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of 3-back task performance ability due to levels of arousal

각성 수준에 따른 3-back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

  • 이수정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
  • 민윤기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 김보성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 최미현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
  • 양재웅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
  • 최진승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
  • 전재훈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
  • 탁계래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
  • 민병찬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 정순철 (건국대학교 의학공학부, 의공학 실용기술 연구소)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hree levels of arousal affect performance of a 3-back task. Ten university male (age $25.7{\pm}1.5$) and ten female (age $24.5{\pm}1.8$)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Using pictures selected from a group test, three levels of arousal, i.e. tensed, neutral, and relaxed emotions, were induced. Each subject was run through the procedure three times, once for each arousal level. The procedure consisted of six phases for each arousal condition Rest 1(2 min), Picture 1(presenting emotion arousing photos for 2 min), 3-back task 1(2 min), Picture 2(presenting emotion arousing photos for 2 min), 3-back task 2(2 min), and Rest 2(2 min). Skin conductance level(SCL) of electrothermal activity was also measured during all phases of the experiment. The accuracy rate of 3-back task performance was the highest at a neutral emotional state, followed by relaxed and then tensed emotional state.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action time(RT) among the three levels of arousal. SCL was the highest at a tensed emotional state, followed by neutral emotional state and then relaxed emotional state. Based on the results, it could be inferred that tension, induced by stimuli unrelated to cognitive tasks, decreases the ability to perform cognitive tasks.

본 연구에서는 세 단계의 각성 수준이 3-back 과제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10명의 남자(평균 $25.7{\pm}1.5$세) 대학생과 10명의 여자(평균 $24.5{\pm}1.8$세) 대학생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검사를 통해 추출된 사진을 이용하여 세 단계의 각성 수준 즉, 긴장, 중립, 이완감성을 유발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각 각성 수준에 대해 한 번씩, 총 3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안정1(2분), 각성유발사진제시1(2분), 3-back 과 제1(2분), 각성유발사진제시2(2분), 3-back 과제2(2분), 안정2(2분)의 6단계로 실험이 진행되었고, 전 단계에서 피부전도수준(skin conductance level: SCL)도 함께 측정하였다. 3-back 과제의 정답률은 중립 조건일 때 가장컸고, 이완, 긴장 조건 순서였다. 반응시간은 세 조건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구간에서 측정된 피부전도수준은 긴장 조건일 때 가장 컸고, 중립, 이완 순서로 나타남으로써, 사용된 각성유발사진이 적절한 각성수준을 유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인지 처리와 무관하게 유발된 긴장도의 증가나 감소는 과제 수행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