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립러닝의 교육적 가치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플립러닝의 동영상 활용시 제안과 교육적 가치 고찰 (Suggestions for Using Flipped Learning Videos and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

  • 이은선;임희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87-95
    • /
    • 2020
  • 기존에는 동영상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플립러닝의 교육적 가치에 관심을 둔 연구가 거의 없었으며, 플립러닝을 이해하지 못하여 잘못된 실험들도 많이 있었다. 따라서 플립러닝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대표적인 선행학습 도구인 동영상 학습의 주의할 점을 제안하고 플립러닝의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기위해 뒷받침할 논문과 근거들을 제시했다. 강의 동영상은 10~15분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제작해야하며, 플립러닝의 교육적 가치는 자기주도학습, 협력학습, 하브루타, 망각곡선 극복, 메타인지에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플립러닝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에게 좋은 지침과 교육 방향이 제공되길 기대한다.

플립러닝에 대한 메타 연구: 성공적 적용요건과 향후 연구방향 (A meta-analysis on flipped learning: Conditions for successful ap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 박에스더;박지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169-17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성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플립러닝에 관한 고등교육분야에서의 연구를 분석하여 관련 연구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오늘날 대학들은 고등교육의 핵심가치라고 여겨지는 능력들을 함양시키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교육과정 개선과 교수법 개선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중 교수법 관련 대안으로 최근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비교적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의 역사는 짧지만, 연구물이 축적된 현 시점에서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추후 이 주제에 대한 연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일은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러닝에 대한 20편의 연구를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개념적 틀을 활용하여 엄밀하게 분석하였고, 각 준거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플립러닝이 성공적으로 교육현장에 정착되기 위한 조건과 향후 플립러닝에 관련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3-282
    • /
    • 2015
  •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온라인교육은 그동안 대학 교육과정 혹은 대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형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진행된 MOOCs의 출현과 발전은 전통적인 온라인교육과는 달리 수강 인원에 제한이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Open), 무료로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강좌(Courses)란 점에서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해외에서는 iSchool 대학을 중심으로 주요 문헌정보학 전공교과목을 MOOCs로 개설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에서의 MOOCs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 A 대학 문헌정보학과 전공 기초 교과목에 해외의 문헌정보학 MOOCs 강좌의 일부를 활용함으로써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은 언어적 장벽은 있으나 MOOCs 수업 콘텐츠에 대한 흥미, 유용성 및 향후 다른 MOOCS 수강 의지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MOOCs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으로 교육적 가치 및 운영방식 확립, 학생들의 동기부여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MOOCs 설계방안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