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복재료

Search Result 32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Basic Study on Historical Repair Techniques for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 Focusing on Government-managed Spaces in Joseon Dynasty - (전통조경 시설물의 역사적 수리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 조선시대 관영공간을 중심으로 -)

  • Kim, Min-Seon;Oh, J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4
    • /
    • pp.8-20
    • /
    • 2023
  • Although the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need to be repaired according to historical and authentic techniques, the repair criteria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still remain at a theoretical level, and there are little research analyzing detailed techniques from specific cases. This study discussed the repair techniques based on historical facts, around terraced flower beds, ponds, waterways and pavement in the government-managed spaces in the Joseon Dynasty. It analyzed the materials and finish of stone wall elements,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backfill materials, and topsoil surface protection measures, and drew out stones for foundation reinforcement, plastering material for agglutination, and stone processing techniques for the terraced flower beds. It examined the materials and structures of the rock revetment,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waterproofing techniques and drew out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foundation work, the recycle of used elements and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for the ponds. It primarily investigated the materials, foundation reinforcement and waterproofing techniques and discovered the repair techniques such as cover stone finishing methods, foundation and backfill materials, and flow reduction methods, for the waterways. Finally, it provided actual cases of the foundation composition, auxiliary materials and tools, and the use of cyperaceae and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professional craftsmen called Bangjeonjang(方磚匠), for the pa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staring point for discovering the repair techniques for landscape architectural facilities and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specifications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Mountainous Pasture III. Effect of seed coating on oversown pasture (산지초지 개량에 관한 연구 III. 종자 Coating에 의한 겉뿌림 초지육성)

  • 이인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4 no.3
    • /
    • pp.194-200
    • /
    • 1984
  • Effects of seed coating on establishment, early growth and herbage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in Pot, Soil box and Field experiments. Seed was coated with 60% Lime, 20% Phosphate and 20% Peatmoss(W/W), also finely sprayed 13% Arabic gum and 2% Methyl cellulose(W/V). Coating were generally 1:20, seed: coat(W/W). 1. In the general growth of the growing stages and different oversown species at 80 days, seed coated was promoted than none in early growth. (Table 2 and 3) 2. Stand counts at 60 days after oversown, seed coated was higher 15% than none, especially, there was advantage due to coating on the medium and large size seeds such as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and Kentucky bluegrass, but did not assist establishment of the large (Tall fescue) and small (Ladino clover) size seed. 3. Variation of sward composition was not quite different between two treatments, but seed coated was sligh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sown grasses with advance of cutting time. 4. Total dry metter yield per unit area with seed coated was higher 17% than none in establishment year. 5. Variation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erbage and soil were influenced by coating materials in the coating regime (Table 8). 6. From these facts, seed coated also appeared that adequate seedling stands, early growth and herbage production could be obtained with higher than conventional overseeding method under a poor conditions.

  • PDF

Analysis of breaching behavior of levee according to coating thickness of new substance (신소재의 피복두께에 따른 제방의 붕괴 거동 분석)

  • Ko, Dong Woo;Kim, Sung Joong;Kang, Joon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80-480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자연 친화, 하천생태계 보전, 친수하천 등을 조성하기 위한 대대적인 하천 정비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최근 홍수로 인한 제방 붕괴에 대응하기 위한 제방의 안정화 및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시멘트와 같은 혼합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노후화 된 불안정 제방에 대한 보강대책을 수립해나가는 과정으로써 친환경 신소재를 활용하여 제방을 보호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제방사면에 적용되는 신소재는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재료로써 공동연구기관 카이스트에서 개발된 환경 친화적인 물질로 미생물에 의해 유도된 고인장 및 인체 무해성 등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경제적 타당성인 측면에서 시멘트와 비교 분석 되어야 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신뢰성 및 내구성 검토 등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안동하천실험센터에서는 중규모 제방을 직접 제작하여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친환경 신소재 활용 제방의 안정성 및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리실험 조건은 카이스트에서 제시된 레시피를 기반으로 먼저 분말형태의 바이이폴리머를 물과 희석하여 만들어진 바이오폴리머 용액을 흙과 혼합한 뒤 제방표면에 직접 미장작업을 수행하여 실험조건에 따라 일정한 두께(1cm, 3cm, 5cm)로 피복하였다. 이후 월류 붕괴 실험이 가능한 3 - 5일 정도의 양생기간을 거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수의 고프로(GoPro) 및 비디오 카메라 등 다양한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픽셀기반의 영상분석기법을 활용한 시간 흐름에 따른 제방 사면에서의 붕괴규모를 산정하여 신소재의 피복 두께에 따른 제체의 붕괴 거동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제방 파괴부에서의 흐름 상황 및 유속이 붕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PIV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의 최종목표는 지속적인 예비실험을 수행하여 월류 및 침투, 파이핑 등 파괴 인자 별 신소재의 성능 개선 및 개발된 새로운 공법에 대한 효과 검토를 통한 최적안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실규모 실험실증을 통한 신소재 시공 및 공법에 대한 현장적용 가능성 검증을 거쳐 최종적으로 신소재 제방 공법 설계 기술, 신소재 및 공법 표준안, 제방공법 안정성 평가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러한 실험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실제 제방 붕괴 시 비상대처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nges of Soil Redox Potential,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in Paddy on Paper Mulching Transplanting by Organic Matter Application (종이멀칭 이앙재배 시 유기물원에 따른 토양산화환원전위, 잡초방제 및 벼 생육특성 변화)

  • Jeon, Weon-Tai;Yang, Won-Ha;Roh, Sug-Won;Kim, Min-Tae;Seong, Ki-Yeong;Lee, Jong-Ki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0 no.6
    • /
    • pp.495-500
    • /
    • 2007
  • Recently we are interest in organic farming of rice. The technology of paper mulching was practised without herbicide in machine transplanting cultivation of paddy.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Gangseo series (coarse loam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Aquic Fluventic Eutrochrept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Suwon, Gye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in 2004.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soil redox potential,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by the different organic matter in paper mulching transplanting. Compost, rice straw and soiling rye were incorporated as organic matter. The nitrogen amount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CRF) plot was 80% compared with nitrogen amount ($110kg\;ha^{-1}$) of conventional fertilization. Mulching paper consisted of recycled paper which was coated with biodegradable pla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rice transplanting and paper mulching on missing hills after organic matter application. Weed control were the highest at added soiling rye plot. The redox potential of soil was the lowest in rice straw + CRF 80% plot at tillering stage. The $NH_4{^+}-N$ in soil was the highest at soiling rye + CRF 80% tillering sta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yield between soiling rye + CRF 80%, compost + CRF 80% and conventional fertilization plot.

An Physical Disturbance Evaluation on Sand Mining River (골재채취 하천의 물리적 교란 평가)

  • Kim, Ki-Heung;Jung, Hea-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5-1990
    • /
    • 2008
  • 1970년대 이후의 고도경제성장기에 치수대책과 동시에 건설골재로서 하상이 굴착된 하천이 많으며, 국가하천 지정구간외에서는 평균하상고가 1.0m 이상 저하한 하천구간도 많다. 또한 국가하천은 상류의 사방공사나 댐건설에 의한 영향이 복합적으로 하도에 나타나고 있어 하상굴착이 하도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實證的)으로 검증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하천에서의 골재채취는 제방부의 침식에 의한 호안파괴, 하상저하에 따른 교량이나 취수보 등 구조물의 기초 노출이 치수적인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단시간내에 하도의 지형구조를 급격하게 변화시켜 여울 소의 하상구조 교란이나 수중 및 하천변의 서식처 파괴 등으로 하천의 물리적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생태계를 교란하거나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로 인하여 교란된 하천의 복원 및 적응관리 계획수립의 전단계에 필요한 교란평가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황강, 남강 및 감천을 대상으로 하여 대조구간과 교란구간을 선정하고 조사 분석하였다. 하천골재 채취가 없거나 경미한 대조구간에서는 홍수량이 변하지 않으면 terrace 모양의 하안부 재료가 하상재료와 거의 같기 때문에 홍수가 있으면 침식된 원래의 하폭으로 회복되는 방향으로 변하지는 않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에 골재채취가 많은 경우 큰 홍수시의 저수로부의 수심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수충부 등의 최심하상고가 크게 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고수부는 침수되는 빈도와 수심이 감소하기 때문에 토사의 퇴적속도(고수부의 상승속도)의 감소, 퇴적물의 세립화 경향이 나타나서 모래, 실트가 퇴적하지 않는 고수부상에 모래, 실트가 퇴적되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고수부의 퇴적속도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었다. 골재채취로 횡단방향의 평탄화가 초래되어 여울 소의 하상구조가 교란됨과 동시에 구간별로 종단경사가 완만해지며, 대부분 교량부에 하상유지공을 설치해야 할 정도로 하상경사가 급변하는 구간이 다수 조사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하상서식환경, 하상재료, 유속/수심상황, 유사퇴적, 하도흐름상태, 하도개수, 여울출현 빈도, 하안 안정성, 식생피복 및 하반림 등 10개의 교란평가항목을 적용하여 대조구간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Study on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Zr-Sn and Zr-Nb-Sn Alloys (Zr-Sn 및 Zr-Nb-Sn 합금의 부식특성에 관한 연구)

  • Jeon, Chi-Jung;Jeong, Yong-Hwan;Kim, Seon-Ji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9 no.4
    • /
    • pp.378-385
    • /
    • 1999
  • To evaluate the effect of Sn on the corrosion behavior of Zr alloys for nuclear fuel claddings, the corrosion tests on the binary Zr-xSn and the ternary Zr-0.4Nb-xSn alloys were performed in water at $360^{\circ}C$. The binary alloys containing 0.5, 0.8 and 1.5wt.% Sn showed the transition corrosion rate at 15 days. On the other hand, the binary alloy containing 2.0wt.% Sn showed a good corrosion resistance without the transition of corrosion rate up to 80 days. The corrosion rate of the ternary alloy increased with increasing Sn content. The difference of corrosion behaviors between binary and ternary alloys is considered due to the different solubility of Sn, Nb content and precipitates. The corrosions of Zr-xSn and Zr-0.4Nb-xSn alloys would be controlled by the fraction of tetragonal-$ZrO_2$and the amount of hydrogen pick-up.

  • PDF

Study on Microstructure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Zr-0.8Sn-xNb Ternary Alloys (Nb 첨가량에 따른 Zr-0.8Sn-xNb 3원계 합금의 미세조직 및 부식특성 연구)

  • Kim, Hyeon-Gil;Jeong, Yong-Hwan;Wi, Myeong-Yong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9 no.5
    • /
    • pp.452-459
    • /
    • 1999
  • To develop advanced cladding materials, the effect of Nb addition on the microstructure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Zr-0.8Sn-xNb alloys was investigated. As the Nb content increased, the grain size decreased and the volume fraction of precipitates increased. It was observed from the corrosion test at $360^{\circ}C$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increased with decreasing Nb content. The best corrosion resistance was obtained in Zr-0.8Sn-0.2Nb alloy with high volume fraction of tetra-$ZrO_2$in the oxid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b in theZr-0.85Sn-xNb system should be added within the solubility limit of Nb from the viewpoint of alloy design.

  • PDF

Effect of experiment process on corrosion damage of metallic material for nuclear energy instrument with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화학제염 시 시험공정이 원전기기용 금속 재료의 부식손상에 미치는 영향)

  • Jeong, Gwang-Hu;Yang, Ye-Jin;Park, Il-Cho;Lee, Jeong-Hyeong;Han, Min-Su;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6-136
    • /
    • 2017
  • 화학제염 기술은 산화제, 환원제, 금속이온, 무기산등이 혼합되어 있는 화학용액을 사용하여 원전기기 계통 내부에 생성된 고방사능 준위의 산화막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원전의 해체 및 유지보수에 있어 방사능 피복저감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현재 원전 해체 산업은 잠재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원전 보유국의 경우, 기존 상용 제염기술과는 차별성 있는 제염기술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기존의 공정과 비교하여 공정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화학용액에 의한 원전 계통 금속 부품의 부식 및 손상을 최소화해야 한다. 금속 부품이 화학약품에 의한 부식손상을 받는다면 금속 부품의 수명 및 재활용 가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화학제염 기술 적용에 있어 용액에 대한 재료의 건전성 평가가 사전에 필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전 냉각재 펌프용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Stainless 304강을 시험편으로 선정하여, 화학제염 시험공정 3가지에 대한 부식손상 특성을 규명하였다. 산화공정은 과망간산($HMnO_4$) 용액을 공통으로 사용하였으며, 산화공정 종료 후 환원공정은 각 시험공정에 따라 시험공정 1은 옥살산($H_2C_2O_4$) 2000ppm, 시험공정 2는 옥살산($H_2C_2O_4$)1500ppm + 시트르산($H_8C_6O_7$)500ppm, 그리고 시험공정 3은 옥살산($H_2C_2O_4$) 3000ppm 용액을 각각 투입하여 수행하였다. 산화, 환원공정을 1Cycle로 하여, 각 시험공정 별로 총 5Cycle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공정 Cycle종료 후 시험편을 취외하여 무게감량측정,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 3D현미경분석 그리고 타펠분극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Stainless 304강에 대한 화학제염 시 모델별 시험공정에 따른 부식특성을 규명하였다.

  • PDF

Evaluation on the Thermal Resistance Capacity of Fire Proof Materials for Improving Fire Resistance of Near-Surface-Mounted FRP in Concrete (콘크리트내에 표면매입 보강된 FRP의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내화단열재 열저항성능 평가)

  • Yeon, Jea-Young;Seo, Soo-Y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8 no.5
    • /
    • pp.51-58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fire exposure test result to evaluate fire resistance capacity of retrofit method using FRP (Fiber Reinforced Polymer) in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e. Especially, this paper focused on near-surface-mounted retrofit method; FRP is mounted into the groove after making a groove in concrete. In the test, main parameters are retrofit method and materials for fire proofing. Spray type of perlite and board type of calcium silicate were considered as external fire proof on surface while particle of calcium silicate and polymer mortar as internal one in groove.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inside heating furnace, the transfer of temperature from surface of fire proofing material to groove in specimen was measured. As a result, fire proofing using the board of calcium silicate was more effective to delay the heat transfer from outside than spraying with perlite. It was found that the fire proofing could resist outside temperature of $820^{\circ}C$ at maximum to keep the temperature of epoxy below glass transit temperature (GTT).

MOCVD 법에 의한 Ruthenium 박막의 증착 및 특성 분석

  • 강상열;최국현;이석규;황철성;석창길;김형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52-152
    • /
    • 1999
  • 1Gb급 이상 기억소자의 캐패시터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Ba,Sr)TiO3 [BST] 박막의 전극재료로는 Pt, Ru, Ir과 같은 금속전극과 RuO2, IrO2와 산화물 전도체가 유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DRAM의 집적도가 증가하게 되면, BST같은 고유전율 박막을 유전재료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3차원적인 구조가 불가피하게 때문에 기존의 sputtering 방법으로는 우수한 단차피복성을 얻기 힘들므로, MOCVD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Pt에 비해 식각특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낮은 비저항을 갖는 Ru 박막증착에 대한 연구를 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형의 반응기와 저항 가열 방식의 susceptor로 구성된 저압 유기금속 화학증착기를 사용하여 최대 6inch 직경을 갖는 기판 위에 Ru박막을 증착하였다. Precursor로는 기존에 연구된 적이 없는 bis-(ethyo-$\pi$-cyclopentadienyl)Ru (Ru(C5H4C2H5)2, [Ru(EtCp)2])를 사용하였으며, bubbler의 온도는 85$^{\circ}C$로 하였다. Si, SiO2/Si를 사용하였으며, 증착온도 25$0^{\circ}C$~40$0^{\circ}C$, 증착압력 3Torr의 조건에서 Ru 박막을 증착하였다. Presursor를 운반하는 수송기체로는 Ar을 사용하였으며, carbon과 같은 불순물의 제거를 위해 O2를 첨가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XRD, SEM, 4-point probe등을 통해 구조적,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열역학 계산을 위해서는 SOLGASMIX-PV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Ru 박막의 증착에 있어서 산소의 첨가는 필수적이었으며, Ru 박막의 증착속도는 30$0^{\circ}C$~40$0^{\circ}C$의 온도 영역에서 200$\AA$/min으로 일정하였으며, 첨가된 산소의 양이 적을수록 더 치밀하고 평탄한 표면형상을 보였으며, 또한 더 낮은 전기 전도도를 보였다. 그리고 증착된 박막은 12~15$\mu$$\Omega$cm 정도의 낮은 비저항 값을 나타냈으며 이것은 기존의 sputtering 법에 의해 증착된 Ru 박막의 비저항 값들과 비교될만하다. 한편, 높은 온도, 높은 산소분압 조건에서 RuO2의 형성을 관찰하였으며, 이것은 열역학적인 계산을 통해서 잘 설명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