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복률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9초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부전에서의 비피복형 스텐트: 접근로 종류와 스텐트 위치에 따른 개통률 평가 (Bare-Metal Stent in Dysfunctional Hemodialysis Access: An Assessment of Circuit Patency according to Access Type and Stent Location)

  • 이경민;원제환;권요한;이수형;방준배;김진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197-211
    • /
    • 2023
  • 목적 기능장애 혈액투석 접근로에서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접근로 유형과 스텐트의 위치에 따른 개통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과 2019년 12월 사이에 159명의 환자(평균 연령, 64.1 ± 13.2세)가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장애를 치료를 위해 나이티놀 스텐트를 설치하였다. 스텐트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18개 팔머리 정맥, 51개 노쪽피부정맥궁, 40개 위팔 정맥, 10개 문합부위 인접 정맥, 7개 동정맥 문합부 및 33개 인조혈관-정맥 문합부. 12개월 개통률은 카플란-마이어 방법과 콕스 회귀 모델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159개의 스텐트가 103개의 자가동정맥루와 56개의 인조혈관접근로에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 인조혈관접근로는 자가동정맥루에 비해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이 더 낮았다(일차 개통률; 25.0%대 44.7%; p = 0.005, 이차 개통률; 76.8%대 92.2%; p = 0.014). 스텐트 설치 후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12개월 일차 개통성이 불량하였다. 결론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자가동정맥루는 인조혈관접근로와 비교하여 더 좋은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을 보인다.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의 스텐트는 다른 위치의 스텐트에 비해 더 낮은 12개월 일차 개통률을 보인다.

옥수수 전분이 주성분인 토양보습제 첨가가 모래 배양토에서 한지형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nstarch-Based Absorbent Polymer on the Growth of Cool Season Turfgrasses in Sand-Based Mixture)

  • 최준수;양근모;안상현;조윤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5-84
    • /
    • 2008
  • 본 연구는 한지형 잔디 조성시 잔디 식생층에 혼합되고 있는 유기물 대용으로 옥수수 전분을 주성분으로 제조된 토양 보습제를 사용할 경우 조성 효율 및 토양 수분 보유능력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처리는 모래+유기물 (5%, v/v) 혼합 대조구, 모래+CAP $20g{\cdot}m^{-2}$ 혼합 처리구, 모래+CAP $20g{\cdot}m^{-2}$+유기물(5%, v/v) 혼합 처리구, 모래+CAP $40g{\cdot}m^{-2}$+유기물(5%, v/v) 혼합 의 4처리로 하였다. 파종 후 1개월 후 피복률은 모래+유기물+CAP $20g{\cdot}m^{-2}$ 및 CAP $40g{\cdot}m^{-2}$ 처리구가 50%로 나타나 유기물 단용 및 CAP 단용 처리구 36.7%에 비해 높은 피복률을 보였다. 또한 CAP 단용 처리구가 유기물 단용 처리구와 같은 수준의 피복률을 보인 것으로 보아 CAP 처리는 유기물 처리와 유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분얼경당 평균 건물중은 파종 1개월 후 조사에서 모래+유기물+CAP $20g{\cdot}m^{-2}$ 및 CAP $40g{\cdot}m^{-2}$ 혼합 리구가 유기물 단용 및 CAP 단용 처리구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분장력은 관수를 실시하는 기간에는 처리간에 변화가 없었으나, 건조기에는 수분 장력이 낮게 나타나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다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상기 결과로 볼 때 모래+유기물+CAP $20g{\cdot}m^{-2}$ 및 CAP $40g{\cdot}m^{-2}$ 토양 혼합처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초기 피복률 증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Effects of Mowing (Beolcho) Timing and Heigh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before Chuseok)

  • 장석원;구준학;성창현;이정호;박소준;지재욱;윤정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40-147
    • /
    • 2018
  • 우리나라에서 벌초는 추석 성묘와 시향에 앞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벌초는 보통 추석 1-2주 전에 집중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도로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잘못된 벌초 방법은 흙이 드러나 토양 유실을 유발하거나 묘지 잔디의 밀도 저하와 잡초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라서 벌초시기의 분산과 올바른 벌초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벌초 시기는 추석 1주전, 2주전, 3주전, 4주전 잔디 깍기 처리를 두었고, 벌초 방법에서는 잔디 깍는 높이를 달리하여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들잔디에서 추석과 시향 시기를 기준으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금잔디에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각각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들잔디에 비해서 금잔디의 초장은 잔디 깍기 시기에 관계없이 짧게 유지되었으며 피복률과 밀도도 높게 유지되었다. 벌초는 들잔디와 금잔디 모두 짧게 할 수록 초장이 짧아졌고, 피복률과 밀도도 낮아졌다. 또한 벌초 시 들잔디와 금잔디는 각각 지상부의 40-50 mm or 30-40 mm 남겨둘수록 묘지 잔디의 밀도유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르코늄 합금의 고온 산화 (High-Temperature Oxidation of Zirconium base alloys)

  • 김성권;유태근;박광헌;김규태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52-52
    • /
    • 2001
  • 지르칼로이-4와 장주기 고연소도용으로 개발된 신피복관인 Zirlo에 대해 LOCA 사고시 피복관이 노출되는 온도영역에서 대기압 조건에서 산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온도범위는 $700{\;}-{\;}1200^{\circ}C$이다. 산화시간, 온도 에 따른 산화속도 모델이 제시되었다. 지르칼로이-4는 $1000^{\circ}C$이하의 대가압 수증기에서 3차 법칙을 따르는 반면에, Zirlo는 지속적으로 2차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0^{\circ}C$ 이상에선 Zirlo의 내부식성이 더 높게 평가되었다. 두 합금의 산화거동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산화된 시편을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였다. $1000^{\circ}C$ 이상 고온에서 Zirlo의 금 속내 $\alpha$상의 성장률이 지르칼로이-4에 비해 더 빨라, $\alpha$상이 더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관 표면에 이미 존재하는 산화막은 지르칼로이-4와 Zirlo 모두 일정시간 동안 보호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임도비탈면에 시공한 식생기반재돌망태의 침식방지 및 녹화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Forest Road Cut-slope Erosion Control and Rehabilitation Techniques using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 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30-37
    • /
    • 2013
  • 이 연구는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침식억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평균침식량을 분석해 본 결과, 침식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 보면 곡선부에서의 일반돌망태시공지(5,840 $cm^3$)>대조구(5,833 $cm^3$)>직선부의 일반돌망태 시공지(5,621 $cm^3$)>곡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4,298 $cm^3$)> 직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4,117 $cm^3$)의 순으로 나타나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것이 임도절토비탈면의 침식을 저감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임도 곡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 및 일반돌망태시공지의 토양침식억지효과가 직선부보다 낮게 나타나 이러한 구조물은 곡선부보다는 직선부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기간 중 평균식생피복률은 곡선부에서 45(28~65)%로 나타나 동일한 기간 직선부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의 평균피복률 56(30~85)% 보다 약 11(2~20)% 낮은 값을 나타내어 직선부에서의 식생피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절토비탈면에 시공한 식생기반재돌망태는 안정화된 이후 임도 절토 비탈면의 토양침식을 억지하는 효과로 인해 식생피복률이 증가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경운 자운영 피복 벼 기계이앙의 경제적 효과 (Economic effect of machine-transplanted rice in no-till Chinese milkvetch cropping systems)

  • 이영한;손다니엘;허재영;이성태;홍광표;송원두;노치웅;최진용;윤한대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282-282
    • /
    • 2009
  •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 및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욕구 증대로 유기농산물 시장규모가 최근 3년간 2.8배 성장 추세이다.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00년 2,039 ha에서 '07년 122,882 ha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생태적 원리에 부합된 벼 재배기술이 부족하며 특히 무경운 논토양에 대한 경영분석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기농업기술을 종합적으로 투입한 시범마을을 육성하기 위하여 하동군 양보면 예성마을 1ha를 대상으로 관행농업과 무경운 자운영 피복 벼 기계이앙을 실증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검토하였다. 토양 관리를 위해 2007년 9월 10일에 자운영을 3 kg/10a 파종하여 겨울철 토양 생태계를 유지하였고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았다. 볍씨 소독은 마른 종자를 60 $^{\circ}C$에서 8분간 침지하는 열탕침법을 이용하였으며 논 물담기는 5월 28일경 15 cm 이상 깊게 하여 자운영이 잘 분해되도록 하였다. 기계이앙은 6월 10일경 표면 1 cm 이내의 물 깊이에서 식부장치를 최대한 깊게하고 주수는 주당 5-7주 정도로 실시하였으며 기계이앙 후에는 5일 정도 물을 담지 않고 그대로 두고 그 후 물을 10 cm 이상 깊게 하여 잡초발생을 억제하였다. 중간낙수는 7월 10일경 1회 처리하였고 수확기 낙수는 9월 23일 실시하였다. 무경운 처리구의 이앙전 토양 가밀도는 관행 1.30 g $cm^{-3}$ 비해 0.09 g $cm^{-3}$ 정도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고 공극률은 관행 50.8%에 비해 3.5%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분률이 3.5% 높았다. 무경운 자운영 피복 기계이앙 처리구의 잡초발생 건물량은 7월 4일경 피 8.8 g $m^{-2}$, 여뀌 10.8 g $m^{-2}$ 이었으며 9월 18일에는 피 16.0 g $m^{-2}$, 여뀌 12.3 g $m^{-2}$였다. 수확기 관행처리구의 주당 이삭수는 16.7개, 수당립수는 101개, 천립중은 25.4 g, 등숙비율은 82.3%로 수량은 517 kg $10a^{-1}$ 였으며 무경운 자운영 피복 기계이앙은 주당 이삭수가 14.1개, 수당 립수는 103개, 천립중은 26.2 g, 등숙비율은 91.2%로 수량이 456 kg $10a^{-1}$였다. 무경운 자운영피복 벼 기계이앙은 기경작업이나 시비작업 등이 없으므로 노동력이 60% 절감되었으며 농가소득은 5% 증대되었다. 따라서 농업분야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하여 자연 생태계를 보전하면서 농가소득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무경운 자운영 피복 벼 기계이앙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무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볏짚거적 사용 (Using of Straw mat for Reduction on NPS pollution from Radish field)

  • 신민환;강종천;박운지;장정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3-287
    • /
    • 2011
  • 농업비점오염원의 오염원 관리를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발생과 운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농업수문학 기술에 바탕을 두고 우리나라의 집약농업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최적관리방법의 개발과 비점오염저감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현장실험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피복재를 이용하여 밭의 토양침투를 증가시고 유속 및 유출량 감소를 통해 토양유실과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실제 영농과 동일하게 무를 재배한 뒤 볏짚거적을 이용하여 밭의 토양 표면을 피복하여 유량과 수질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총 3차례(2010년 9월 9~12일, 9월 21일, 10월 2~3일)의 강우가 발생하였고, 이때 발생한 강우량은 각 359.2 mm, 49 mm, 28.8 mm이였다. 각 시험포에서 볏짚거적으로 인해 저감된 유출량의 저감효율은 볏짚거적을 피복하지 않은 나지상태의 밭 보다 약 33∼75%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5%의 유출률 저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강우사상은 30 mm 이하의 강우가 발생한 10월 2~3일의 강우사상에서 나타났다. 강우량과 강우강도는 28.8 mm와 1.92 mm/hr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발생한 유출량은 나지에서 $0.36\;m^3$, 볏짚거적을 피복한 시험포에서는 $0.08\;m^3$이 발생하였다. 나지상태와 볏짚거적을 피복한 시험포의 오염부하의 값을 비교한 결과 볏짚거적을 피복한 시험포에서 $BOD_5$ 항목은 64.3%, SS 80.8%, $COD_{Mn}$ 66.7%, DOC 80.2%, T-N 56.6% 그리고 T-P 56.1%의 오염부하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지표를 볏짚거적으로 피복할 경우 시험포에서 유출시작 시간 지연효과와 강우에 의한 첨두유출량 및 유출량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농업 비점오염원의 최적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 제공 및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피복 방법에 따른 방사형 소파 블록의 안정계수 비교 (Comparison of Stability Coefficients of Radial Shape Armor Blocks Depending on Placement Methods)

  • 민은종;천세현;서경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35-1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사석 방파제에 사용되는 대표적 방사형 소파 블록인 Tetrapod, Rakuna-IV 및 Dimple 등에 대하여 각각 두 가지의 정적 피복 방법을 제안하고 각 방법에 대한 안정계수를 수리실험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Tetrapod와 Rakuna-IV는 피복 방법에 상관없이 비슷한 안정계수를 보인 반면, Dimple은 피복 방법에 따라 약간 다른 안정계수를 보였다. Dimple이 가장 큰 안정계수를 나타낸 반면, Tetrapod가 가장 작은 안정계수를 나타내었다. Tetrapod와 Rakuna-IV를 정적 하였을 경우에는 난적보다 약간 큰 안정계수를 보인 반면, Dimple을 정적 했을 경우에는 난적보다 훨씬 큰 안정계수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Dimple의 정적 방법은 공극률이 매우 작고 일층 피복 블록과 비슷한 거동을 보여서 급격한 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방성 섬유강화폴리머 보강근의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Concrete Cover Thickness of Anisotropic FRP Bar)

  • 이성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58-66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의 횡방향 열팽창 거동이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온도 20℃를 기준으로 -70℃~80℃까지 변화시켜가며, 콘크리트의 거동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FRP 보강근의 지름과 피복 두께를 가지는 FRP 보강근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이론적 탄성해석과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음의 온도차이에서는 콘크리트가 압축을 받아 이론적 변형율 결과와 유한요소결과가 유사하였지만, 양의 온도차이에서는 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더 나아가 균열이 발생하여 이론적 결과보다 1.2~1.4 배 큰 변형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FRP 보강근의 지름과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비(c/db)가 균열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보강근의 지름에 비하여 피복두께가 부족할 경우 균열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사용성이 저하되었다. FRP 보강근의 횡방향 열팽창계수는 콘크리트보다 3배 이상 크기 때문에, 설계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토양피복에 따른 잡초발생과 안개초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ulching Materials and Methods on Weed Occurring for the Growth and Flowering in Gypsophila paniculata Cultivation)

  • 정동춘;오정문;임회춘;송영주;김정만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21
    • /
    • 2011
  • 안개초 절화 재배시 토양피복재료 및 피복방법에 따른 잡초 발생량 및 안개초 개화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잡초 발생량은 무피복 $146.2g{\cdot}m^{-2}$(건물중)인 반면 흑색과 녹색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전면피복은 $4.1{\sim}4.2g{\cdot}m^{-2}$으로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며, 제초 소요인원도 무피복은 27.9명/10a/년인데 반해 전면피복은 2.4명/10a/년이었다. 여름 절화작형시 개화는 무피복과 골 피복이 늦었으며,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화수폭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흑색 PE필름, 녹색과 흑색 부직포 전면피복에서 많았다. 월하 후 안개초 고사주율은 흑색 부직포 골 피복처리에서 12.4%로 가장 낮았고, 녹색 부직포 피복처리가 19.0% 정도였으며, 흑색 PE 필름 전면 피복처리가 39.0%로 가장 높았다. 가을 절화작형 역시 화경장, 측지수, 절화장 및 화경 강도는 흑색과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우수하였고, 절화량은 녹색 부직포가 가장 많았다. 로젯트 발생률은 골피복보다 전면피복이 낮았으며, 피복재료별로는 녹색 부직포 전면피복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흑색 부직포, 흑색 PE 필름 전면피복이 낮았다. 따라서 안개초 절화재배시 녹색 부직포 전면 피복처리가 잡초 발생억제와 절화품질 향상 및 절화량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