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위험도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Pedestrian Evacuation Simulator with Variable Evacuation Speed along with Visibility (가시도에 따른 이동속도 변화 모듈을 적용한 피난 프로그램 개발)

  • Rie, Dong-Ho;Ro, Se-Ho;Kim, Ha-Young;Yoon,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20-125
    • /
    • 2010
  • 건축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축물은 심층화, 고층화, 대형화 하고, 내부 구조도 복잡화 되고 있으며, 화재시 인명안전에 대한 위험성은 증대 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재시 건물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피난자의 종류 별 이동속도를 기준으로 한 안전성 평가는 가능 하지만, 화재시 발생하는 열 과 연기의 확산상태를 고려한 피난자의 이동속도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화재 피난 시나리오에 SFPE 방화공학 핸드북의 3-362(연기속의 이동)를 참고하여, 가시도 변화를 적용한 피난자의 이동속도 저하를 구현하여 보다 현실적인 피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Direction Speaker and Control Lightning (지향성스피커와 조명제어를 이용한 피난유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 Gaehyun;Kang, Shinw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3
    • /
    • pp.228-234
    • /
    • 2016
  • Recent buildings are complicated and tends to be connected each other and even underground spaces. Although the risk of disaster is increasing, it does not provide training or induction refuge. In this paper, we propose evacuation induction system using directional speaker, for providing persons in danger with useful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uation and to evacuate people effectively as an accurate and rapid evacuation guidance.

A Study on the Evacuation Path Analysis of Postpartum Women in Postpartum Care Facility Fire (산후조리원 화재 시 임산부의 피난경로에 관한 연구)

  • Hong, Sung-Ho;Choi, Moon-Soo;Lee, Sang-Ho;Park, Sang-Tae;Yoo, S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74-477
    • /
    • 2011
  • 본 논문은 산후조리원에서 화재 발생시 산후조리원에 재원하고 있는 산모의 피난경로를 분석한 연구이다. 화재 시 피난시간은 이동거리와 공간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시 피난시간이나 피난거리 등의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산후조리원에 생활하는 사람은 산모와 신생아로 화재시 피난활동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어려운 인원이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산후조리원 중에서 40개의 산후조리원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각 산후조리원의 피난거리와 피난경로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는 피난비용분석기법을 적용하여 40개 산후조리원에서의 피난지수를 산정하고 피난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난경로는 피난거리와 공간구조를 파악하는 시지각적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ire Equipment in Multiple Complex Center (다중 복합문화센터에서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Kim, Kwang-Tae;Kim, S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1-104
    • /
    • 2012
  • 본 연구는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에서 피난설비 및 피난동선의 적합성 여부와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와 같은 시설에서 화재나 비상시에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적정성 여부와 소화설비의 적정한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조사 결과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몰려들 경우 노약자와 어린이는 부상의 위험성이 높았고,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시스템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전문성과 적정 유지관리시스템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지하층에서 지상으로 완전 피난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t Exit Light (인공지능형 피난유도등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Dong-Ook;Lee, Ki-Yoen;Kim, Dong-Woo;Gil, Hyoung-Jun;Kim, Hyang-Kon;Chu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200-2202
    • /
    • 2008
  • 최근 건축구조물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의 심각성과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될 위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 방식의 고정식 단방향을 표시하는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험에 처한 피난자들을 탈출시키고 화재의 발생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ID를 가지는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든 유도등의 방향을 제어하여 안전한 비상출입구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고 화염 및 연기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초기진압 및 최적 대피로로 방향을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The Evaluation of the Egress Performance in the Buildings Installed with Luminous Egress Guide-lines (건축물내 자체발광식 피난유도선 설치에 따른 피난성능 평가)

  • Park, Yong-Hwan;Kim, Beom-Gyu;Lim, Chae-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6
    • /
    • pp.120-126
    • /
    • 2011
  • Recently luminous egress guide-lines are introduced for the fire safety of residents in the multi-use buildings such as Gosiwon. Little literature, however,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stimation for the egress performance of the luminous egress guide-lines can be found. This study carried out experimental investigations to evaluate the egress performance of the existing egress guide-lights and new luminous egress guide-lin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luminous egress guide-lines and egress guide-light satisfied the basic performance of KFI requirements. Under the 7 % smoke transmittance, however, luminous egress guide-lines showed 3 times longer visibility and less evacuation time than egress guide-lights. The evacuation density and smoke transmittance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evacuation time increase without the luminous egress guide-lines, however little effect with the installation.

Study for Using VR Techniques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levator Evacuation (VR기법을 활용한 엘리베이터 피난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Ro, Se-Ho;Yoon, Sung-Wook;Rie, Dong-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1
    • /
    • pp.13-18
    • /
    • 2011
  • In the disaster prevention design, it is important point to secure escape way at event of fire which makes people away from the fire more quickly and safely.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iques leads to build many skyscrapers, and skyscrapers contains various dangers and increase levels of disaster. At basic design stage for skyscrapers, evacuation scenario is considered that occupants are escape using escape stairs and emergency elevators simultaneously at fire, but there is no evacuation program to simulate using escape stairs and emergency elevators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evacuation simulation is performed using method of VR which is based on Virtools of 3DVIA Co., and Simulex of IES Co. for safety and effectiveness where occupants are escape using escape stairs and emergency elevators simultaneously at the fir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fire risk assessment method for small road tunnels passing only small cars (소형차 전용 도로터널의 화재 위험도 평가기법개발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 Ryu, Ji-Oh;Choi, Pan-Gyu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0 no.6
    • /
    • pp.917-930
    • /
    • 2018
  •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fire risk in designing a road tunnel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has been introduc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a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in a large tunnel through which all vehicle types pass. However, since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of the developed can be applied only to the large sectional area tunnels (large tunne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for road tunnels passing only small cars which has recently been constructed or planned. In this study, fire accidents scenarios and quantitative risk assesment method for small road tunnels through small cars only which is based on the methods for existing road tunnels (large tunnels). And the risk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cross passage is evaluated. As a result, in order to satisfy the societal risk assessment criteria, the distance of the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cross passages was estimated to be 200 m, and the effect of the ventilation system of the large port exhaust ventilation system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comparing the longitudinal ventil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