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염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27초

아토피피부염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청기해독탕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GT in atopic dermatitis model mice)

  • 승윤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361-368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CGT의 항염증과 관련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In-vitro 실험에서 MTT, NO, ROS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 실험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In-vivo 실험은 아토피피부염 동물 모델인 NC/Nga 생쥐에서 항염증과 관련한 인자 및 조직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CGT는 RAW 264.7 세포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LPS를 이용한 NO와 ROS의 검사에서도 효과를 나타내었다. CGT 처치 그룹은 혈청 내 IL-$1{\beta}$와 IL-6, TNF-흰 에서 53%, 43%, 57%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고, IgE 역시 56%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피부에 지방세포의 침윤을 억제하고, 표피 및 진피의 두께 역시 감소하였다. 그 결과 CGT는 NC/Nga 생쥐에서 항염증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GT는 아토피피부염과 염증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DNCB로 유도된 생쥐에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야관문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Lespedeza Caneata (LC)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 in DNCB-Induced Mice)

  • 정경아;정민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67-73
    • /
    • 2016
  • 본 연구는 야관문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은 5개 군으로 분류하여 정상군, 아토피유발군(AD), 아토피 유발 후 LC 농도별 투여군(AD-LC: 100 mg/Kg, 300 mg/Kg, 500 mg/Kg)으로 구분하였다. AD군과 AD-LC군은 제모한 부위에 1% DNCB 용액 $1200{\mu}{\ell}$를 2주간 도포하고, 그 이후로는 2일 간격으로 0.1% DNCB 용액 $150{\mu}{\ell}$를 4 주간 도포하였다. 피부 두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나타내는 특징으로 AD군이 피부의 두께가 가장 두꺼웠으며, AD-LC 500군은 정상군과 같았다. 비만세포는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로 AD군의 비만세포의 수가 가장 많았다. 콜라겐섬유와 탄력섬유는 정상적인 피부에서 많이 관찰되는데 AD-LC 500군에서 치밀하고 균일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야관문 추출물이 피부조직의 염증에 의한 각화, 습진,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항아토피 효능이 있다고 사료된다.

개에서 발생한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1례 (Irritant Contact Dermatitis in a Dog)

  • 강종일;박정호;이왕희;오태호;조성환;박성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07-609
    • /
    • 2011
  • 6년령의 중성화한 암컷 코커 스파니엘이 1개월 전부터 시작된 서혜부의 홍반과 가피, 소양감을 주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환축은 건성 피부에 대하여 보습을 목적으로 오트밀 샴푸와 보습용 스프레이를 수 개월간 사용하였다. 전혈구 검사와 혈청 생화학 검사결과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표피의 이상각화증과 표피증식증이 확인되었으며, 진피 상층부의 혈관주위 염증이 관찰되었다. 병력, 임상증상, 신체검사 및 혈액학적 검사, 피부기본 검사와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으로 진단하였다.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보습용 스프레이의 사용을 중지하였으며 2주 후 서혜부의 홍반, 가피와 소양감이 개선되었다.

DNCB 유도 BALB/c 생쥐에서 어성초 혼합 한방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Effect of Herb Extracts Mixed with Houttuynia Cordata on Antiatopic Dermatitis in DNCB-Induced BALB/c Mouse)

  • 박상오;박병성;류채민;안용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5-183
    • /
    • 2012
  • 본 연구는 아토피 피부염을 갖는 질환동물에서 어성초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크림의 항아토피 피부염증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였다. BALB/c 마우스 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유발 대조군 및 크림 처리군으로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혈액 IgE와 히스타민 농도는 크림 처리군이 DNCB 유도 아토피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아토피 피부염이 심각한 상태의 마우스에서 정상적인 피부상태로 회복되었음을 관찰하였다. 본 결과는 아토피질환 모델 BALB/c 마우스에서 어성초 혼합 식물추출물의 투여가 혈액 IgE를 낮춤과 동시에 비만세포에서 생성되는 히스타민의 배출량을 억제함으로써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다는 점을 시사 해준다.

사상자 추출물이 DNCB로 유도된 BALB/c 마우스의 접촉성 피부염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rilis japonica Extract on DNCB-induced Contact Dermatitis in BALB/c Mice)

  • 이규영;송은혜;홍철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77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TJ 열수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 4-dinitrochlorobenzen (DNCB)으로 BALB/c 마우스에 1차 감작 후 3주간 2차 감작을 시행하여 아토피 유사 피부병변을 나타내는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한 뒤 동결건조 처리된 TJ 분말을 (PBS/EtOH/Cremophor=6:1:3)에 용해시켜 쥐의 등 피부에 10, 50 mg/ml 농도로 3주간 도포하였다. 결과: TJ 열수추출물은 아토피 피부 병변의 염증세포 침윤을 억제하였고 (10, 50 mg/ml ) 표피와 진피 두께를 회복시켰으며 (10, 50 mg/ml ), 혈청에서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였다 (00 mg/ml ). 또한 Th2 세포와 관련된 cytokine인 interleukin (IL)-4, IL-5, IL-13과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의 mRNA 발현 양을 감소시켰고 (10, 50 mg/ml ), Th2 chemokine인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 or CCL17)의 mRNA의 발현 양을 감소시켰다 (10, 50 mg/ml ). 결론: TJ 열수추출물을 BALB/c 마우스에 외용하였을 때 항아토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TJ가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외용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수도 사용량과 환경성 질환의 지역적 분포 - 아토피, 천식, 비염을 중심으로 -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Water Usage and Environmental Diseases : With Focus on Atopy, Asthma and Nasal Inflammation)

  • 임동표;정환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28-738
    • /
    • 2015
  • 본 연구는 상수도 사용량과 환경성 질환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환경성 질환(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천식)이 공간적 특성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가정용 물 사용량이 많을수록 아토피 피부염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폐수 발생량이 많을수록 알레르기 비염 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천식 환자 수는 가정용 물 사용량, 산업용 물 사용량, 폐수 발생량 중 어떤 변수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물 사용량이 환경성 질환, 그 중에서도 아토피 피부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밝혔으며, 이 결과는 향후 환경성 질환 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