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난위험도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6초

가시도에 따른 이동속도 변화 모듈을 적용한 피난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edestrian Evacuation Simulator with Variable Evacuation Speed along with Visibility)

  • 이동호;노세호;김하영;윤성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0-125
    • /
    • 2010
  • 건축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축물은 심층화, 고층화, 대형화 하고, 내부 구조도 복잡화 되고 있으며, 화재시 인명안전에 대한 위험성은 증대 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재시 건물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피난자의 종류 별 이동속도를 기준으로 한 안전성 평가는 가능 하지만, 화재시 발생하는 열 과 연기의 확산상태를 고려한 피난자의 이동속도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화재 피난 시나리오에 SFPE 방화공학 핸드북의 3-362(연기속의 이동)를 참고하여, 가시도 변화를 적용한 피난자의 이동속도 저하를 구현하여 보다 현실적인 피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지향성스피커와 조명제어를 이용한 피난유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Direction Speaker and Control Lightning)

  • Jeon, Gaehyun;Kang, Shinwo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28-234
    • /
    • 2016
  • 최근 우리나라의 건물은 구조와 형태가 대형화, 초고층화 되어가고 있어 재난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재난 발생 시 불특정다수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피난유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피해는 막대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지향성 스피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피난유도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재난 상황은 화재의 경우로 한정하여 연구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화재 발생 시 피난자들에게 재난 발생상황 및 피난에 유용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피난유도를 가능하도록 한다.

산후조리원 화재 시 임산부의 피난경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Path Analysis of Postpartum Women in Postpartum Care Facility Fire)

  • 홍성호;최문수;이상호;박상태;유송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74-477
    • /
    • 2011
  • 본 논문은 산후조리원에서 화재 발생시 산후조리원에 재원하고 있는 산모의 피난경로를 분석한 연구이다. 화재 시 피난시간은 이동거리와 공간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시 피난시간이나 피난거리 등의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산후조리원에 생활하는 사람은 산모와 신생아로 화재시 피난활동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어려운 인원이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산후조리원 중에서 40개의 산후조리원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각 산후조리원의 피난거리와 피난경로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는 피난비용분석기법을 적용하여 40개 산후조리원에서의 피난지수를 산정하고 피난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난경로는 피난거리와 공간구조를 파악하는 시지각적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중 복합문화센터에서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ire Equipment in Multiple Complex Center)

  • 김광태;김선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01-104
    • /
    • 2012
  • 본 연구는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에서 피난설비 및 피난동선의 적합성 여부와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와 같은 시설에서 화재나 비상시에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적정성 여부와 소화설비의 적정한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조사 결과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몰려들 경우 노약자와 어린이는 부상의 위험성이 높았고,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시스템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전문성과 적정 유지관리시스템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지하층에서 지상으로 완전 피난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 PDF

인공지능형 피난유도등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t Exit Light)

  • 김동욱;이기연;김동우;길형준;김향곤;정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200-2202
    • /
    • 2008
  • 최근 건축구조물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의 심각성과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될 위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 방식의 고정식 단방향을 표시하는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험에 처한 피난자들을 탈출시키고 화재의 발생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ID를 가지는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든 유도등의 방향을 제어하여 안전한 비상출입구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고 화염 및 연기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초기진압 및 최적 대피로로 방향을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건축물내 자체발광식 피난유도선 설치에 따른 피난성능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Egress Performance in the Buildings Installed with Luminous Egress Guide-lines)

  • 박용환;김범규;임채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20-126
    • /
    • 2011
  • 고시원 등 다중이용업소의 경우 밀집화된 공간구조로 인해 화재 시의 인명위험도가 크게 부각됨에 따라 해당 건축물에 발광식 피난유도선의 설치를 도입함으로써 거주자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자체발광식 피난유도선의 설치에 따른 피난성능 향상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피난유도등과 새로운 자체발광식 피난유도선에 대하여 다양한 피난시나리오에 따른 피난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피난유도선 및 유도등 모두 법적 기본 성능기준을 만족하였으나, 7 %의 낮은 연기투과율에서는 피난유도선의 식별거리가 유도등에 비해 약 3배 정도 뛰어난 식별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기투과율이 낮을수록 피난유도선쪽이 피난유도등에 비해 피난시간이 훨씬 짧은 것을 볼 때 성능 측면에서 피난유도선이 훨씬 효과적인 것으로 관측되었다. 피난유도선 미설치 시에는 피난시간 증가율이 피난밀도나 연기투과율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피난유도선 설치시에는 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VR기법을 활용한 엘리베이터 피난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for Using VR Techniques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levator Evacuation)

  • 노세호;윤성욱;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3-18
    • /
    • 2011
  • 방재설계를 하는데 있어서 피난의 주체인 재실자가 화재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난 가능 하도록 피난방법의 최적으로 정립하는 것이 핵심적 사항이다. 건설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초고층 건축물이 세워지고, 초고층 건축물은 다양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재해의 정도를 증대시키고 있다. 초고층 건축물의 기본 설계 단계에서, 화재시 재실자가 피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동시에 시용하여 피난하는 것을 고려 할 수 있으나, 이러한 피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동시에 이용안 대피 성능 평가는 적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Virtools를 이용한 VR 기법을 사용하여 화재시 재실자가 비상 엘리베이터 및 피난계단을 동시에 이용하여 피난 할 경우에 대한 대피성능평가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소형차 전용 도로터널의 화재 위험도 평가기법개발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fire risk assessment method for small road tunnels passing only small cars)

  • 류지오;최판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917-930
    • /
    • 2018
  • 도로터널의 방재시설 설계에 화재 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이 소방시설물에 대한 성능위주 설계의 일환으로 도입되어 전차종이 통과하는 대단면 터널에 대한 방재시설의 적정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로 터널에 도입하고 있는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은 대단면 터널에만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건설이나 계획이 증가하는 소형차 전용 도로터널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터널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소형차 전용 도로터널에 적합한 화재발생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소형차 전용의 모델터널에 대해서 피난연결통로 간격에 따른 위험도를 분석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로 소형차 전용도로터널의 경우, 현행 사회적 위험도 평가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피난연결통로의 적정 간격은 200 m로 평가되었다. 또한 소형차 전용터널에 대한 제배연방식에 따른 위험도를 비교한 결과, 제트팬에 의해서 기류제어가 가능한 대배기구방식이 피난안전확보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