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부전도도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utonomic Responses caused by Dynamic Visual Stimulation and rough Roads (동적 시각자극과 도로 굴곡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 정순철;민병찬;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유나;김철중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75-82
    • /
    • 1999
  • 지금까지 인간 감성의 측정은 대부분 제한된 실험실에서 실시되었다. 보다 자연스러운 동적인 환경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통해 추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쾌 또는 불쾌한 도로의 시각 환경이 긍정 및 부정 시각으로 제시되었고, 아스팔트, 시멘트, 비포장 도로 등의 도로 굴곡 변화가 또 다른 쾌/불쾌 관련 감성 자극으로 제시되었다. 건강한 5명의 피험자는 실험을 위해 차량 내부에서 도로의 시각 환경을 관찰하게 하였고, 세 가지 굴곡이 다른 도로를 주행하면서 굴곡 변화에 따른 감성을 느끼게 하였다. 심박 변화율, 피부 저항, 피부온도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였고 주관적 평가와 비교 분석하였다. 피험자가 긍정 시각 장면에 비해 부정 시각 장면을 보았을 때 또한 도로 굴곡의 변화가 클수록 평균 R-R 간격과 피부온도의 감소율은 컸고 피부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동적 환경에서 긍정 감성 자극에 비해 부정 감성 자극이 주어 졌을 때 교감 신경계의 활성화가 보다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nxiety and ANS Responses in Children Induced by Fearful Stimulus (공포자극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반응과 불안수준과의 관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Jang, Eun-Hye;Lee, Young-Chang;Im, Soo-Bin;Kim, Sook-Hee;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3
    • /
    • pp.463-470
    • /
    • 2007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atients who suffer from anxiety disorders. However, there is been not enough attention 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between the two populations with and without anxiety disorde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ANS responses induced by fear in children.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as follow: All subjects were in upper grade levels in elementary school. ANX(anxiety) scales of PIC(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were used to measure fear anxiety. Audio-visual clips were used as stimulus to provoke fear emotion. Baseline of physiological signals, ECG, PPG, EDA, and SKT, were measured for 30 seconds before the fear stimulus. Physiological signals were then recorded for 2 minutes while fear is evoke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All the children reacted to the fear stimulus with high intensity of fear. Physiological responses showed that SKT, SCR, NSCR, HR, RSA, RESP, HF were increased, while R-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fear induction. Analysis of the level of anxiety 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s produced by the experience of fear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KT, HR, and RSA.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nxiety, the higher the levels of SKT, HR, and RSA when children experienced fear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rough this research that physiological responses to fear i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anxiety each individual.

  • PDF

The Design of Embroidery Textile Electrodes for Biosignal Applications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자수 직물전극 디자인)

  • Gang, Da-Hye;Song, Ha-Yeong;Lee, Yeong-Jae;Lee, Jeong-Hwan;Lee, Ju-Hyeon;Jo, Ha-Gyeong;Jo, Hyeo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58-61
    • /
    • 2009
  • 최근 직물전극을 의복에 적용하여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심전도, 심박과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직물전극의 경우, 높은 임피던스와 피부-전극 간의 불안정한 접촉으로 인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피부-전극 간의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극의 구조를 고안하여 의복에 적용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와 직물전극간의 접촉을 안정화 시킨 후, ECG(Electrocardiogram)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에 사용한 전극의 특성 분석 방법으로는 전극의 임피던스와 그에 따른 ECG 를 측정하여 SNR 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물전극의 두 가지 구조와 직물전극과 트랜스미터 연결 스냅간 접촉 방식에 따른 ECG 측정을 비교한 결과, 전극 구조와 전도성 paste 사용 여부는 모두 ECG 측정에 영향을 미쳤다.

  • PDF

The positive effect of motion base in virtual navigation (가상주행에서 모션베이스의 긍정적인 효과)

  • 김영윤;김은남;고희동;김현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3-10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사용자들이 모션베이스를 사용함에 따라 가상현실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33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모션베이스 평가설문과 자기보고를 통해 가상현실에서의 현실감, 재미, 멀미감을 조사하고 가상주행 전, 중, 후에 내장근전위, 피부전도도, 말초체온, 말초혈류량, 심박률, 눈 깜박임의 생리신호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모션베이스 유무에 따른 심리·생리적인 변수들에서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모든 피험자는 2주 간격으로 모션베이스 사용조건과 모션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두 번 가상현실을 경험하였다. 가상현실에 대한 현실감, 재미항목에서 모두 모션베이스를 사용한 조건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모션베이스를 사용한 조건에서 멀미보고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Tachyarrythmia의 상대파워 변화량과 PPG 최대진폭의 평균변화량 비교는 모션베이스를 사용한 가상현실 조건이 생리적인 요동을 적게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각제시기와 동기화된 모션베이스를 도입함으로써, 가상현실에 대한 현실감은 높이면서 멀미감은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Emotion Recognition using Bio-signal Measurements & K-Means Classifier (생체신호 분석과 K-Means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정 인식)

  • Cha, Sang-hun;Kim, Sung-Jae;Kim, Da-young;Kim, Kwang-baek;Yun, S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386-388
    • /
    • 2018
  • 본 논문은 사회적 상호작용 결여로 감정 기복이 심하고 스트레스로 인해 정서불안 증세를 보이는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4가지 감정 자극에 대하여 생체신호를 분석하고 K-Mean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획득한 정보로부터 감정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구성은 참가자가 주어지는 감정자극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맥파 및 피부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한 후 자율신경 비율을 나타내는 LF/HF의 심박 정보와 피부 반응 정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추출된 정보로부터 K-Mean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감정 상태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총 3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4가지 감정 자극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생체신호 측정을 이용한 감정인식 방법이 제시되는 감정 자극을 충분히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Conductive Paste in Electroencephalography: Evaluation of Artifact and Satisfaction (뇌파검사에서 전도성 접착제의 비교분석: 인공산물과 만족도 평가)

  • Jae-Hwan SONG;Sung-Hee KIM;Dae-Hyun KIM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6 no.1
    • /
    • pp.85-88
    • /
    • 2024
  • Electroencephalography (EEG) is a test that diagnoses epilepsy and measures brain function. During EEG,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is filled with a conductive paste to reduce the imped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calp, which helps measure the EEG signals. This study compared the artifacts of the two representative conductive pastes (Ten20 and Elefix). The artifacts, noise, and satisfaction were surveyed after using the two conductive pastes. The two conductive pastes had similar artifacts and noise, but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Elefix conductive paste had better satisfaction and adhesion. This result may be explained by the imprinting effec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using the Elefix conductive paste first in the EEG class. Hence, further research is needed.

Study and Effects of Bone Conducted Signal on the Implantable Microphone (골전도를 통한 생체신호가 이식형 마이크로폰에 미치는 영향 및 고찰)

  • Woo, S.T.;Jung, E.S.;Kim, M.N.;Cho, J.H.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4 no.1
    • /
    • pp.29-34
    • /
    • 2010
  • The fully implantable hearing devices (FIHDs) have been studied to compensate the defect of conventional hearing aids. Typically, a microphone for FIHDs was implanted under the skin of the temporal bone. So, implantable microphone characteristics can be affected by the eating food, chattering teeth and moving artifact. In this paper, we fabricated the physical model that was similar to characteristics of human temporal bone and skin, and we measured implanted microphone sensitivity for effect of bone conducted noise signal. For the measurement of microphone sensitivity, we applied 1 kHz pure sounds that were transmitted to implanted microphone and sine wave vibrations of varied frequency we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hrough the artificial bone. As a result, sensitivity of implanted microphone can be modified by bone conducted signal and this phenomenon was confirmed at varied frequency band.

Analysis of Optimal and Pleasant Driving Cond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생리신호 측정을 통한 심리적 적정 운전상태 분석)

  • 김정룡;황민철;박지수;윤상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3
    • /
    • pp.27-35
    • /
    • 2004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 psychological status of optimal and pleasant driving condition by measuring various physiological signals using SCR(skin conductance response), PPG(peripheral plethysmograph), SKT(skin temperature) and HR(heart r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 was measured during various simulated driving conditions. We developed a hardware and algorithm to measure and analyze the physiological response. The physiological signals has reflected the level of driver's tension or relaxation as well as the heart rate. The emotional responses of drivers were also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 system to enhance the driver's emo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to monitor the driver's safety and health condition.

  • PDF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Navigation in a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에서의 운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생리학적 연구)

  • 김영윤;김현주;정명숙;이영혁;문성재;진창배;고희동;박병관;박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42-24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에서 simulator factor [FOV (field of view)와 운행속도, frame rate의 fluctuation]를 변화시키면서 사용자들의 시지각 과제수행도, 생리신호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가상현실 경험 전·후에 실시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심리적 영향도 알아보았다. 1) 가상현실 운행시 눈깜박임이감소하고 Pz, O1, O2 영역의 알파파가 줄어들며 텔타파가 늘어나는 생리적 변화가 나타났다. 2) 특히 가상현실에서 멀미를 보고했을때 심박률, 피부전도도가 증가하고 피부온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미 보고시 나타난 변화는 교감신경계의 활동성이 증가하는 방향과 일치하였다. 3) 빠른 운행속도가 느린 운행속도보다 높은 말초혈류량 최대-최소차이값을 나타냈고, 넓은 FOV가 좁은 FOV보다 높은 심박률을 나타냈다. 좁은 화면 보다 넓은 화면 조건에서 Cz, Pz 영역의 알파파는 더 낮게 나타났고 텔타파는 더 높게 나타났다. frame rate의 fluctuation이 없을 때에 비해 있을때 더 높은 피부전도도를 보여주었다. 4) 가상현실 평가설문지 분석결과 신체적 불편감은 좁은 FOV·느린 운행속도 조건에서 가장 적은 불편감을 나타냈다. 과제수행 곤란도는 느린 운행속도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고 과제수행 적중률은 느린 운행속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리신호, 과제수행 적중률, 설문지 분석결과는 좁은 FOV·느린 운행속도의 가상환경이 가장 멀미에 덜 민감하고 과제수행하기에 가장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a Stretchable Wearable Device Using Emotion Information (감성 정보를 이용한 스트레처블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 Kim, Bonam;Do, Hyun-Ku;Lee, Seong-Min;Lee, Soo-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5-517
    • /
    • 2016
  • In this paper, we develope a stretchable wearable device containing services for processing physiological signals to extract emotion information. The emotion extracting algorithm conducts to recognize emotion from EDR, SKT, and HRV signals measured with the fabric sensors. In addition, the suggested wearable device can also solve the problems faced with today's many other wearable devices: 1) limited battery life 2) the lack of compatibility and expandability due to run on internal components designed for smart phone 3) the design has always been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main stream consumer wearable dev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