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부전도수준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ifferentiation of Children's Emotion with Electrodermal Activity (피부전기반응을 이용한 아동의 정서 구분)

  • 장은혜;이경화;양경혜;방석원;김재우;이형기;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69-174
    • /
    • 2001
  • 정서와 생리 반응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아동정서에 대하나 생리반응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감신경계의 활성화 지표인 피부전기 반응을 이용하여 아동의 정서를 구분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참여자들은 남녀 학령 전\ulcorner학령 아동 132명이었다. 다섯 정서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한 자극세트는 각 정서를 유발하는데 적합하다고 평가되는 배경음악과 조명 하에서 인형을 통해 들려주는 정서유발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정서가 유발되기 전 안정상태와 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피부전기활동을 측정하였다. 안정상태에 비해 모든 정서상태에서 피부전기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다섯 정서간에 피부전기반응의 변인들인,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수준의 수와 피부전도반응의 크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피부전기반응을 이용하여 아동의 정서 구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Delinquency Score i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and Autonomic Responses in Normal Children (아동의 비행척도 점수와 자율신경계 반응;정상아동을 대상으로)

  • 최지연;이정미;이경화;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71-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아동 성격검사지(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PIC)의 하위척도 중의 하나인 비행척도 점수가 높은 아동과 낮은 아동의 안정상태 시의 생리반응 특성을 밝히고, 다양한 정서 유발조건에서의 생리반응 변화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87명의 아동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아동의 연령범위는 7∼9세였다. 안정상태와 각 정서(기쁨, 분노, 슬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동안에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와 피부전기활동(Electrodermal activity: EDA)을 측정하였다. 각 정서 유발자극이 제시된 후, 아동들은 자신이 느낀 정서를 보고하였다. 한국판 아동용 성격검사지에 포함되어 있는 비행척도 문항을 이용해 아동의 비행점수를 계산하였으며, 비행척도 점수가 높은 아동과 낮은 아동을 각각 임의로 12명씩 선정하였다 비행척도 점수가 높은 아동은 비행척도 점수가 낮은 아동에 비해 안정상태에서 피부전도수준(Skin conductance level: SCL)과 심장박동률(Heart rate: HR)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를 유발하는 조건에서도 비행척도 점수가 높은 아동은 비행척도 점수가 낮은 아동에 비해 피부전도수준 변화와 심박률 변화가 적었다.

  • PDF

Psychophysiologic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ensible Textiles (감성 의류 소재 개발을 위한 직물 마찰 소리의 심리생리학적 연구)

  • 조자영;이은주;조길수;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4-59
    • /
    • 2001
  • 본 연구는 청각적 감성을 만족시키는 의류소재의 개발을 위해, 직물 마찰음에 대한 인간의 감서을 생리반응측정과 심리적·주관적 평가를 통해 파악하고, 직물 마찰음이 갖는 음향특성과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직물 마찰음의 음향특성을 분석하고, 직물 마찰음에 대한 감각·감성 표현어(부드러움, 시끄러움, 유쾌함, 날카로움, 맑음, 거침, 높음)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생리적 반응으로서의 뇌파 및 혈류량, 심박변화율, 피부전도수준 등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감각·감성은 대부분 직물 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 loudness(Z)와 총음압 LPT가 증가할수록 시끄럽고 거칠며 딱딱하고 불쾌하며 탁하다고 지각하였다. 생리적 반응과 관련하여서는, 부드럽고 조용하며 맑다고 지각할수록 slow alpha파가 증가하였고, 유쾌하고 매끄럽다고 평가할수록 혈류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높다고 지각하는 소리에 대한 LF/HF는 증가하였다. 마찰음의 음향특성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LPT가 혈류량의 감소에, Loudness(Z)가 피부전도수준의 증가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sharpness(Z)가 높고 ΔL이 작을수록 LF/HF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ativ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 and Physiological Arousal in Virtual Reality and Desktop Based Driving Simulator (VR 및 Desktop 기반 운전 시뮬레이터 사이의 실재감과 생리적 각성 반응에 관한 비교연구)

  • Lee, Myoung-Hee;Kim, Gerard J.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239-1245
    • /
    • 2009
  • 가상현실의 자연스러운 응용분야는 작업 훈련(Task Training) 분야이다. 이러한 작업 훈련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각성 수준(Arousal Level)으로, 적절한 각성 수준은 과제 훈련의 효과를 결정짓는다. 본 연구는 VR 환경과 Desktop 환경의 자동차 운전 시뮬레이터에서 피험자가 실험을 위하여 설계된 2 개의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동안 피험자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고, 실험 후 각 환경에 대한 주관적인 실재감을 측정하여, 두 실험 환경 사이에 피험자의 주관적인 실재감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피험자가 수행한 시나리오와 시나리오에 종속된 실험 태스크에 대하여, 각성 수준을 평가할 때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는 피부전도도(GSR) 반응이 피험자의 주관적인 실재감의 결과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 보았다. 실험 결과 두 실험 환경 사이의 피험자의 주관적인 실재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VR 환경에서 더 높게 나왔다. 그러나 두 실험 환경 사이의 피험자의 생리적 각성 반응은 실재감의 결과처럼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으며, 오히려 시나리오에 종속된 실험 태스크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실재감과 피부전도도 (GSR)측정에 의한 각성도 는 직접적인 관계가 적은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피부전도도(GSR)를 실재감의 한 척도로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유머와 슬픔을 유발하는 시청각동영상 자극에 의한 아동의 자율신경계(ANS) 및 안면근육반응(facialEMG)

  • Lee Yeong-Chang;Kim Myeong-Hwan;Jang Eun-Hye;Eom Jin-Seop;Jeong Sun-Cheol;So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5-3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유머와 슬픔을 느낄 때 나타나는 자율신경계 및 안면근육반응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11-13세의 아동 47명(남: 23명, 여: 24명)에게 각 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 자극을 2분 동안 제시하고, 이때의 심리반응과 생리반응(SKT, EDA, ECG, EMG)을 측정하였다. 각 정서는 적합하고 효과적으로 유발되었고, 자율신경계반응에서는 유머가 슬픔보다 피부 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피부전도반응의 수, 심박률분산에서 유의하게 큰 반응을 보였다. 반면 피부온도는 유머에 비하여 슬픔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안면근육반응 결과, 유머가 Orbicularis oris muscle에서 슬픔보다 더 큰 근육활동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아동은 유머와 슬픔에서 서로 다른 자율신경계와 안면근육의 반응을 보였다.

  • PDF

Neural Correlates and Electrodermal Activity Produced by Humor and Joy (유머와 기쁨에 따른 뇌 활성화와 말초의 피부전기 반응)

  • Suk Ji-A;Jang Eun-Hye;Lee Ok-Hyun;Lee Young-Chang;Soh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73-3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뇌의 반응과 말초신경계의 변화를 통하여 유머와 기쁨의 긍정적인 정서의 구분이 가능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fMRI와 말초신경계 반응 측정 실험 각각을 수행하는 동안, 유머와 기쁨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 자극(2분)이 제시되었고, 실험이 끝난 후 심리적인 평가도 함께 수행되었다. fURI 실험은 boxcar design으로 한 session 내에 두 block으로 구성되었다. 말초신경계 반응실험에서는 안정상태와 정서상태에서의 피부전기 반응을 측정하였다. fMRI 결과, 유머자극과 기쁨자극 제시 시 공통적으로 precentral Cortex, temporal Cortex, precuneus 가 활성화 되었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우측 middle temporal cortex, 우측 inferior frontal cortex, 좌측 middle frontal cortex 에서 큰 활성화를 보였다. 피부전기 반응(EDA) 분석 결과 두 정서 모두 안정상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피부전도수준(SCL)과 피부전도반응의 수(NSCR)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nxiety and ANS Responses in Children Induced by Fearful Stimulus (공포자극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반응과 불안수준과의 관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Jang, Eun-Hye;Lee, Young-Chang;Im, Soo-Bin;Kim, Sook-Hee;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463-470
    • /
    • 2007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atients who suffer from anxiety disorders. However, there is been not enough attention 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between the two populations with and without anxiety disord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ANS responses induced by fear in children.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as follow: All subjects were in upper grade levels in elementary school. ANX(anxiety) scales of PIC(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were used to measure fear anxiety. Audio-visual clips were used as stimulus to provoke fear emotion. Baseline of physiological signals, ECG, PPG, EDA, and SKT, were measured for 30 seconds before the fear stimulus. Physiological signals were then recorded for 2 minutes while fear is evoke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All the children reacted to the fear stimulus with high intensity of fear. Physiological responses showed that SKT, SCR, NSCR, HR, RSA, RESP, HF were increased, while R-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fear induction. Analysis of the level of anxiety 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produced by the experience of fear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KT, HR, and RSA.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nxiety, the higher the levels of SKT, HR, and RSA when children experienced fear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rough this research that physiological responses to fear i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anxiety each individual.

  • PDF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Evoked by Fear and Disgust Emotion Using Audiovisual Film Clips in Children (공포와 혐오 정서에 대한 아동의 심리생리반응)

  • Jang, Eun-Hye;Woo, Tae-Je;Lee, Young-Chang;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2
    • /
    • pp.273-280
    • /
    • 2007
  •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evoked by negative emotions(fear and disgust) in children. 47 children(11-13 years old, 23 boy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le the children were experiencing fear or disgust emotion induced by audio-visual film clips, ECG, EDA, PPG and SKT are measured. Emotion assessment scale was used to confirm that emotions elicited by the film clips were significantly noticeable, which was measured self-report.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100% and 89.4% of appropriate for fear and disgust emotions, respectively. Emotional intensity the children had experienced was rated as 4.05, 4.07 on 1-5 scale based on effectiveness of measurement of fear and disgust emotion. ANS reponses by fear and disgust were significantly between the resting state and emotional state induced.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fear emo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CL, NSCR, HR, RSA, RESP and H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L and NSCR between the two emotions.

  • PDF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in Korea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 Chung, Sang-Keun;Hwang, Ik-Keun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4 no.1
    • /
    • pp.107-119
    • /
    • 1997
  • Objectives: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pattern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the relationship among anxiety rating scales and those patterns in patients were examine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AD) and 23 healthy subjects were evaluated by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RSA)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fore baseline stressful tasks. Subjective Units of Distress were evaluated just before baseline period, immediately after stressful tasks, at the end of the entire procedure, and psychophysiologic measures, i.e., skin temperature(ST), electromyographic activity(EMG), heart rate(HR), electrodermal response(EDR) during baseline & rest and during two psychologically stressful tasks (mental arithmetic, TM; talk about a stressful event, TT) were also evaluated. Results: 1) A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G level during rest after stressful tasks and higher HR level during all period except TM compared to control group. 2) AD group showed lower change in the startle response(SR) of ST, in the SR & the recovery response(RR) of EMG during TM, and in the RR of EDR immediately after TM than control group. AD group showed that the RR of ED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R during stressful tasks. 3) We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RR of EDR after TT in AD group.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RSA score and the SRs of EDR during stressful tasks, and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SR of EDR during TT.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how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healthy subjects and decreased physiologic flexibility or reduced autonomic flexibility.

  • PDF

Difference of 3-back task performance ability due to levels of arousal (각성 수준에 따른 3-back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

  • Lee, Su-Jeong;Min, Yoon-Ki;Kim, Bo-Seong;Choi, Mi-Hyun;Yang, Jae-Woong;Choi, Jin-Seung;Jun, Jae-Hoon;Tack, Gye-Rae;Min, Byung-Chan;Chung, Soon-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4
    • /
    • pp.373-380
    • /
    • 2009
  •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hree levels of arousal affect performance of a 3-back task. Ten university male (age $25.7{\pm}1.5$) and ten female (age $24.5{\pm}1.8$)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Using pictures selected from a group test, three levels of arousal, i.e. tensed, neutral, and relaxed emotions, were induced. Each subject was run through the procedure three times, once for each arousal level. The procedure consisted of six phases for each arousal condition Rest 1(2 min), Picture 1(presenting emotion arousing photos for 2 min), 3-back task 1(2 min), Picture 2(presenting emotion arousing photos for 2 min), 3-back task 2(2 min), and Rest 2(2 min). Skin conductance level(SCL) of electrothermal activity was also measured during all phases of the experiment. The accuracy rate of 3-back task performance was the highest at a neutral emotional state, followed by relaxed and then tensed emotional stat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action time(RT) among the three levels of arousal. SCL was the highest at a tensed emotional state, followed by neutral emotional state and then relaxed emotional state. Based on the results, it could be inferred that tension, induced by stimuli unrelated to cognitive tasks, decreases the ability to perform cognitive tas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