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로회복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5초

장시간운동시 마늘섭취가 항피로 및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Intake on the Antifatigue and Fatigue Recovery during Prolonged Exercise)

  • 백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70-977
    • /
    • 1995
  • 본 연구는 건강한 남자대학생 16명을 대상(대조군=8명, 실험군=8명)으로 하여 14일간 하루 마늘 90g(매끼당 30g)을 섭취시켜 폐기능 중 산소섭취량, 이산화탄소 생성량, 환기량, 호흡상과 혈중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 세라이드,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젖산, 젖산탈수소효소, 유리지방산, 글루코스의 변화를 측정 비교분석하였다. 자전거 에르고메타를 이용하여 20분간 3분 마다 50watt씩 증가하는 점증 운동부하로 최대 운동검사를 실시하여 폐기능을 측정하였고, 운동부하 전과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마을섭취군이 HDL-콜레스테롤치는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치와 총 콜레스테롤치는 낮게 나타났다. 젖산 농도는 마늘섭취군이 낮게 나타났고, 젖산탈수소효소의 활성도는 높았다. 산소섭취량, 이산화탄소 생성량, 환기량과 호흡상은 마늘섭취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본 연구를 통하여 마늘섭취군이 혈액 성분 중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젖산, 젖산 탈수소효소에서 대조군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마늘이 가지고 있는 어느 성분이 어떠한 작용에 의해 이와같은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안구운동이 대학생의 눈 건강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ye Health and Dynamic Visual Activity on Eye Mo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김주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91-199
    • /
    • 2020
  • 젊은 세대들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컴퓨터 등 다양한 시각 매체들의 발달로 눈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눈의 건강도 약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로 안구근육을 자극하여 눈건강과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의 대학생 38명을 대상으로 대조군(18명)과 실험군(20명)으로 나누고, 실험군은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를 매일 30분씩, 주 5회, 4주 동안 실시하였다. 눈 피로도, 눈 뜬 상태 유지 시간, 안구표면온도, 동체시력은 연구 전과 4주 후에 측정하였다. 4주 후 눈피로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눈 뜬 상태 유지 시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안구표면온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5), 동체시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눈의 기능 증진과 눈 건강을 위하여 안구운동과 치료적 마사지를 권장한다. 눈 건강을 회복하고 예방하기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유병률 연구 - 질병관리본부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Study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

  • 김향숙;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1-52
    • /
    • 2017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고, 학교에서 알레르기 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증상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 712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 알레르기 질환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건강행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은 음주 경험이 있는 학생이 267명(37.5%),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4명(23.0%), 약물 경험이 있는 학생은 35명(4.9%), 우울감이 있는 학생은 198명(27.8%)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학생이 259명(36.3), 피로 회복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학생이 286명(40.2%)으로 나타나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97명(69.8%),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449명(63.1%) 이었으며, 살찐 편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251명(35.3%) 이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중 천식은 중학생이 46명(6.5%), 고등학생이 35명(4.9%), 알레르기 비염은 중학생이 95명(13.3%), 고등학생은 87명(12.2%), 아토피 피부염은 중학생이 67명(9.4%), 고등학생이 53명(7.4%) 이었다. 천식이 있는 남학생은 47명(6.6%), 여학생은 34명(4.8%),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남학생은 81명(11.4%), 여학생은 101명(14.1%),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남학생은 53명(7.4%), 여학생은 67명(9.4%) 이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은 천식이 있는 학생이 81명(11.4%),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학생이 182명(25.5%),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이 120명(16.8%)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순의 발병률을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은 우울감(p<0.001), 음주 경험(p<0.05), 약물 경험(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 체형 인지(p<0.05)에서 천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피로 회복 인지(p<0.001), 건강 인지(p<0.001), 스트레스 인지(p<0.05)에서 알레르기 비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형 인지(p<0.01), 우울감(p<0.05), 피로 회복 인지(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련이 높은 변인인 건강 인지, 행복 인지, 체형 인지를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우울감, 스트레스 인지, 피로 회복 인지를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와 교육이 필요하다.

나이티놀 와이어 스텐트의 피로도 특성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A Study on Fatigue Characteristic of Stent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김한기;신일균;김동곤;김성현;이주호;기병윤;서태석;김상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0권3호
    • /
    • pp.119-124
    • /
    • 2009
  • 스텐트는 인체내 비혈관 또는 혈관의 내강에 직접 삽입되어 장기간 내강의 개통을 확보해 주어야 하는 보형기구로 체내에서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스텐트의 성능은 크게 radial force, shortening, anti-migration, 방사선 불투과성, 유연성, 회복력, 삽입기구의 굵기 및 삽입 용이성 등의 항목으로 평가된다. 현재 스텐트는 다양한 제품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병변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스텐트는 개통이라는 고유 목적을 달성하면서 시술의 편의성이 고려되는 데 스텐트의 radial force와 유연성, 그리고 삽입기구의 유연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스텐트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상당량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스텐트의 피로 거동 분석을 위한 전산 모사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특히, 세선형 스텐트의 연구 및 시술 이후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혈관용 세선형 스텐트에 대하여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전산모의실험을 통한 피로특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해당 제품이 목표 수명을 지나서 피로 파괴(내구지수 : 1.74)가 발생한다고 예측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유한요소 해석법은 스텐트 시술시의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산업체의 스텐트 개발 기간 및 예산 절감 등 경제적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eravida recover 기술이 적용된 침구류의 수면요인 효과분석 : 정량적평가 (The effectiveness of Ceravida recovery technology on sleeping factors in bedding : Quantitative evaluation)

  • 김종근;김지영;이영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273-2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세라비다 회복 물질의 기능성 침구가 수면 전·후 경추의 근육 피로, 뇌파 및 온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수면 장애와 경추 통증으로 인한 불면증을 호소한 D광역시 소재 50대 이상의 여성 12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기능성 침구가 근긴장도를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피부 온도는 기능성 침구와 일반 침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뇌파에서(알파, 베타. 세타, 델타) 기능성 침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세라비다 회복 물질의 기능성 침구가 수면 회복 기술의 충분한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컴퓨터 작업 후 유지-이완운동과 능동신장이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ld-Relax and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Muscle Fatigue after Computer Work)

  • 이현옥;허성용
    • PNF and Movement
    • /
    • 제6권2호
    • /
    • pp.11-18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at the effect of hold-relax and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fatigue after computer work.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30 volunteer at the age of 23~33(resting group=10, hold-relax group=10, active stretching group=10). The muscle fatigue measured by tracing the median frequency(MDF) decrement from power spectrum analyses of EMG signals and the data were analyzed repeated ANOVA. Result : In case of upper trapeziu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I and group II, III. In case of sternocleidomastoi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II and group I,III. Conclusion : The active stretching was effective for sternocleidomastoid and the hold-relax was effective for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The hold-relax was effective better than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muscle fatigue.

  • PDF

다단계 모의 열화재의 재료강도 평가와 수명예측 (Strength Evaluation and Life Prediction of the Multistage Degraded Materials)

  • 권재도;진영준;장순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9호
    • /
    • pp.2271-2279
    • /
    • 1993
  • In the case of life prediction on the structures and machines after long service, it is natural to consider a degradation problems. Most of degradation data form practical structures are isolated data obtained at the time of periodical inspection or repair. From such data,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the degradation curve available and necessary for life prediction. In this paper,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gradation curves, developed the simulate degradation method and fatigue test and Charpy impact test were conducted on the degraded, simulate degraded and recovered materials. Fatigue life predicti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transition temperature (DBTT : vTrs) obtained from the Charpy impact test through the degradation process and fatigue crack growth constants of m and C obtained from the fatigue test.

사물탕 및 사물탕합가비불환금정기산이 흰 주의 운동 피로 회복에 미치는 경향 (THE EFFECTS OF sAMUTANG AND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on the recovery of exercise induced fatigue)

  • 박연용;박동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1-248
    • /
    • 1998
  •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multang,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extract on the ability of rat to recover from exhaustion after severe exerci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actate was found to show remarkable decrease in the rat with administration of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group at 120 min (p<0.001). 2. LDH showed elevation in the rat with administration of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group 120 min.(p<0.05) 3. Glucose showed elevation in the rat with administration of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group at 120 min.(p<0.05) 4. FFA showed decrease in the rat with adminstration of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hroup at 120min.(p<0.05) From these results, we recoginized that the effects of Samul-tangmixedKamiBulhwangumjungkisan group is better than Samultang group on the recovery of exercise induced fatigue.

  • PDF

마스크를 이용한 고지적응 훈련방법의 생리학적 타당성 검증을 위한 연구

  • 이면우;이종수;김재영;이철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창원대학교; 08월 09일 Apr. 1994
    • /
    • pp.385-393
    • /
    • 1994
  • 고지대에서 개최되는 국제운동경기의 경우에 선수들의 고지대 적응이 경기 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고지대에서의 경기는 선수들에게 현기 증을 일으키고 호흡, 순환계의 곤란을 유발시키며, 피로감을 증대시킨다. 국 내에서는 1983년 멕시코 세계 청소년 축구대회 당시 고지적응훈련의 일환으 로, 국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연습한 사례가 있었다. 이 훈련방법은 정신 력 강화라는 심리적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고지에서 2-3주간을 지속적으로 체류한 후에 순응이 일어난다는 사실과, 순응된 기능 이 저지대로 돌아올 경우 단시간내에 회복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연습 시에 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훈련방법이 동정맥산소교차의 감소로 저산소증을 유 발하는 고지상황에서의 호흡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 단되었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고지적응 훈련은 인간기능에 관련된 변수들의 연관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 변수들을 효과적으로 조절하 여야만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Weight Lifters와 Non-Weight Lifters 사이의 간헐적인 최대하 수축에서 근전도와 근력의 비교 (EMG and Muscle Force of Intermittent Submaximal Constructions between Weight Lifters and Non-Weight Lifters)

  • 성수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
    • /
    • 1997
  • 인간의 수행 요소인 국소 근육의 피로는 만성적인 손상을 초래한다. 이 연구는 근전도의 진폭(amplitude)과 근력(muscle force)에서 피로의 영향을 WL과 NWL로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손목 굽힘근의 근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WL과 NWL 모두에서 감소되었다. 그러나, WL과 NWL는 시간 경과에 따른 근전도 진폭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WL의 근전도 진폭에서는 운동 후 48분에 가장 높은 변화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근전도의 진폭파 근력이 근피로에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WL은 높은 근전도 진폭을 적용했을 때와 같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오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것은 훈련을 통해 보다 많은 운동단위를 동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경근 피로 정도와 이를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기간은 중요하다. 개인적인 훈련량과 적절한 근력 훈련계획을 위한 작업 - 휴식 반복빈도, 그리고 다른 성격의 집단에서 필요한 재활 지침서를 만드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