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전도도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4초

다중 웨어러블 센서를 활용한 운전자 상태 인식 (Driver's Status Recognition Using Multiple Wearable Sensors)

  • 신의섭;김명국;이창욱;강행봉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6호
    • /
    • pp.271-28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의 안전운전을 위해서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에게 적절한 경보를 하거나, 직접 자동자를 제어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운전자 얼굴정보를 촬영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운전자의 시트나 스티어링 휠에 센서를 장착하여 생제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 부정확하거나 단속적인 정보만을 얻을 수 있는데 비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웨어러블 장치는 의료장비 수준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높은 정확도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었다. 개발된 웨어러블 장치에는 심박, 피부전도도, 피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였으며,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각종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 기술을 적용하였고, 가속도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장착하여 측정 오차를 제거하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생체신호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고, 공인인증기관에 의뢰하여 의료수준 정도의 정확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실험실 시험과 실차 시험을 통하여 개발된 장치가 운전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각성 수준에 따른 3-back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 (Difference of 3-back task performance ability due to levels of arousal)

  • 이수정;민윤기;김보성;최미현;양재웅;최진승;전재훈;탁계래;민병찬;정순철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373-3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세 단계의 각성 수준이 3-back 과제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10명의 남자(평균 $25.7{\pm}1.5$세) 대학생과 10명의 여자(평균 $24.5{\pm}1.8$세) 대학생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검사를 통해 추출된 사진을 이용하여 세 단계의 각성 수준 즉, 긴장, 중립, 이완감성을 유발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각 각성 수준에 대해 한 번씩, 총 3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안정1(2분), 각성유발사진제시1(2분), 3-back 과 제1(2분), 각성유발사진제시2(2분), 3-back 과제2(2분), 안정2(2분)의 6단계로 실험이 진행되었고, 전 단계에서 피부전도수준(skin conductance level: SCL)도 함께 측정하였다. 3-back 과제의 정답률은 중립 조건일 때 가장컸고, 이완, 긴장 조건 순서였다. 반응시간은 세 조건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구간에서 측정된 피부전도수준은 긴장 조건일 때 가장 컸고, 중립, 이완 순서로 나타남으로써, 사용된 각성유발사진이 적절한 각성수준을 유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인지 처리와 무관하게 유발된 긴장도의 증가나 감소는 과제 수행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 PDF

자율신경반응에 의한 방향성 의류소재의 힐링효과 평가 (Healing Effect Assessment by the Autonomic Nervous Responses Using the Aroma-Treated Fabrics)

  • 박해리;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18권2호
    • /
    • pp.19-30
    • /
    • 2015
  • 본 연구는 라벤더 향과 레몬 향을 포함하는 방향성 의류소재에 힐링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신체 반응인 자율신경계 반응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라벤더와 레몬향의 마이크로캡슐과 수성 아크릴 바인더를 사용하여 면직물에 코팅처리 하여 각각 2%, 5%의 농도로 처리 된 라벤더와 레몬향의 방향성 의류소재 총 4종을 만들었다. 심전도, 피부전도수준, 혈류량의 실험 참여자는 10명 이었으며, 안정 상태에서 30초, 스트레스 상태 (working memory task) 30초, 향 자극 상태(방향성 섬유를 비벼 향을 나게 한 후) 30초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감성 평가도 함께 실시하였다.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표준화를 해주었으며, 표준화 값에 대하여 안정 상태와 자극 상태의 생리신호 차이와, 스트레스 상태와 자극 상태의 생리신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검정 Friedman 검증을 통해 그 경향을 분석 하였다. 자율신경 발란스 지수(LF/HF)는 스트레스 유발 후 향 자극 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어 사후검증 하였다. 그 결과 레몬 5%의 향 자극은 라벤더 2%, 라벤더 5%, 레몬 2%의 향 자극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 유발 후 레몬 5%의 향 자극은 스트레스를 증가 시켰으나 라벤더 2%, 라벤더 5%, 레몬 2%의 향 자극은 심리적 안정을 유발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켰으며 본 논문에서 힐링효과를 나타냈다.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정신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신체활동량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d analysis on amounts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young children with normal condition using accelerometer)

  • 황선영;최경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69-1873
    • /
    • 2008
  • 본 연구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정신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정신지체유아 3명과 일반유아 3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을 분석하였다. 신체활동량의 계측은 횡축 가속도 최고치, 종축 가속도 최고치, 평균 열발산, 분당 보행 수, 피부 전도도이다. 정신지체유아를 교육하는 기관에서의 놀이활동 시간을 측정한 결과 횡축으로 움직였을 때($2.94{\pm}0.60$)와 종축으로 움직였을 때($4.97{\pm}0.65$) 일반유아들(횡측 종측 각각 $4.50{\pm}0.95$, $6.05{\pm}0.87$)보다 덜 움직이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신체적 일반 특성에서 운동능력이 부족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평균 열발산과 분당보행수, 피부전도도가 일반 유아들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지체유아들의 교육에 있어서 정신지체유아들이 좀 더 흥미를 갖고 활동을 많이 그리고 빨리하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전도산(顚倒散)의 추출용매에 따른 항염 및 항산화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in Accodance with Extraction Solvents of Jeondo-san)

  • 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80
    • /
    • 201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of Jeondo-San(JDS) extracted with two kinds of solvents, ethanol and water. Methods : Two kinds of JDS extractions were prepared 20, 50, $100\;{\mu}g/mg$. The Cytotoxic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in Raw 264.7 cell. The anti-inflammation effects were measured by inhibitory efficacy on $PGE_2$, NO, TNF-$\alpha$, COX-2 and iNOS in Raw 264.7 cell. The anti-oxidation effects were measured by ROS inhibitory efficacy, intracellular GSH synthesi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in HaCaT cell. Results : 1. All of JDS extraction groups had no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 2. All of JDS extrac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production of $PGE_2$. Inhibitory efficacy increased in accodance with concentration. 3. All of JDS extrac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production of NO. Inhibitory efficacy increased in accodance with concentration. 4. All of JDS extraction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production of TNF-$\alpha$. 5. $100\;{\mu}g/ml$ JDS extracted with ethanol and $50\;{\mu}g/ml$, $100\;{\mu}g/ml$ JDS extracted with water showed inhibitory effect on iNOS expression. 6. All of JDS extrac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production of ROS. Inhibitory efficacy increased in accodance with concentration. Ethanol extractions were better than water extractions. 7. $100\;{\mu}g/ml$ JDS extracted with ethanol only produced GSH of $32{\pm}5.2%$. 8. All of JDS extrac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scavenging effect of DPPH radicals. Inhibitory efficacy increased in accodance with concentration. Ethanol extractions were better than water extractions. Conclusion : Two kinds of JDS extractions have not cytotoxicity and inhibit production of NO. JDS extracted with water was effective in anti-inflammation, JDS extracted with ethanol was effective in anti-oxidation.

전도산(顚倒散)이 여드름 유발균과 염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eondo-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 최관호;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2호통권33호
    • /
    • pp.89-101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eondo-San(JDS)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Methods : The effects of JDS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were measured by the cytotoxicity of Raw 264.7 cell, the inhibition for NO, $TNF-{\alpha}$, $PGE_2$, iNOS and COX-2, the blocking $NF-{\kappa}B$ into nucleus and the sterilizing power for Propionibacterium acnes. Results : 1. All concentrations of JDS has no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 2. All concentrations of JDS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in the Raw 264.7 cell stimulated with LPS. 3. All concentrations of JDS did not significantly inhibit the production of $TNF-{\alpha}$ in the Raw 264.7 cell stimulated with LPS. 4. All concentrations of JDS inhibited the production of $PGE_2$ in the Raw 264.7 cell stimulated with LPS. 5. All concentrations of JDS did not inhibit the expression of COX-2 but concentrations of 50\;{\mu}g/ml$, 100\;{\mu}g/ml$ JDS inhibited iNOS expression in the Raw 264.7 cell stimulated with LPS. 6. Concentrations of 50\;{\mu}g/ml$, 100\;{\mu}g/ml$ JDS has the effect of blocking $NF-{\kappa}B$ into nucleus in LPS-induced macrophage Raw 264.7 cell. 7. All concentrations of IDS did not have the inhibitory effect of Propionibactrium acnes. Conclusions : The present date suggest that JDS has a effect on the stage of inflammation of acne.

  • PDF

브래지어의 착용에 따른 인체 생리반응 (Physiological Reaction to Brassiere Use)

  • 이소영
    • 복식
    • /
    • 제63권4호
    • /
    • pp.132-142
    • /
    • 2013
  •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physiological reaction to wearing brassiere as well as the sensations that the wearer fee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brassiere use on the human body. Six healthy women in their twenties were used as subjects and the experiment measured the difference in their S.C.L, Skin Temperature, B.V.P and Pulse. The measurements were made in the following conditions: Women not wearing any brassiere, women wearing sports brassiere, and the women wearing wire brassier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areas. 1. S.C.L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hen they didn't wear any brassiere, followed by when they wore wire-brassiere and then sports brassiere. 2. The Skin Temperatur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hen they wore wire-brassiere, followed by when they wore sports brassiere and when they didn't wear any of them. In particular, when they wore sports brassiere, the B.V.P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hen they wore none of them, fir skin temperature dropped as time passed. 3.ollowed by when they wore sports brassiere and then wire brassiere. When they wore sports brassiere, they had irregular blood-flow. 4. Puls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hen they didn't wear any of them, followed by when they wore sports brassiere and then wire brassiere. 5. Those who didn't wear any brassiere felt the most chill, followed by those wearing wire brassiere and then sports brassiere. The moisture level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hen they wore sports brassiere, followed by when they wore wire brassiere and then when they wore none of them. Comfort level was found to be the best with no brassiere, followed by wire brassiere and then sports brassiere.

DITI 및 전기신경전도검사(EN0G 및 EMG)를 이용한 구안와사(Bell's palsy)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Bell's Palsy with DITI and Nerve Conduction Test(EN0G and EMG))

  • 김진만;홍철희;두인선;황충연;김남권;박민철;이상관;정상수;윤준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9-211
    • /
    • 2003
  • The clinical data and thermographic imaging were analyzed on the 38 cases of Bell's palsy who were treated admission in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from January 2002 to May 2003. 38 patients with Bell's palsy were within one week after the onset of the paralysis, and thermal type in the DITI were hypo or hyper generally. Nerve conduction test(ENOG and EMG) examined in two weeks after onset. We studied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rmal type and paralysis grade on admission day. We studied each main effect ; paralysis grade on admission day - nerve conduction test, nerve conduction test - thermal type, thermal type - paralysis grade after 4 weeks, paralysis grade on admission day - paralysis grade after 4 weeks, sasang constitution - nerve conduction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a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rmal type and paralysis grade on admission day showed no significance, each main effect ; paralysis grade on admission day - nerve conduction test, paralysis grade on admission day - paralysis grade after 4 weeks, showed significance, each main effect ; nerve conduction test - thermal type, thermal type - paralysis grade after 4 weeks, sasang constitution - nerve conduction test, showed no significance.

  • PDF

경추부 후면 및 측면 피부 냉각 작용이 대학생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Attention of College Students by Epidermal Cooling in Posterior and Lateral of Upper Cervix)

  • 장지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28-334
    • /
    • 2022
  • 사람의 인지기능 중 주의력은 감각기관을 통해 방대한 자극 중 필요한 자극에만 의식을 집중하는 과정이다. 주의력은 실내 온도 등 노출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냉각 팩 등을 사용한 직접 전도 방식의 냉각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효과를 보고 있으나 전도에 의한 냉각이 주의력과 같은 인지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경추부 후면 부위에 특수 제작된 냉각 패드를 적용할 때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40명의 피검사자를 네 집단으로 나누고 독서 및 산책 중 냉각 패드의 적용에 따라 주의력이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주의력은 FAIR 주의력 검사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선택적 주의력을 의미하는 능력지수, 주의력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통제지수, 균일한 주의력의 유지 기간을 나타내는 지속성지수에 대한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독서 및 학습 등 시각적 주의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경우 냉각 패드의 적용을 통한 전도 냉각이 선택적 주의력을 확대시키고 균일한 주의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선택적 주의력의 향상과 균일한 주의력의 유지를 위해 가벼운 신체 활동이 도움이 된다. 다만 이 경우 전체 독서 시간의 감소를 전제로 하여야 한다.

운전 중 동시과제 수행이 택시운전자의 차간거리 및 속도유지 능력과 피부전도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condary Tasks on Relative Change of Skin Conductance Level and Ability to Maintain Following Distance and Vehicle Velocity during Driving of Experienced Taxi Drivers)

  • 연홍원;윤희정;김한수;김지혜;최미현;최진승;지두환;탁계래;민병찬;정순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1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condary tasks such as sending text message (STM) and searching navigation (SN) on skin conductance level (SCL) and driving performance of relatively aged and high-experienced drivers. The subjects included 26 taxi drivers; 12 males aged $56.3{\pm}4.4$ with $28.4{\pm}6.4$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nd 14 females aged $55.5{\pm}3.5$ with $19.4{\pm}5.0$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ll subjects were instructed to keep a constant following distance (30m) from the car ahead and a given vehicle speed (80km/h or 100km/h) in a driving simulator. The relative change of SCL, vehicle velocity deviations, and average following distances were measured during driving only and driving with secondary tasks. The relative change of SCL, average following distance, and vehicle velocity deviation were more increased during the driving with secondary tasks than driving only. The relative change of SCL, vehicle velocity deviation, and average following distance were more affected by driving with 100km/hr than 80km/hr of a given vehicle speed. Secondary tasks increased a work load of drivers in term of SCL change, and decreased driving performance in terms of the vehicle velocity deviation and average following d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