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난 유도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7초

건축물내 자체발광식 피난유도선 설치에 따른 피난성능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Egress Performance in the Buildings Installed with Luminous Egress Guide-lines)

  • 박용환;김범규;임채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20-126
    • /
    • 2011
  • 고시원 등 다중이용업소의 경우 밀집화된 공간구조로 인해 화재 시의 인명위험도가 크게 부각됨에 따라 해당 건축물에 발광식 피난유도선의 설치를 도입함으로써 거주자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자체발광식 피난유도선의 설치에 따른 피난성능 향상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피난유도등과 새로운 자체발광식 피난유도선에 대하여 다양한 피난시나리오에 따른 피난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피난유도선 및 유도등 모두 법적 기본 성능기준을 만족하였으나, 7 %의 낮은 연기투과율에서는 피난유도선의 식별거리가 유도등에 비해 약 3배 정도 뛰어난 식별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기투과율이 낮을수록 피난유도선쪽이 피난유도등에 비해 피난시간이 훨씬 짧은 것을 볼 때 성능 측면에서 피난유도선이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관측되었다. 피난유도선 미설치 시에는 피난시간 증가율이 피난밀도나 연기투과율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피난유도선 설치시에는 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oRa 기반 피난 유도 체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Ra-based Emergency Exit Guide System)

  • 신재준;은성배;소선섭;김병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69-57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피난 유도 표지에 실시간 화재 상황을 반영한 최적의 피난 경로를 제시하는 LoRa 기반 피난 유도 체계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각 피난 유도 표지는 전후좌우를 나타내는 4개의 LED 지시등으로 구성되고 화재 발생 시 실시간으로 계산된 최적의 대피 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동적인 화재 상황을 모의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다양한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각각의 피난 유도 표지가 정확한 피난 경로를 안내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또한 LoRa 기반 무선통신의 성능 확인을 위해 실내, 실내 대 실외, 실외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측정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수의 피난 유도 표지 설치 외에는 시스템 운영을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 없다는 측면에서 대형 건물은 물론 중소형 건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지향성스피커와 조명제어를 이용한 피난유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Direction Speaker and Control Lightning)

  • Jeon, Gaehyun;Kang, Shinwo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28-234
    • /
    • 2016
  • 최근 우리나라의 건물은 구조와 형태가 대형화, 초고층화 되어가고 있어 재난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재난 발생 시 불특정다수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피난유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피해는 막대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지향성 스피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피난유도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재난 상황은 화재의 경우로 한정하여 연구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화재 발생 시 피난자들에게 재난 발생상황 및 피난에 유용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피난유도를 가능하도록 한다.

인간보행에 적합한 피난 유도

  • 김은
    • 방재와보험
    • /
    • 통권107호
    • /
    • pp.45-51
    • /
    • 2005
  • 초고층 또는 대형.다중이용 건축물에서 화재 등 재해발생시 대형참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규모 관람장, 지하철역사 등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피난유도표시 설치가 주목 받고 있다. 화염으로 인해 조명과 피난표지의 식별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 피난유도표지는 피난경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9.11 세계무역센터 테러 당시 , 공포와 암흑 천지의 상황에서 빌딩 내에 설치되어 있던 피난유도표지는 많은 인명을 구하는데 크게 기여하기도 하였다. 축광 피난구 표지는 빛을 축적해 배터리 등의 전기적인 요소로 작동하는 비상조명과 달리 주위환경에 상관없이 작동할 수 있어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상조명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더욱이 피난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피난자가 얻는 심리적 이익도 함께 얻을 수 있는 잇점으로 전망 또한 매우 밝다.

  • PDF

유비쿼터스 기법을 적용한 실시간 피난유도 시스템: RFID를 이용한 효율적 피난유도시스템 (Real-time Fire Evacuation Guidance System Employing Ubiquitous Techniques: Efficient Exiting System Using RFID)

  • 윤명오;송철호;김태운;최윤수;최연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5-122
    • /
    • 2007
  • 화재와 같은 재난상황에서 피난행동을 돕는 피난유도시스템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고정식 유도장치는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피난유도시스템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는 지하공간에서 실시간으로 화재 및 피난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가변식 유도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피난을 가능하게 하는 실시간피난유도시스템을 구상, 설계하고 이를 제작, 설치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점차 대중화되고 있는 유비쿼터스의 기법을 센서간의 연결과 실시간 위치감지에 도입하여 저렴하고 확장성 있는 시스템의 구현을 시도하였다.

피난유도등의 화제안전시설기준 및 현장실태조사 분석 (Fire Safety Facility Codes and Analysis of Field Conditions of Emergency Light)

  • 김향곤;김동욱;김동우;이기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213-2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유도시설의 설치기준과 지하철역사, 대형편의점(마트), 종합병원 등 의료시설, 학교 등 교육시설과 같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건축물에 설치된 피난 유도등의 현장적용사례와 유지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건축물에서 재실자의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예상되는 인명 안전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소방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화재 발생 위치와 확산 경로에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피난 방향을 표시하고 있는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최적의 피난 경로를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활용할 것이다.

  • PDF

피난유도자 수와 배연설비를 고려한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 평가 (Egress Safety of Nursing Hospital Considering Egress Guides and Smoke Exhaust System)

  • 최승호;할리오나;허인욱;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64-71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하여 배연설비 유무을 변수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요양병원의 피난허용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Pathfinder를 활용하여 재실자의 특성과 피난지연시간을 고려한 요양병원의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피난요구시간을 산정하였다. 피난허용시간과 피난요구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피난유도자수, 피난지연시간, 배연설비 유무에 따른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피난지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상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피난유도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피난요구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FPA에서 제시하는 용량을 갖춘 배연설비가 확보된 경우 피난허용시간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사상자의 수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재해 발생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 (A Shelter Guidance Control System from the Disaster using the PLC)

  • 엄기환;현교환;김주웅;정성부;김인국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2-9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피난구 유도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은 주제어부, 전력선 통신 원격 제어부, 충전부, 음성발생부, 표시부, 경보알람부, 연기감지부 둥으로 구성된다. 제안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피난구 유도 제어장치 시스템을 실험을 통하여 전력선 통신의 단점인 잡음을 개선하였으며, 기존의 피난구 유도등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건축물 내에서 축광유도타일이 피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otoluminescent Exit Path Markings in Evacuation from Buildings)

  • 허만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67-72
    • /
    • 2005
  • 본 연구는 건축물내의 완전 암흑상태에서 축광유도타일이 피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조사는 대구 Fire EXPO '05에 실험 장치를 전시하여 엑스포 관람자 520명을 대상으로 2005년 5월 26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되었다. 실험 조사결과 안전 암흑상태일 때 피난자세는 남자의 경우 70%, 여자는 72%가 벽을 더듬으며 피난한 반면에 축광유도타일이 설치된 경우에는 남자의 경우 88%, 여자의 경우 83%가 선채로 피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건물의 바닥에 축광유도타일을 설치하면 화재시 정전이 되더라고 평소와 다름없이 피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난유도등 디자인 연구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Design of Emergency Light - Focusing on Public Facilities)

  • 유가희;양승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01-308
    • /
    • 2020
  • 본 연구는 다중이용시설의 화재대피 상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중이용시설에 적합한 피난유도등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화재는 재난으로 임의묘사가 불가하여 다중이용시설의 대피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동영상 분석을 진행하였다. 동영상 분석을 통해 다중이용시설 화재의 대피상황에서 기존 피난유도등의 문제점과 필요한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피난유도등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피난유도등 디자인 결과, 벽부형 유도등은 LED 배치구조를 달리하여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 하였다. 천정형 유도등은 복잡한 구조의 복도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형태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피난유도등 제작에 사용되는 기준들을 바탕으로 디자인한 결과로 향후 실험측정과 전문가 자문을 통한 보완단계를 거쳐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