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로 안전 계수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S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뢰성 해석

  • 안세희;고상훈;박종철;김두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97-30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Post-Tensionging System용 정착구의 구성품인 2 Piece Wedge 와 3 Piece Wedge를 장착한 P.S 콘크리트 시험체의 피로 수명 예측과 피로수명 분포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로 시험결과를 피로해석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Weibull 분포에 적용하여 실험과 확률해석에 의한 회귀분석식 및 피로강도의 비교, 2 Piece Wedge 와 3 Piece Wedge 시험체의 안전계수, 응력수준별, 피로 수명 분포도, 응력 수준별, 파괴확률, 2 Piece Wedge 와 3 Piece Wedge의 위험 함수등을 고찰하였다. (중략)

  • PDF

Current Statu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atigue Monitor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원전 피로 감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현황)

  • Boo, Myung Hwan;Lee, Kyoung Soo;Oh, Chang Kyun;Kim, Hyun S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 /
    • v.13 no.2
    • /
    • pp.1-18
    • /
    • 2017
  • Metal fatigue is an important aging mechanism that material characteristics can be deteriorated when even a small load is applied repeatedly. An accurate fatigue evaluation is very important for component structural integrity and reliability. In the design stage of a nuclear power plant, the fatigue evaluations of the Class 1 components have to be performed. However, operating experience shows that the design evaluation can be very conservative due to conservatism in the transient severity and number of occurrence. Therefore, the fatigue monitoring system has been considered as a practical mean to ensure safe oper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s. The fatigue monitoring system can quantify accumulated fatigue damage up to date for various plant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fatigue monitoring procedure and to introduce the fatigue monitoring program developed by the authors. The feasibility of the fatigue monitoring program is demonstrated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operating data and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구조물 구성요소의 피로구열전파 거동에 관한 고찰

  • 정석주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2
    • /
    • pp.177-180
    • /
    • 1988
  • 파괴안전설계를 하기 위하여 파괴역학원칙을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주로 믿을 수 있는 크랙성장을 예측하는데 달려있다. 일정크기의 피로하중을 받는 구조물 구성요소의 경우 안전계수로 빈도수와 환경의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면 경험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그 피로거동은 상당히 쉽게 예상될 수 있다. 그러나 구조물 구성요소가 변화크기의 피로하중을 받는다면, 크랙성장예측을 위한 데이터를 마련하는데는 무엇보다도 그러한 변화크기의 피로하 중상태의 적용모델이 확실히 필요하며,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들을 통합할 수 있는 모 델에 입각하여야 한다.

  • PDF

대차 프레임용 SM490A 용접재의 피로 시험

  • 박재실;석창성;구재민;배봉국;김대진;신재호;구병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87-87
    • /
    • 2004
  • 최근 철도 차량은 안전성, 정시성, 대량 수송성이 우수하여 수송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열차운행 횟수의 증가와 차량의 고속화로 운행조건이 가혹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절대적인 안전성과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철도차량과 같이 반복하중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사용 환경이나 재료의 피로특성을 최우선의 고려사항으로 간주해야 한다. 실제로 철도차량의 대차 프레임은 맞대기 용접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용접부에서 파손이 발생하고 있다.(중략)

  • PDF

기계부품의 피로파괴사례 및 방지대책

  • 김재곤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2
    • /
    • pp.118-124
    • /
    • 1989
  • 피로파괴의 발생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4가지로 구별된다. (1) 설계불량 (2) 가공불량 (3) 소재불량 (4) 부적절한 사용 그러나 현재 기계설계시 일반적으로 형상계수 및 충격계수를 포함한 안전율을 여유있게 고려하기 때문에 피로강도가 간접적으로 설계시 반영되어 피로파괴는 주로 가공이나 원소재 불량 및 사용상의 부주의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기계가공 도중에 노치가 유입되어 응력집중을 발생시키거나, 규정된 표면처리 혹은 열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해서 재료의 피로강도가 저하한 경우가 많으며, 소재 역시 비금속 개재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거나 열처리 특성이 조악한 소재가 사용되어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 반면 사용자 측에서도 설계강도를 무시한 과부하를 인가하거나, 부식환경 혹은 고온에서 사용하여 피로파괴를 촉진시키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용자도 설계조건을 인식하여 그 한계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피로파괴는 단순한 원인에 의한 경우가 적고 복잡한 여러 형상이 중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결국 피로 파괴의 방지는 피로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종합하여 설계단계에서부터 최종 사용단계까지 지속적인 관리에 의해서만 달성 될 수 있다.

  • PDF

피로와 파괴력학(I)

  • 최용식
    • Journal of the KSME
    • /
    • v.16 no.4
    • /
    • pp.41-48
    • /
    • 1976
  • 재료의 피로문제에 대해서는 꽤 오래 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고, 피로의 현상파악에서부 터 피로이론의 구명, 나아가서는 실제문제로서의 피로설계, 피로수명예측 등에 기여한 업적은 아 주 크다 하겠다. 그러나 종래의 피로문제연구의 방향이, S-N 곡선에서 얻어지는 피로한계강도 (더 정확한 표현으론 피로파괴한계강동)에 바탕을 두고, 정력확적인 설계관례인 안전계수의 도입 을 빌려, 피로강도를 실용화할려는 선에서 이루어져 왔다고 보겠다. 재료의 피로한계강도란, 그 정의로 미루어, 다분히 정적으로는 극한강도 또는 피로강도의 개념에 견주어 질 수 있는 공칭응 력으로써 탄성학적으로 해석될 수도 없고, 다만 탄역성이론의 개념을 바탕으로 근사해석례만이 허용되고 있을 뿐이다. 재료에는 소위 평활재이건 절결재이건 간에 또 검출여부에 관계없이, 내외 부에 대소각종의 결함이나 역학적 불연속부가 잠재해있음은 이미 공지의 사실이며, 이들 결합, 불 연속부등이 외하중하에서 응분의 응력집중원이 되어 재료를 전반적인 파괴로 몰고 갈 수 있다 함 도, 또한 이러한 역학적거동이 피로파괴에 까지 확장해석될 수 있을 것이란 것도 이미 잘 알려져 있는 터이라 하겠다. 재료내외부의 제결합을 응력집중이 극대인 crack로 대체해서 외하중하에서 의 응력장거동을 해석한 선형탄성파괴역학(LEFM)은, 바로 이러한 실제재료의 강도설계에 보다 큰 정확성을 부여한 방법론적 학문이라 하겠고, 나아가서는 재료의 파괴기구를 파헤치는데 진일 보적인 역학적인 수법이라 하겠다. 취성파괴, 연성파괴에 바탕을 둔 파괴역학(LEFM)을 피로파괴 에 적용시키는 데는 상당한 문제점들을 수반할 것임은 충분히 인지되나, 제한된 경계조건하에서 의 적용 예는 종래의 어떤 방법에 의한 것 보다도 피로강도설계, 안전사용 피로수명예측 등에 획기적인 진전을 보여주고 있다. 파괴역학은 crack 재의 강도학이고, 더 구체적으로 음력학대계수 (stress intensity factor) K 또는 이와 연연되는 parameter 인 strain energy release rate(G), crack-tip plactic zone size r$_{p}$,.rho., crack-tip opening displacement .phi., strain intensity 등을 쓰는 재료강도학이기 때문에, 이 수법을 피로파괴에 적용시킴은, 종래의 공칭응력으로 피로 문제를 다루던 방법과는 판이하다 하겠다. 본고에선 파괴역학의 관점에서 피로구열의 안정성장을 논하고, 과거 10여년간의 피로 crack문제에 대한 연구방법, 실험방법 등을 소개하는 방향으로 고 를 진행시켜 나가겠다.

  • PDF

Study on Fatigue Life Estimation for Aircraft Engine Support Structure (항공기 엔진 지지구조물의 피로수명 해석에 관한 연구)

  • Hur, Jang-Wo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11
    • /
    • pp.1667-1674
    • /
    • 2010
  • The fatigue life is estimated while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aircraft structures. In this study, the estimation of fatigue life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a cumulative damage theory; the working S-N curve and the equivalent stress on the engine support structure significantly affect the safety of the aircraft. The maximum stress observed was 1,080 MPa in the case of scissors link under crash load condition, and there was a 5% margin for the allowable stress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reduction factor. The maximum stress was 876 MPa, and the stress equation coefficient had a maximum value of 0.019 MPa/N in the case of scissors link under fatigue loads. In the results of the fatigue life analysis, the safety life in a fretting area of scissors link upper part was 416,667 flight hour, and other parts showed to infinite life. Therefor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fatigue life requirement of aircraft engine support structure (scissors link, straight link) could be satisfied.

Remaining Fatigue Life Evaluation of Steel Railroad Bridge (강철도교의 잔존피로수명 평가)

  • Kim, Sang Hyo;Lee, Sang Woo;Mha, Ho Seong;Kim, Jong H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1 no.4 s.41
    • /
    • pp.329-338
    • /
    • 1999
  • A systematic procedure to evaluate fatigue damages and to predict remaining fatigue lives is introduced for a steel railway bridge. Fatigue damages are evaluated by using the currently available fatigue damage theory. Fatigue lives with the condition of fatigue crack initiation are estimated by the probabilistic approach based on the reliability theory as well as the simplified procedure. A equivalent deterministic procedure is also suggested to assess the remaining fatigue life under various traffic conditions. Numerical simulations are used to assess dynamic stress histories with correction factors. Loading models are obtained from the passenger volume data. Train coincidences are also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the fatigue life is found to be underestimated by without considering the coincidence of trains on the bridge. The simplified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are found to yield approximately the same results as the systematic procedure.

  • PDF

Damage Tolerance Analysis Using Surrogate Model (근사모델을 사용한 손상허용해석)

  • Jang, Byung-Wook;Im, Jae-Hyuk;Park, J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4
    • /
    • pp.306-313
    • /
    • 2011
  • The damage tolerance analysis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structural safety and the reliability for aircraft components. The damage tolerance method, which evaluate the life considering the initial crack, considers a fatigue design model of the aircraft main structure. The fatigue crack growth life should be calculated in damage tolerance analysis and the inspection time to define the replacement cycle. In this paper, the damage tolerance analysis is performed for a turbine wheel which has complex geometry. The equation of the stress intensity factor for complex geometry is hard to know, so that they are usually process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which takes long time. To solve this problem,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at specified crack are obtained by the FEA and the crack growth life is evaluated using the surrogate model which is generat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EA data. From the results, the efficiency of the crack growth life calculation and the damage tolerance analysis could be increased by taking the surrogate model.

An Estimating Reliability of Machine Elements Subjected to Fluctuating Load Considering Static and Dynamic Allowable Safety Factors (변동하중시 정ㆍ동적 허용안전계수를 고려한 기계부품의 신뢰성 평가)

  • 양성모;강희용;김강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5 no.4
    • /
    • pp.51-57
    • /
    • 1998
  • It is common to assume identical allowable safety factors in static strength defined by mean stress and in fatigue, defined by stress amplitude. Under the load with asymmetrical cycles the safety factor is not the same. In this paper, with the consideration of unequal allowable safety (actors a general method for estimating fatigue reliability of a machine element under a combined state of stress is derived based on the theory proposed by Prof. Kececioglu and a normal distribution. The calculation of fatigue reliability fur limited life is discussed with exam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