, 섬유염색, 가죽피혁 분야의 공장에서 방류되는 원수 및 방류수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USEPA 3510 방법을 변형하여 새로운 방법을 확립하였다. 각 시료들은 pH 2와 5~6조건에서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액체-액체 추출법으로 추출한 다음 GC/MS에 주입하여 SIM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0.1 ng/mL~10.0 ng/mL과 0.5 ng/mL~10.0 ng/mL 정량구간내에서 $R^2=0.9943$ 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검출한계는 0.1 ng/mL~0.5 ng/mL이었다. 실제 시료측정에 앞서서 1, 5, 10 ng/mL 농도에서 회수율을 측정하였는데, PCP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71.6-98.9%의 양호한 절대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상대표준편차(RSD)는 1.2~14.3% 범위의 좋은 재현성을 나타내었고, 정밀도를 나타내는 bias는 낮은 농도(1 ng/mL)에서 약간 높은 값(11.3~22.l%)을 나타내었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좋은 정밀도를 나타내었다.

익산 제 1 공단 토양의 중금속 함량 분포 조사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 at Iksan 1st Industrial Complex Area)

  • 김성조;백승화;문광현;장광호;김수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8-53
    • /
    • 1998
  • 1975년부터 산업활동이 시작된 익산 제1공단내 토양 중에 중금속함량을 비오염지 자연토양 중의 이들 함량과 비교하고 산업활동의 종류에 따른 토양 중 중금속 함량 변화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주로 표층토를 중심으로 $0{\sim}3$$3{\sim}6cm$ 토양층에 있는 Cd, Cu, Ni, Pb 및 Zn의 함량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단 내 토양 중 중금속별 함량변화는 Cd와 Cu는 시료의 $16{\sim}25%$, Pb와 Zn은 93% 이상이 비오염지 자연토양 중 이들 중금속함량 평균치 이상의 토양 중 축적현상을 보였고, Ni함량은 산업활동에 의한 토양 중 변화를 인정할 수 없었다. Cd의 분포는 $0{\sim}3cm$ 토양층은 섬유산업지역에서 5ppm이상의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이 화학약품 및 식품산업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sim}6cm$ 토양층에서는 금속가공지역에서 5ppm 이상의 최고치를 보였고, 다음이 섬유산업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토양층위에 따라 Cd의 축적분포가 조금씩 달랐다. Cu함량은 $0{\sim}3cm$의 토양층에서는 전선류를 제조하는 지역에서 400ppm 이상의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3{\sim}6cm$ 토양층에서는 전기 저항기, 기계제작 및 전선류 제조지역에서 400ppm이상의 토양축적현상을 보였다. Ni은 도금 및 금속가공지역에서 시료채취 토양층과 관계없이 35ppm이상의 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석재 및 반도체 산업지역에서 25ppm이상의 토양 중 함량을 나타냈다. Pb는 화학약품 및 견직물공장에서 시료채취 토층과 관계없이 $400{\sim}1000ppm$이상의 토양 중 함량을 보였다. Zn은 화학약품과 견직물공장지역에서 토양 깊이와 관계없이 1200ppm이상의 가장 높은 함량분포를 보이는 곳도 있었으며, 그 다음이 도금 및 금속가공, 그리고 피혁공장순으로 Zn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산업활동의 형태 및 종류는 토양 중의 중금속의 종류 및 함량변화의 원인이 되고 있었고 이 지역에서는 Pb 및 Zn 토양중 함량변화가 뚜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