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복두께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1초

강재의 단면형상에 따른 내화피복두께 산정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Fire Protection Thickness based on Section Factor)

  • 정청운;지남용;권인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139-142
    • /
    • 2003
  • Traditionally, the thickness of fire protection materials of structural elements such as beam and column have been decided by fire test using the predominant steel section of $H-300{\times}300{\times}10{\times}15$ for column and $H-400{\times}200{\times}8{\times}13$ for beam in Korea. But this way of determination of fire protection thickness yields very unduly results. Because the temperature-increment rate of structural steel elements depends mainly on magnitude of their cross-areas. In general, the thicker size of cross-areas for structural elements, the lower temperature shows up. It had already proved that the fire protection thickness only depends on the size of cross-areas and the fire protection method for three-fide or four-side exposed conditions in European countries,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nd so on. To demonstrate there would be differences among various cross-areas for structural elements, we conducted several fire tests with full-scale specimens of beams and columns. For the determination of critical temperature for steel section when the fire resistant performance is needed to be decided, we conducted with a loaded fire test for beam and column, respectively. The small column in 1.0 meter length and beam in 1.5 meter length were used in order to deprive the rational fire protection thickness of structural elements such as beam and column, respectively. After test, we could obtain there were significant temperature lass between higher cross-areas and lower cross-areas. The critical temperature of steel as a criterion is used 538$^{\circ}C$ for column and 593$^{\circ}C$ for beam which is from ASTM E 119 because we don't make provisions as critical temperature by elements. We could consider that the best way of determination of fire protection thickness is using the following multi-regression equation which was deprived from several fire tests using the concept of section factor, FR(column) = 0.17 +5191.49t A/Hp + 40.77t, FR(beam) = 0.25 +6899.31t A/Hp + 32.60t(where, FR means fire resistant time, t means thickness, A means cross-area and Hp means heated parameter).

  • PDF

아토피 동물모델에서 고삼백선피복합방(GBBB)의 아토피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Gosambaeksunpibokhap-bang(GBBB) Extract in an Atopic Dermatitis Animal Model)

  • 이다영;승윤철;정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07-618
    • /
    • 2016
  • 아토피 피부염(AD)에 대한 고삼백선피복합방(GBBB)의 치료적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동물모델에서 다양한 면역 관련 인자들과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GBBB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GBBB도포군은 관능평가 결과에서 AD의 개선징후를 나타냈다. GBBB 도포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액 내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면역세포 비율이 54%, 63%, 57%, 86%로 감소되었다. 또한 GBBB도포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청 내 IL-4, IL-5, IL-13, Histamine 및 IgE 생성량이 각각 40%, 80%, 62%, 61%, 57%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H&E 염색에서 GBBB 도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비만세포가 피부로 침윤되는 것이 억제되었으며 피부두께 역시 상대적으로 감소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GBBB는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AD 치료제로서 가능성이 있음이 확인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GBBB의 면역조절 기전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국내 도심지 콘크리트 교각 취약부의 탄산화 조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rvey of Carbonation for Sound, Cracked, and Joint Concrete in RC Column in Metropolitan City)

  • 권성준;박상순;남상혁;조호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16-122
    • /
    • 2007
  • 대도시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주로 탄산화에 노출되고 이에따라 매립된 철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사 및 진단에서, 건전부의 탄산화 깊이가 주로 평가되며, 이를 근거로 내구수명이 평가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교각과 같은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적절한 타설을 위하여 조인트를 설치하게 되며, 초기재령에서 균열이 쉽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20년 경과된 국내 대도시의 교각 구조물을 대상으로 탄산화 깊이를 평가하였으며, 건전부, 균열부, 시공이음부와 같은 국부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탄산화 거동을 분석하였다. 균열부 및 시공이음부의 탄산화 깊이는 건전부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며, 피복두께가 작은 구조물에 대해서는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평가되었다. 또한 균열폭의 함수로 균열부 탄산화 깊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실태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보의 이산최적설계 (Discrete Optimum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Genetic Algorithm)

  • 홍기남;한상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259-2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연속보의 이산최적설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콘크리트, 거푸집, 주철근 및 스터럽의 경비를 포함한 경비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하였고, 제약조건으로는 휨강도와 전단강도, 처짐, 균열, 철근간격, 피복두께, 철근비 상 하한치 및 단면형상에 대한 기하학적 제약조건과 더불어 주철근의 정착을 고려하였다. 보의 폭과 유효깊이, 철근량을 설계변수로 취하였으며, 설계변수 값은 실무에서 사용되는 단면치수와 철근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한 이산집합으로부터 선택되도록 하였다. GA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산변수로 철근콘크리트보에 대한 최적설계를 수행한 기존 문헌과 그 결과값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GA의 적용성 및 효율성을 보이기 위하여 국내 구조설계기준을 만족하는 3경간 및 5경간 철근콘크리트보에 대해 이산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동북아시아 지역의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이 지역 대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ortheast Asian Biomass Burning Activities on Regional Atmospheric Environment)

  • 이권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4-196
    • /
    • 2012
  •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연소과정에서 다량의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와 대기 에어러솔은 대기환경 저해와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에 대한 감시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의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의 현황과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지구관측 위성인 Terra/MODIS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바이오매스 연소의 발생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주 연료가 공급되는 토지피복과 계절별 변화에 의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토지피복과의 관련성과 시간에 따른 현황과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녹지대 또는 상록수림 지역에서의 발생수가 많았으며, 경작지에도 많은 발생횟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인 대기 에어러솔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는 에어러솔 광학두께자료와 연소 자료와 비교결과는 두 산출물간 뚜렷한 연중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바이오매스 연소 활동이 지역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였으며, 중국대륙에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지역 대기환경 및 기후변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가열조건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휨 강도에 관한 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Flexural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Exposed to Fire)

  • 이상호;허은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95-205
    • /
    • 2001
  • 본 연구는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휭 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해석적 연구로서, 고온을 받는 단면에 대한 모멘트-곡률 관계를 구하는 것이다. 해석적 방법으로는 부재 단면에 대한 열전도 해석을 수행한 후 여러 가지 가열 조건에 대한 콘크리트와 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여 모멘트-곡률 관계의 해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의 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온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잔존 휭 강도는 가열시간, 콘크리트 피복두께, 인장철근비의 영향을 받는다. (2) 고온을 받은 후의 잔존 휭 강도는 최소 철근비일 때는 상온시의 강도를 회복하지만, 최대 철근비의 50%일 때와 최대 철근비 일 때는 회복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낸다. (3) 최대 철근비를 가진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가열 후 냉각상태에 대하여 철근이 항복하기 전에 콘크리트가 한계상태에 도달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인장증강효과를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유효휨강성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Effective Flexural Rigidity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Considering Tension Stiffening Effect)

  • 이승배;장수연;김상식;이진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033-1042
    • /
    • 2005
  • 최근에 이르기까지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에 있어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은 극한강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역할이 고려되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하중-처짐 관계의 구명을 위해서는, 인장증강효과라고 불리는 콘크리트와 보강철근 사이의 인장응력에 의한 강정증가 효과가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인장증강효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 구조변수는 콘크리트의 강도 및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휨을 받는 보를 대상으론 각기 다른 콘크리트 강도, 피복두께 및 주근의 비부착 길이를 갖도록 모두 20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구조변수들이 시험체의 휨강성, 균열발생 및 진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화해를 입은 철근콘크리트 내부기둥의 잔존거동 수치해석 모델 (Numerical Modeling of Residual Behavior of Fire-Damaged Reinforced Concrete Interior Columns)

  • 이차돈;신영수;이승환;이창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893-902
    • /
    • 2005
  •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판단 및 보강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화해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합리적 모델이 필요하다 . 화해 손상을 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이론모델 은 기둥 내부에 전달되는 열, 구성 재료의 열화 정도, 그리고 여러 형태의 기둥단면 형상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 서 제안한 수치해석 모텔은 이러한 영향인자들을 고려한다. 개발된 모델은 화해를 입은 기둥의 잔존거동을 적절하게 예측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피복두께, 화해노출시간, 기둥의 기하학적 형상 등이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잔존거동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하여 변수 고찰하였다. 변수고찰 결과 장기간 화해에 따른 기둥의 잔존내력 감소가 심각하게 나타났으나 기타 변수들의 차이에 따른 잔존거동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RC 구조물 높이와 해안가 거리를 고려한 염해에 대한 내구수명 평가 (Service Life Evaluation Considering Height of RC Structures and Distance from Sea Shore)

  • 오경석;김영준;이성희;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72-179
    • /
    • 2016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평가는 주로 해석 변수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결정론적 방법과 변동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으로부터의 거리와 높이에 따른 내구수명 평가를 위해 일본토목학회에서 제안한 해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표면염화물량과 실태조사를 통한 높이에 따른 표면염화물량을 적용하였다. Fick's $2^{nd}$ Law에 기반을 둔 Life-365를 이용한 결정론적 방법과 MCS을 이용한 확률론적 방법을 수행하여 내구수명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확률론적 방법이 결정론적 방법보다 낮은 내구수명이 평가되었으며, 이는 기존에 연구된 확산계수, 피복두께, 표면염화물량 등의 변동계수뿐 아니라 낮은 목표내구적 파괴확률을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결정론적 방법에서는 해안가 250m 이내에서는 높이 60m 이상에서, 500m에서는 염해에 의한 피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확률론적인 방법에서는 전 구간에서 60m 이상의 지역, 250m 이내에서는 40m 이상의 구조물은 염해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뢰성 기반한 내구성 평가 (Reliability based durability assessment of marine concrete structures)

  • 송하원;임동우;백승우;이창홍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497-500
    • /
    • 2008
  • 해양 환경에 노출된 구조물의 열화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양설계에 비해 한 단계 발전된 신뢰성에 기반한 확률론적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내구성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가 되는 임계염화물량은 국내 콘크리트 시방서에서 $1.2kg/m^3$으로 결정되었으나, 실설계 적용시 과다 설계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문헌을 통해 임계염화물량의 확률 특성을 결정하고, 실제 실험 및 문헌 고찰을 통하여 표면염화물량, 확산계수, 피복두께의 확률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Monte Carlo Simulation을 활용한 신뢰성 염해 내구성 해석을 침매 터널 구조물에 대해 수행하여 대상 구조물의 염해내구성능을 평가하고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제시한 부식 임계 염소이온농도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현실적인 염해 내구성 설계 및 평가를 위하여 기존에 제안된 $1.2kg/m^3$의 임계값에 대한 검토 및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