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질골 절단술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치조골 소실과 심한 양악전돌을 동반한 성인환자에서의 피질골 절단술과 Compression osteogenesis를 이용한 교정치료 (Severe bimaxillary protrusion with adult periodontitis treated by corticotomy and compression osteogenesis)

  • 김성훈;이계복;정규림;;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4-65
    • /
    • 2009
  • 본 증례보고는 성인형 치주염으로 인해 전반적인 치조골 소실을 보이고 양악 전돌을 동반한 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50세 10개월 된 여자환자의 치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치주 치료를 진행한 후 양악 전돌을 해소하기 위해 양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고, 상악 전치부는 피질골 절단술 시행 후 악정형적 견인을, 하악 전치부는 6전치의 전방부 분절골 절단술[Anterior segment osteotomy(ASO)]을 국소마취하에 시행하였다. 총 치료기간은 9개월이 소요되었고 안정적인 교합관계와 안모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치료 후에 하악 전치부에 약간의 치근 흡수 소견이 관찰되었다. 치료 27개월 후에도 안정적인 치료결과가 유지되었다.

상악 6전치부의 후방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vertical loc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for maxillary six anterior teeth during retraction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이혜경;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5-438
    • /
    • 2001
  • 이 연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악 6전치부에 피질골 절단술을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서 상악 6전치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다양한 후방견인력을 가하였을 때 상악 6전치의 초기 치아이동을 통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를 계측, 비교하고 저항중심의 변화양상을 관찰하며, 힘의 크기변화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상악 6전치와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6전치부에 부착된 설측장치와 이 장치가 부착된 치아군을 한 개의 견고한 연결체로 가정하였다. 유한요소모델에서 사용된 전체요소의 수는 14,584개, 전체 절점의 수는 17,292 개였고, 힘 체계의 분석을 위해 미국 Swanson Analysis System사의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 인 ANSYS(Ver. 5.5A)를 사용하였다. 저항중심은 힘이 가해질 때 치아가 평행 이동될 수 있는 힘의 적용부위라 정의하고, 설측 장치에서 연장된 Extension arm의 7개의 Level에 편측당 각각 200 gm, 250 gm, 300 gm, 350 gm의 설측 후방견인력을 가하였을 때 치아의 절단연과 치근첨에서의 변위를 읽어 평행이동이 일어나는 위치를 복원법으로 계산하여 저항중심의 위치를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6전치부의 초기치아이동에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Level 4와 Level 5사이, 즉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6.76 mm, $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다. 2. 피질골 절단술 시행후, 상악 6전치부의 후방 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위치는 Level 4와 Level 5사이, 즉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7.09 mm,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다. 3. 후방견인력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치아의 변위량은 커졌으나, 피질골 절단술 시행 유무에 관계없이 후방견인력의 크기변화는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근단 쪽으로 이동하였고, 그 변위량은 피질골 절단술 시행 시가 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상악 6전치부 후방견인시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길이의 $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고,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 길이의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여 피질골 절단술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치근단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후방견인력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

  • PDF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 이동 양상과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pattern of mov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incisors using a 3-D finite element method)

  • 정애진;김운수;이수행;강성수;최희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8-113
    • /
    • 2007
  •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의 이동 양상 및 응력 분포를 건조 두개골을 전산화 단층 촬영에 의해 3차원 영상화한 유한 요소 모델 상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의 시행 여부와 고정원, 힘의 작용점을 각기 달리 설정하여 8개의 실험군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통상적인 T-loop을 이용하여 공간폐쇄를 하는 경우 전치부는 후하방으로 경사이동 하였으며, 구치부에서도 약간 전방 이동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을 동반하여 전치부를 견인한 경우, 전치부 골편에서의 응력 분포가 전반적으로 넓게 분포되었으며, 전치부 경사의 정도가 적은 반면에 변위량은 훨씬 더 많았다. 협측에서의 견인 시 상악 협측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와 견치 Power arm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미니 임플랜트로 고정원이 강화된 제2소구치와 견치 브라켓 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적었다. 구개측에서 Powerarm에 대한 견인 시 정중구개봉합 부위에 식립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상악 제1, 2대구치 간 구개면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컸다. 이러한 결과로써 치아이동 시 피질골 절단술의 효과와 저항중심에 대한 교정력 벡터 조정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13세 환자의 종골에 발생한 연골육종 - 증례 보고 - (Chondrosarcoma of the Calcaneus in 13 year old Aged Patient - A Case Report -)

  • 홍기도;하성식;박영근;이효진;차현종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63
    • /
    • 2001
  • 연골육종이 소아의 종골에 발생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13세 환자가 수개월간 지속된 우측종골 부위의 통증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방사선 검사상 우측 종골의 골밀도의 증가 및 석회화와 피질골 파괴, 그리고 종골 주위 조직의 석회화 침범 소견이 관찰되었고, 조직검사상 원발성 연골육종으로 진단되어 슬하부 절단술 및 술후 항암요법을 시행하였으며 12개월째 경과 관찰중이며 재발이나 원격전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즉시하중시 상악 전치부에 식립된 임플란트 길이 변화에 따른 응력 분포의 삼차원 유한요소 연구 (Effect of Implant Length on the Immediate Loading at the Anterior Maxilla)

  • 이준석;김명주;권호범;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3호
    • /
    • pp.255-265
    • /
    • 2009
  • 즉시 하중에 대한 관심과 시도가 증가되고 있지만, 명확한 술식이 정립되어 있지는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에서 즉시 하중시에 골과 임플란트에 나타나는 응력분포 양상을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골질이 D3인 상악 전치부의 골모형을 구성하고, 서로 다른 길이(8.5 mm, 10.0 mm, 11.5 mm, 13.0 mm, 15.0 mm)의 직경 4.0 mm 나사형 임플란트를 식립한 모형을 제작하였다. 해석 절차의 간소화를 위하여 모든 물성은 등방성, 선형탄성, 균질성으로 가정하였다. 골-임플란트 계면은 접촉 요소법으로 처리하여 골유착이 일어나기 전 상태로 구성하였다. 지대주 장축에 120도의 각도로 지대주의 구개 절단각 중앙부에 176 N의 정하중을 가하고 응력분포를 관찰하였다. von Mises stress를 이용하여 응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순측 피질골에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피질골과 망상골의 경계부에서 최대 응력값을 나타내었다. 길이에 따른 비교시 8.5 mm 모형에서 가장 큰 최대 응력값을 나타냈으며, 임플란트 길이가 증가될수록 좀 더 양호한 응력 분포를 나타내었다. 상악 전치부 즉시 하중시에 피질골의 존재 유무는 매우 중요하며, 길이가 긴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유리하며, 가능하면 13.0 mm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즉시하중을 시행할 때 응력 분산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성견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서의 티타늄 미니스크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itanium Miniscrew as Orthodontic Anchorage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dogs)

  • 윤병수;최병호;이원유;김경남;심형보;박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17-523
    • /
    • 2001
  • 교정치료에서 원하는 치아이동을 위해서는 안정된 고정원이 필요한데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매식과 제거가 쉽고, 구강 내 여러 부위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이나 비용적인 부담이 적고, 제거 후에 치유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최근에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한 임상 예들이 여러 편 발표되었는데 미니스크류의 이완이 가장 큰 실패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논문들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스크류의 식립 길이에 관한 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교정적 고정원으로 미니스크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립 부위에 따른 골구조와 골밀도 차이를 고려한 식립 길이에 관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견의 상악골과 하악골에서 직경 2mm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다양한 길이로 식립하고 교정력을 적용한 후 그 안정성을 평가하여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니스크류의 식립 길이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미니스크류가 상악에서는 6mm 이상, 하악에서는 4mm 이상이 골 내에 식립될 때 8주 동안 200g의 교정력에 동요도나 위치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식립 부위로는 부착치은 부위 치근 사이에 식립될 때 구강청결이 유지되고 미니스크류 주변 치은조직에 자극을 주지 않아 정상적인 조직으로 유지 될 수 있었다. 또한 교정력 적용 8주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검사에서 스크류 주변 치근 흡수나 치조골 흡수, 치주 인대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cdot$하악 골밀도와 골구조의 차이를 고려하여 미니스크류의 골내 식립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교정적 고정원으로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n-Pg line와 Sn perp. 에서부터의 거리에는 차이가 없었다(p$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고,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 길이의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여 피질골 절단술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치근단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후방견인력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Stainless Steel의 순이었다. 5. 비틀림실험은 0.016x0.022의 경우 Unitek Resilient가 가장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큰데, 64.8회의 회전후 파절한다. 그 다음으로 Jinsung Stainless Steel, Unitek Hi-T, Ormco Stainless Steel, Unitek Standard(50.6회) 순이었다. 0.019x0.025의 경우 Jinsung Stainless Steel이 가장 커서 83.2회의 회전에 저항하고, Unitek Resilient, Unitek Standard의 순이고 Ormco와 Unitek Hi-T가 가장 저항력이 작았다. 6.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표면은 모든 제품에서 생산과정 중에 보이는 압흔과 pit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 PDF

거골에 발생한 골육종 - 증례 보고 - (Osteosarcoma of the Talus - Case Report -)

  • 김병석;임호영;조재현;김태홍;이기범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0-95
    • /
    • 2002
  • 42세 남자 환자가 우측 족관절부에 4개월 동안 증가하는 동통 및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 및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상 우측 거골 경부의 골내부 및 피질골 파괴소견을 보였다. 병리소견은 고악성도의 골형성 골육종이었다. 두 사이클의 수술전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족관절부의 종괴는 커졌고 폐전이로 진행되었다. 원발 병소에 대하여 슬관절하 절단, 폐전이에 대하여 쐐기모양 폐 절제술을 실시하였고 수술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술후 10개월에 폐전이로 환자는 사망하였다.

  • PDF

피질골 절단술을 이용한 수평면에서의 임플란트의 위치 교정에 대한 치험례 (A CASE REPORT ABOUT CORRECTION OF IMPLANT POSITION AT HORIZONTAL PLANE AFTER CORTICOTOMY)

  • 최빈;오해수;김진철;길용갑;김경수;김좌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55-261
    • /
    • 2007
  • Preface: Dental implant is important method that may solve the mastication, occlusion, esthetic, temporomandibular joint, and psychologic problem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t is ideal that all of the implant are well positioned by adequate technique. By the way it‘s not always possible because of some anatomic, physiologic factor. In this case, If the implant can be moved to adequate position, it may be possible more esthetically and implanted patients more satisfied, but the majority of Implantists and orthodontists have thought that it is not possible. However, Implant, in fact, can be moved. and thus we can overcome the limit of implantation m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implant movement after corticotomy. Case report: Patient missed the upper right first molar. and implantation was done after completion of socket healing. We wait six months for osseointegration. Then, corticotomy was done under local anesthesia and close coil was used for orthodontic force. After traction during 3 weeks, we find the change of implant position at horizontal plane. we can not see the degenerative change on adjacent structure and tracted implant. there is a clinical mobility on upper right second premolar that used for anchorage but it subside spontaneously at the timing of prosthetic restoration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Discussion: As we could have some knowledge with this experiment, we report the case of implant movement after corticotomy and suggest a method about more esthetic implant treatment with a review of literature.

백서의 상악 구치 주위골의 피질골 절단술 후 치아이동의 영향 (THE EFFECTS OF TOOTH MOVEMENT AFTER CORTICOTOMY ON THE SURROUNDING BONE OF UPPER MOLAR IN RATS)

  • 이승연;박수현;박용희;이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6호
    • /
    • pp.684-689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osteoclastic activity in the surrounding bone with or without tooth movement after corticotomy by histologic study. Eighteen male Sprague Dawley rat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300 g(range 250-350 g) were used.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six animals. They were operated corticotomy-assisted tooth movement and killed after 1 week, 2 weeks, and 3 weeks after tooth movement. Corticotomy was done in the surrounding of the both upper first molar. A split mouth design was used by referring to the contralateral side as control. After flap suturing, the upper left first molar was moved anteriorly by closed coil spring. The force applied was 1 N. The average of tooth movement of the 1 week group was $0.24{\pm}0.09mm,\;0.20{\pm}0.26mm$ in 2 weeks group and $0.41{\pm}0.39mm$ in 3 weeks group,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1 week and the 2 weeks groups was very small to compare with the 3 weeks group. In the treatment group, the average numbers of cells that positively reacted to TRAP were 14.5 in the 1 week group, 12.0 in the 2 weeks group, and 6.0 in the 3 weeks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 numbers were 8.3 in the 1 week group, 12.8 in the 2 week group, and 1.5 in the 3 week group, respectively.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of the 3 week group was about twice as large as those of the 1 week and 2 week groups. From the standpoint of histology, the average number of cells that positively reacted to TRAP was initially larger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imilar in both group in 2 weeks, and became less in the treatment group in 3 weeks. Additionally, in the control group, their activity of osteoclast was higher in 2 weeks than in 1 week, and decreased rapidly in 3 wee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