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로강도평가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7초

산적화물선 호퍼 너클 이음부의 형상 변화에 따른 피로강도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tigue Strength Assessment for Hopper Knuckle of Bulk Carrier According to Joint Shape Change)

  • 심천식;이훈동;황정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35-338
    • /
    • 2009
  • 일반적으로 비중이 큰 철광석이나 석탄 등을 운반하는 선박화물선의 호퍼 너클 이음부는 여러 판이 용접되어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응력이 집중되어지므로 피로강도평가 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는 구간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sloping 방식의 호퍼 너클 이음 부를 갖는 180k 산적화물선 표준 모델과 제안 되어진 round 방식의 호퍼 너클 이음 부를 갖는 산적화물선에 대하여 구조강도평가와 피로강도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합리적인 비교를 위하여 제안되어진 모델은 기존의 표준 모델의 화물창과 발라스트창의용적이 일치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CSR을 기반으로 한 하중들에 대하여 허용응력과 25년 피로수명을 만족하도록 구조부재를 결정하였으며 피로강도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호퍼 너클부의 변화에 따른 선각 중량과 상대 건조 비 개념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제시 하였다.

  • PDF

선체구조 용접이음부의 피로강도 평가에 대한 검토 (Review of Fatigue Strength Evaluation on Weld Joints of Hull Structure)

  • 성요경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2권3호
    • /
    • pp.26-35
    • /
    • 1994
  • 본 고에서는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의 운항중 선체의 구조적 불연속부에서 발생 하는 균열이 피로강도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피로균열임을 밝히는 당사의 사례에 대해 설명 하고, 국부 구조해석기술을 이용하는 피로설계의 관점에서 선체구조가 충분한 피로강도를 갖고 안전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선체 용접이음부의 피로강도를 평가하는 체계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선체구조물의 피로강도 해석기법

  • 송재영;신찬호
    • 전산구조공학
    • /
    • 제10권3호
    • /
    • pp.7-14
    • /
    • 1997
  • 본 고에서는 설계자가 초기 설계시 적용할 수 있는 간이피로해석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특히 선체의 각 구조상세에 대하여 산정된 응력집중계수를 이용하여 피로수명을 쉽게 평가할 수 있는 집중응력방법을 정립하였다. 이 집중응력방법을 사용하면 모든 구조상세에 대하여 한개의 S-N 선도를 적용하게 되므로 일관성 있는 피로상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로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파랑하중은 설계조건에 주어진 선급규칙에 따라 계산되어진다. 선체구조의 피로강도평가 기술은 계측, 실험, 해석 및 경험을 포함하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면서 정밀함을 요구하는 종합기술이지만 여기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구명하고 모든 선체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피로강도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는 실선계측을 통한 피로하중규명 선체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피로강도 Data base개발, 균열진전해석 등 많은 과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야 한다.

  • PDF

유전적 알고리즘 기반 피로강도평가 전문가시스템개발 (Development of an Expert System for Fatigue Strength Assessment based on Genetic Algorithm)

  • 최홍민;서정관;이제명;백점기;강성원;허희영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258-260
    • /
    • 2004
  • 현재의 피로강도 평가법에서는 각종 실험적인 방법 및 이론적인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피로강도설계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피로특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 대상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성분과 재료 및 구조적인 특성의 상호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지고 있다. (중략)

  • PDF

모노레일 대차 프레임에 대한 구조 안전성 및 피로강도 평가 (An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and Fatigue Strength for the Bogie Frame of Monorail)

  • 고희영;신광복;이광섭;이은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69-475
    • /
    • 2010
  • 본 논문은 국내에서 개발중인 모노레일 대차 프레임에 대해 구조 안전성 및 피로강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모노레일 대차 프레임에 대한 평가기준은 없는 실정이며, 이에 구조 안전성 및 피로강도 평가는 유럽규격인 UIC 615-4 기준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설계된 대차 프레임에 대해 각 하중조건에서의 변위 및 Von-Mises 응력 결과를 통해 구조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피로강도는 UIC 615-4 기준의 규정에 따라 조합 주 운용하중조건에 의해 평가되고, 일괄처리 기능을 갖는 winLIFE v3.1을 이용한 피로해석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설계된 대차 프레임은 구조적 안전성 및 피로강도를 만족하였으며, 일괄처리 기능을 갖는 피로해석은 조합하중을 이용한 기존 피로해석보다 더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선박 용접구조의 잔류응력과 피로강도 (Residual Stress & Fatigue strenght in Welding Ship Structure)

  • 김화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5권3호
    • /
    • pp.12-20
    • /
    • 1997
  • 구조의 용접접합부에는 재료의 항복응력 크기의 용접잔류응력이 발생되고, 이 잔류응력 상태에서는 응력비(최소응력/최대응력)의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것이 일정 진폭 하중조건의 피로실험결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접구조의 설계 단계에서는 초기 용접잔류응력이 그래도 잔류한 소형실험편의 일정진폭하중 상태의 피로실험 결과로부터 도출된 피로설계선도(S-N 선도)를 이용, 변동하중에 의한 응력 진폭의 밀도분포만으로 일생동안의 누적피해도를 구해 피로강도를 평가하는 것이 일 반적이다. 지금까지는 선박용접구조의 경우도 이러한 개념으로 피로강도 평가를 수행 하였으나, 일반적인 육상 또는 해상 용접구조물과는 달리, 화물의 적재 등의 정하중 이력에 의한 응력변동폭은 피로를 유발하는 파랑 응력변동폭보다 상당히 크다. 그리 고, 정하중에 의해 용접접합부에 인장응력을 발생시키는 하중이력을 받을 경우, 초기 용접잔류 응력은 상당히 저하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장응력을 유발하는 정하중 이력에 의해 저하된 용접잔류응력분포와 이러한 잔류응력분포를 가진 선측 종늑골 용접접합부의 피로강도를 검토한다.

  • PDF

전로 지지장치 접합부 강도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ink Strength Design of Converter Suspension System)

  • 이만승;김현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22-325
    • /
    • 2010
  • 철강 플랜트 주요 설비인 전로를 지지하는 장치의 접합부 강도설계를 위해 작용하중은 해석적인 방법으로 신뢰성 있게 계산하였고, 정적하중에 의한 응력은 ASME 규정에 따른 허용응력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피로설계 측면에서는 전로와 같은 대형 용접구조물은 강도상 취약부인 용접부에서 다양한 용접비드 형상에 따라 국부응력이 크게 달라지므로 설계단계에서 피로수명 평가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전로 지지장치 접합부 피로설계는 설계단계에서 피로수명을 평가하는 실용적이고 안전측 방법으로 알려진 Hot Spot 응력을 사용하고 공신력을 갖는 설계규정인 ASME와 영국 PD 5500 절차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두 규정 모두 안전측에서 평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방법은 피로하중이 지배적인 대형구조물의 설계단계에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선박의 근무강도 평가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문성배;이춘기;전승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39
    • /
    • 2013
  • 현재 우리나라는 보유 또는 지배선박이 약 1,000척, 3천만G/T로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 6위의 해운강국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수많은 사관과 부원들이 다양한 선박에 승선하고 있으며 해운산업이 성장할수록 더 많은 선원들이 선박에 근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IMO와 ILO 등에서는 선원들의 선박근무환경 및 휴식 등에 관해서 최소한만을 규정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선원들이 높은 노동 강도에 시달리게 되고 피로와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해양사고의 한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각 선박의 고유 특성과 운항환경 등으로 고려한 선박의 근무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요소와 지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박에 장기간 승선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로 하여금 각 평가요소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선박의 근무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평가요소와 지수를 기반으로 선원들을 각 선원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선박에 배정함으로서 선원들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해양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해양플랜트 Top Side 연결격점부 강도개선방안 연구 (A Study of Strength Improvement Method for Connection Panel Point on Offshore Plant Top Side)

  • 박진은;경갑수;문현기;조윤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110-113
    • /
    • 2010
  • 해양플랜트 구조물은 대양에서 파력을 비롯한 바람 등과 같이 자연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외력을 구조물 사용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랜덤하게 받게 되므로 이로 인한 피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용접부로 이루어진 격점부는 복잡한 기하형상의 영향으로 피로에 대해 취약구조가 되므로 피로강도향상은 해양플랜트 구조의 안전성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격점부에 대한 구조상세에 관련한 설계기준 및 평가방법을 조사하였으며, 고정식 Jacket 구조물을 대상으로 프레임요소를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공용하중에 대한 구조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격점부의 강도평가방법 및 연결부 피로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프레임요소의 구조해석을 토대로 복잡한 기하형상을 가진 KT형 관이음부(Tubular Joints)에 대해 상세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