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호흡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6초

CNS 운전원의 행위자료 및 정신부하 측정체계 개발

  • 이동하;손영숙;심봉식;이정운;박근옥;박재창;오인석;차경호;이현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7-37
    • /
    • 1995
  • CNS의 인간공학적 실험 평가 항목중 중요 요소의 하나인 운전원의 인지적 작업부하(정보입력, 의사결정, 및 정서적 부하)를 평가하기 위해 인지적부하를 부과할 수 있는 사건 시나리오 구성방법, 피실험자에 대한 훈련 방법, 실험과 디브리핑을 통한 운전원 행위 및 사건 경위 기록 체계를 개발하였다. 운전원 행위자료 데이타베이스에는 특정 요소행위 시점, 관측행위 분류, 사용된 표시장치, 의사결정내용, 사용된 조종장치, 조종행위분류, 운전원간 의사소통 내용, 정서상태, 표시장치 및 조종장치의 사용편의성 여부 및 불편이유, 주요사건 발생시점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었다. 운전중 CNS 운전원에 제시되는 자극의 변화에 수반되는 운전원의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운전원이 받는 정신부하를 측정하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ECG, EEG, 호흡패턴,피부온도, 수평EOG, 수직EOG, 심박률, 및 호흡률의 생리변수에 대한 측정이 이루 어졌으며 각각의 신호를 초당 100개씩 샘플링하여 A/D 변환하고 정신부하 추정 알고리즘을 거쳐 정신부하 여부를 판정하는 점수를 구하였다. 다차원의 정신부하 판정 점수는 OR gate에 의해 통합되어 정신부하 발생시점과 함께 정신부하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었다.

  • PDF

Hyperimmunoglobulin E (Job's) syndrome에서 발현되는 호흡기증상 (Pulmonary Features of Hyperimmunoglobulin E (Job's) Syndrome)

  • 민병주;신재승;이인성;신영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6호
    • /
    • pp.651-656
    • /
    • 2002
  • Hyperimmunoglobulin E 증후군, 혹은 Job's 증후군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Immunoglobulin E 수치와 더불어 면역기능의 이상으로 인해 반복적인 피부감염과 호흡기계 감염을 특정으로 하는 질환이다. Job's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호흡기계 발현 양상은 폐렴, 기류, 기흉, 폐농양, 농흉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각각에 대한 치료도 다양하다. 치료원칙은 감염에 관한 예방적 약물치료 및 감염균에 관한 항생제투여와 수술의 적응증이 될 때, 폐실질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폐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산 미끈망둑 Luciogobius guffafus(농어목) 5개 부속지의 표피구조 및 점액세포 (Mucous Cells and Their Structure on the Epidermis of Five Appendages in the Korean Flat- headed Goby, Luciogobius guttatus (Pisces; Perciformes))

  • 박종영;김익수;이용주;백현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2
    • /
    • 2005
  • 조간대와 강하구에 출현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은 썰물 동안에 건조하기 쉬운 자갈 바닥 아래에서 서식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서식처를 선호하는 미끈망둑의 호흡체계를 조사하기 위해 지느러미 및 흡반을 포함하는 5개의 부속지의 표피구조를 관찰하였다. 표피는 모두 맨바깥층(outermost layer), 중간층(middle layer), 기저층(stratum germinativum)으로 구성된다. 맨바깥층은 다형세포 또는 편평세포, 그리고 점액세포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단일세포성의 점액세포는 $11.1{\sim}16.1{\mu}m$의 크기로 1~2층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산성다당류로 확인되었다. 중간층은 이웃한 표피세포로 팽대해진 팽대세포 (swollen cell)로 구성되어 있으며, $12.3{\sim}15.2{\mu}m$의 크기로 1~11층으로 배열되어 마치 거미망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팽대세포로 인해 상피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많은 모세혈관이 기저막 아래에 분포하고 있으며, 미뢰 (taste bud)가 표피에 존재한다. 이러한 표피의 특징은 미끈망둑이 이중호흡체계인 피부호흡 (cutaneous respiration)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하수에서 유래한 벤젠의 노출경로별 인체축적특성 (Accumulation Property in Human Body of Benzene Derived from Groundwater According to Exposure Pathway)

  • 김상준;이현호;박지연;이유진;유동한;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12-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벤젠을 대상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실내오염도를 모사하고 실내에서 가능한 흡입, 섭취, 피부흡수와 같은 노출경로를 고려하여 노출시나리오를 자성하였다. 인체에 유입된 벤젠에 대하여 PBPK 모델을 이용하여 인체의 각 장기에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에서 흡입과 섭취가 주요노출 경로였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호흡량으로 인해 보다 높은 노출속도를 유지하였다. 노출속도에 대한 피부흡수의 공헌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았다. 단기노출의 결과 오염물 노출에 대하여 SPT, RPT,간의 정맥혈 중 벤젠농도는 빠르게 증감하는 반면 지방의 경우는 느리게 반응하였고 많은 벤젠이 지방세포에 축적되어 정맥혈에는 적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장기간 노출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전체적으로 2.1배 많은 벤젠을 체내에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 노출에서 총유입벤젠의 98%가 호흡과 대사분해에 의해 제거되었다. 흡입경로는 벤젠이 호흡배출에 의해 69.8% 제거되었으며 섭취경로는 48.4%로 오염물이 유입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의 제거기작의 공헌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내오염에 따라 오염물이 체내에 흡수되고 분포ㆍ제거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노출저감대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골감염을 동반한 결핵 감염에서의 근판 전이술 -치험 1례 (Muscle Flap Operation in Complicated Bone Tuberculosis Infection -A case report-)

  • 허진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89-91
    • /
    • 1998
  • 결핵 감염은 널리 퍼져있는 질병으로 가끔 치료에 어려움을 격는 합병증을 동반한다. 기침, 객담, 운동성 호흡 곤란과 전흉벽 종괴를 주소로 하여 50세 환자가 내원했다. 단순흉부 촬영상 좌측 첨부 늑막 비후, 우측 흉수와 양측 폐침윤 소견을 보였고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상 좌측 쇄골 두부와 흉골병부의 골파괴와 흉근내 농양을 관찰할수 있었다. 환자는 전신마취하에 대흉근, 소흉근, 쇄골두부, 흉골병부를 누공을 포함한 병변 상부 피부 조직과 함께 광범위 절제하고 반대측 대흉근을 이용하여 흉벽을 재건한후 피부이식을 시행하였다. 퇴원후 환자의 외래 추적중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 PDF

삼소음(蔘蘇飮)의 항알레르기 효과(效果) (Anti-allergic Effects of Shensuyin)

  • 이승언;신조영;이시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9-128
    • /
    • 2005
  • 모든 알레르기 반응의 중심축이 되는 비만세포는 주로 피부, 위장관 및 호흡기관의 점막에 분포하고 있다.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즉각형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여러 인자들을 방출시키게 된다. 方藥合編(방약합편)에 따르면 蔘蘇飮(삼소음)은 알레르기 鼻炎(비염), 發熱(발열), 風寒(풍한), 頭痛(두통), 기침에 效能(효능)이 있는 處方(처방)이다. 본 硏究(연구)는 蔘蘇飮(삼소음)의 肥滿細胞(비만세포) 의존성 아나필락시 반응(anaphylactic reaction)에 대한 藥理(약리) 效果(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蔘蘇飮(삼소음)은 compound 48/80으로 유발되는 전신성 아나필락시 쇼크(systemic anaphylactic shock)와 耳介(이개) 浮腫(부종) 反應(반응)(ear swelling response)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蔘蘇飮(삼소음)을 0.1, 1 mg/ml로 전처리 하였을 때, 흰쥐 복강 肥滿細胞(비만세포)(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에서 compound 40/80에 의해 유발되는 히스타민 분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蔘蘇飮(삼소음)은 anti-dinitrophenyl IgE에 의해 활성화 된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를 농도 의존적으로 抑制(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蔘蘇飮(삼소음)은 肥滿細胞(비만세포) 의존성 즉각형 알레르기 反應(반응)을 抑制(억제)하여, 항 아나필락시 활성(anti-anaphylactic activity)을 가지는 것으로 보여 진다.

  • PDF

서울시내 동물병원의 애완견 진료와 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panion Dog Practice and Management System on Animal Hospital in Seoul City)

  • 강동준;정병현;허정;강정부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39-46
    • /
    • 2009
  • 동물병원에서 행해진 진료현황, 총 41,305건에 대해 WHO의 질병분류법(ICD)에 따라 검증한 결과 예방의학이 42.2%, 피부질환이 16.4%, 소화기계가 12.0%, 이과(耳科)가 8.5%, 호흡기계 질환이 4.3%이었다. 내과질환에서는 내원한 진료 중에서 소화기계 질환이 호흡 52.9% 기계 질환이 18.9%, 순환기질환이 13.2%, 종양이 4.4%순이었다. 피부질환 총 6,774건 중에서 농피증이 50%, 외부기생충증이 12.2%, 피부사상균증이 11.0%, 알레르기성 피부병이 9.8%이었다. 동물병원의 수입을 진료부분과 용품 판매, 애견 미용 등 크게 3부분으로 구분하였을 때 전체 매출의 71.6%가 진료부분, 용품의 판매가 16.9%, 애견 미용이 11.5%를 차지하였다. 동물병원의 홍보 형태는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홍보가 47%로 가장 많았으며, 지역광고지가 23.5%, 전단지와 전화통신 서비스가 11.8% 순이었다. 동물병원의 인적구성에서는 수의사가 절반정도인 45.5%를 차지하였으며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거친 수의테크니션은 없었다. 동물병원의 시설구획에서는 평균 진료실은 2.7실, 입원실은 1.7실, 격리입원실은 0.5실이었고 이외 수술실과 방사선촬영실을 병용하는 동물병원도 있었고 일반 처치실의 시설은 미흡하였다.

ECG와 호흡 측정이 가능한 모바일 헬스케어 의류 시스템 (The Mobile Health-Care Garment System for Measurement of Cardiorespiratory Signal)

  • 김정도;김갑진;정기수;이정환;안진호;이상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3호
    • /
    • pp.145-152
    • /
    • 2010
  • 대부분의 모바일 웨어러블 헬스케어 모니터링 의류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데이터 취득과 무선 통신 및 제어를 담당하는 회로부, 이들을 내장하는 의복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의복형 헬스케어 시스템은 센서를 의복에 장시간 내장하기가 어렵고, 피부 접촉 시 시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생체 신호 모니터링이 쉽지 않으며, 센서 전극과 회로 사이에 존재하는 신호선의 물리적 장애 요인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PVDF에 PEDOT 재료를 코팅하여 만든 패브릭 나노웹 ECG 전극과 PVDF 필름을 사용한 호흡 센서를 $10\;{\mu}m$ 두께의 디지털 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류와 일체화하였다.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블루투스(Bluetooth) 내장 스테이션과 디지털실로 기존 의류와 일체화한 생체 신호 측정용 의류 제작을 통해, 휴대폰에서 손쉽게 심전도(ECG)와 맥박신호를 표시 할 수 있었다.

노지고추 및 배 재배 농업인의 방제작업 중 Chlorpyrifos, Chlorothalonil 노출에 관한 연구 (Exposure Assessment of Korean Farmers While Applying Chlorpyrifos, and Chlorothalonil on Pear and Red Pepper)

  • 강태선;김길중;최인자;권영준;김경란;이경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2호
    • /
    • pp.249-263
    • /
    • 2004
  • 본 연구에서 시험한 두 가지 농약에 대한 피부노출 측정 및 분석방법을 시험하였고 두 가지 농약에 대한 측정 및 분석방법으로써 모두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농약에 대하여 호흡노출의 측정 및 분석법에 관한 타당도를 시험한 결과 본 연구방법으로 chlorpyrifos는 만족하였고 chlorothalonil의 경우 피부노출 측정 및 분석법만 타당하였다. 이와 같이 확정한 노출 측정방법으로 배 방제작업과 노지고추 방제작업시 농약노출량을 측정하였고 여러 가지 요인별로 비교하였나 두 가지 농약에 대하여 각 작목, 살포시기, 노출평가(피부,호흡기)와 작업용 변수로하여 노출평가를 실시하였다. 피부노출량은 과수 동력분무기, 노지고추 동력분무기 > 과수 SS기 > 동력분무기 보조의 순서로 나타났다. 과수 동력분무기와 노지고추 동력분무기 살포간 노출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과수나 노지고추의 방제만을 볼 때 다른 요인보다는 살포기기가 피부노출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된다. 피부노출에서 작목은 주로 노출부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조작업의 경우 손노출이 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흡기노출량은 각각의 노출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없었다. 위험도 평가결과 chlorpyrifos 살포작업은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출농도를 약 1/5 이하로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사과 과수원에서 농약살포시 살균제 Dithianon의 농작업자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Operator Exposure During Treatment of Fungicide Dithianon on Apple Orchard)

  • 조일규;김수진;김지명;오영곤;설재웅;이지호;김정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2-311
    • /
    • 2018
  • 총 6가지의 노출 시료 즉 내복(살포, 조제 각각), 호흡, 거즈, 손(세척액), 장갑(세척액)에 회수율 시험한 결과, 평균 72.8 ~ 110.1%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사과 과수원에서 회수율 분석 결과 평균 85.1 ~ 99.1%의 포장회수율을 나타냈다. Dithianon의 10개 시험 과수원에서 조제시 농작업자의 피부 노출 총량은 0.472 mg ~ 4.080 mg 수준이었으며, 호흡 노출량은 $2.646{\sim}110.317{\mu}g$ 수준이었다. 살포시 10개 과수원에서 농작업자의 피부 노출 총량은 35.613 mg ~ 229.720 mg 수준이었고, 호흡 노출량은 $9.4{\mu}g{\sim}984.8{\mu}g$ 수준 이었다. 그리고 살포시 dithianon의 호흡 노출량은 75 percentile 값이 0.151 mg으로 이는 피부 노출량(내복)의 11.2% 수준이었다. 사과 과수원에서 dithianon을 살포할 때에 농작업자의 위해성 평가는 TER 3.421(>1)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