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로팅 건축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pace Design Marketing of Floating Architecture and Its Spatial Demands (플로팅건축물의 공간디자인마케팅과 공간수요 예측)

  • Pak, Sung-Sin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9 no.4
    • /
    • pp.329-334
    • /
    • 2015
  • Currently, image of floating architecture has been positively improved based on the normalization of a domestic representative floating building 'Some Sevit'. Features of the floating architecture are as follows: special experience (29.9%)> landmark (27.6%)> enjoyment of marine culture (21.5%)> center for tourism and regional development (16.0%)> eco-friendly space solving global warming (4.8%). Floating building has a distinctive image and at the same time offers a unique spatial experience to the public. Therefore, space design marketing of floating building is a communication process to exchange its spatial identity and image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ublic, the corporation and customers. It is essential for the effective space design marketing that the spatial demands should be reflected into its program such as commercial, cultural and marina facilities. The unification of project leader and operator is also important. The transformed conditions would help the construction market to be active in the future.

플로팅 건축설계에서의 BIM기반 통합설계 프로세스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Jeon, Gi-Hyeong;Kim, J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02-304
    • /
    • 2012
  • 수해양공간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플로팅 건축은 외부환경인자 증가 및 복잡한 공정으로 인한 정보전달 및 의사결정을 위한 협업이 중요하다. 협업 중심의 BIM기반 통합설계프로세스의 적용은 플로팅건축 설계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게 할 것이다.

  • PDF

Energy Consumption Estimation for Equitment Typical Floating Building with ECO2 Program (ECO2 프로그램을 이용한 설비 대안별 플로팅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예측)

  • Jang, Mun-Ki;Hwang, D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03-204
    • /
    • 2014
  • In addition, a floating building is emerging as a new type of building.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energy consumption of floating building by design alternatives and will provide basic data for zero-energybuilding of floating architecture.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 Floating Architecture (플로팅건축물 건설사업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 Hong, Soon-Yeon;Jung, Won-Jo;Kim, Jung-Gil;Shin,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01-202
    • /
    • 2014
  • 플로팅 건축은 일반 육상 건축과는 달리 건축의 개념을 해양으로 확장시킨 것으로 육상 건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는 하나의 출발점으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플로팅 건축의 역사는 매우 짧으며 축적된 기술도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아직 초보단계에 그치고 있는 플로팅 건축은 활용측면에서도 단순 기능의 부유식 선착장이나 낚시용 시설 등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cdots}$(중략)${\cdots}$.

  • PDF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Floating Hotel (플로팅 호텔의 건축계획에 대한 사례연구)

  • Moon, Chang-H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6
    • /
    • pp.515-522
    • /
    • 2011
  •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uggest som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future planning of floating hotel, by reviewing the concept of floating hotel and analyzing the realized and planned ones through the search of related documents and homepages. Floating hotel can be defined as a building for living/recreation/work/entertainment with floating system on water, but without navigation tool. In terms of sequence, the River Kawi Jungle Rafts Resort was built in 1976, Four Seasons Hotel in 1988, and Salt & Sill in 2008. Floating hotels are various in scale(height) and size(room numbers), and have basic, cultural, health & marina facilitie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ample facilities can be summarized as self-supporting of the facilities,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al planning,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introduction of new plastic composite material, and provision of same view from all bedrooms by rotating the building.

플로팅 건축물 창호의 개방감 평가를 위한 사례 연구

  • Kim, Ik-Hyeon;Do,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83-284
    • /
    • 2013
  • 플로팅 건축물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광활한 수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개구부를 통해 보이는 조망에 의해 재실자의 거주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다라는 특수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에 비해 외부 기후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특히 창호 등의 외장재는 비교적 높은 열관류율과 낮은 강도로 인해 무분별한 확장을 실행할 경우 실내 냉 난방에너지 소비가 증대와 태풍 및 월파 등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로팅 건축물에서 대부분의 재실자가 충분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창호 크기의 범위를 알아내기 위해서 일반 건축물의 조망 및 실내 개방감 평가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의 사례를 조사하고 플로팅 건축물에서의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인체의 시야각을 이용해 내부 공간에서의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과 실물 축소모형을 이용해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플로팅 건축의 출현배경과 유형구분 기준

  • Park, Seo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06-208
    • /
    • 2011
  • 플로팅건축물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의 상승, 소득 증대 및 관광행태 변화에 따라 급증한 해양 레포츠 수요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건축물이다. 플로팅건축은 프로그램, 형태, 건축규모, 층수, 위치, 접근방법, 이동성, 에너지 자립도 등 8가지 기준에 따라 유형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된 주거시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플로팅건축의 디자인 특성은 (1) 2층 규모, (2) 면적 비율이 높은 데크, (3) 장방형의 균형감 있는 매스, (4) 조망 극대화, (5) 친수공간 확보, (6) 공간의 통합적 사용 및 합리적 면적 배분의 평면계획, (7) 수면 반사를 고려한 단면계획, (8) 모듈화 및 유닛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 PDF

플로팅 건축 폰툰 형식과 상부 시설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

  • Go, Min-Cheol;Song, S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5-107
    • /
    • 2011
  • 국내의 플로팅 건축 사례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보다는 바지선과 같은 형식의 폰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유럽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폰툰의 사례가 많고 상대적으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 사례를 통해 철근콘크리트 폰툰의 유형을 구분하고 상부시설과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플로팅 건축 계획에서 계획방법론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 한다.

  • PDF

플로팅 건축에서 해수열 이용을 위한 수중 열교환기 성능예측에 관한 기초연구

  • Lee, Hyeon-In;Kim, Byeol;Hwang, Gw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1-112
    • /
    • 2011
  • 지구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배출량 저감 기술 개발과 같은 대응기술 개발이 시급한 가운데 수 해양 공간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플로팅 건축물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로팅 건축물 주변에 존재하는 신재생에너지 중 해수 열 이용을 위한 수중 열교환기의 성능을 FLUENT를 이용하여 예측 분석하였다.

  • PDF

정주형 플로팅 건축물 상부시설의 배치 및 형태계획 지침 작성 방안 연구

  • Song, S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13-215
    • /
    • 2011
  • 국내외에서 플로팅 건축물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수요가 현실화되고 있는 반면, 플로팅 건축물 계획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배치와 형태계획 등에 관련된 직접적인 지침은 없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외 관련 지침을 조사하여 배치 및 형태계획과 관련된 지침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배치 및 형태계획 지침을 작성하기 위한 지침 구성 체계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