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러그묘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evelopment of Transplanting System for Plug Seedlings(I) - Development of Transplanting Mechanism using Vacuum Suction - (플러그묘 이식시스템 개발(I) - 진공흡인식 이식 메커니즘 개발 -)

  • Lee, Gong IN;Heo, Jeong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8-128
    • /
    • 2017
  • 현재 식물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식장치는 핀을 이용하여 육묘트레이 위에서 플러그묘를 뽑아 육묘트레이 또는 포트로 옮겨 심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식 방식은 셀과 셀 사이에 있는 다른 묘의 잎을 파지함으로써 묘를 2개 이상 취출하는 현상이라든지 핀에 의한 잎 손상 등이 우려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플러그묘의 이식작업 시 잎 손상을 줄이면서 기계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식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진공흡인을 이용한 이식 메커니즘에 대해 검토하였다. 플러그묘 이식시스템은 육묘트레이 셀을 X-Y로 옮기는 묘 이송부, 육묘트레이의 셀 하단으로부터 진공을 발생시켜 묘를 떨어뜨리는 진공 흡인부, 낙하되는 묘를 감지하는 센서와 블로워 및 공압 실린더로 구성된 진공 발생부, 혈공된 포트를 진공 발생부의 유도관으로 옮기는 포트 이송부 등으로 설계 제작하였다. 이식 메커니즘은 육묘트레이 하단부로부터 플러그묘를 1개씩 진공흡인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고, 이를 위해 상하 모두 개방된 72공 육묘트레이($L538{\times}W280{\times}H45mm$)를 윗부분(Ø35mm) 보다 아랫부분(Ø37mm)의 셀이 넓은 형상으로 PP재질의 육묘트레이를 사출금형 제작하였다. 묘 이송부에 장착된 플러그묘는 X축 방향(12개 셀)으로 이식작업이 이루어지고, Y축(6개 셀)으로 이동된 후 다시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어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식 원리는 진공 흡인부에 플러그묘가 이송되면 진공 발생부의 흡착패드가 위로 전진하여 진공을 발생시켜 묘를 흡인하고, 유도관 내에 부착된 광화이버센서에 의해 묘를 감지하여 블로워와 공압실린더를 제어함으로써 이식 공정이 끝나게 된다. 로메인상추의 플러그묘를 대상으로 진공흡인 시험을 실시한 결과 묘 손상없이 이식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Effects of $CO_2$ concentration and air current speed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ug seedlings under artificial lighting (인공광하에서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CO_2$ 농도와 기류속도의 영향)

  • 김용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04a
    • /
    • pp.54-57
    • /
    • 1999
  • 플러그묘의 생육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플러그묘 개체군(이하 '묘개체군'이라 칭함) 내외에서의 미기상 요소는 기류속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식물묘공장과 같이 인공광을 이용한 반폐쇄 생태계에서 품질이 균일한 플러그묘 생산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된 기초 연구에서 김과 고재(1996a, 1996b, 1996c, 1997), Kim 등(1996)은 플러그묘 생산용 풍동 설계 및 공기역학적 특성의 구명, 기류속도가 묘개체군 내외에서 기온ㆍ상대습도ㆍ포차ㆍ$CO_2$ 농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묘개체군의 순광합성 속도 측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중략)

  • PDF

Effects of air current speed on the growth of plug seedlings under artificial light (기류속도가 인공광하의 플러그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김용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74-79
    • /
    • 1997
  • 플러그묘의 생육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플러그묘 개체군(이하 '묘개체군' 이라 칭함) 내외에서의 미기상 요소는 기류속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인공광을 이용한 반폐쇄생태계에서 품질이 균일한 플러그묘 생산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한 금과 고재$^{(1)~(4)}$ , Kim등$^{(5)}$ 은 최근들어 플러그묘 생산용 풍동 설계 및 공기역학적 특성의 구명, 기류속도가 묘개체군내외에서 기온ㆍ상대습도ㆍ포차ㆍ$CO_2$ 농도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묘개체군의 순광합성 속도 측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중략)

  • PDF

Quality of Potato Plug Seedlings a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and Electric Conductivity of Nutrient Solution (광합성유효광양자속과 배양액의 전기전도도가 감자 플러그묘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 이상헌;김용현;이명규;최유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0-145
    • /
    • 2003
  • 폐쇄형 묘생산 시스템을에서 기내 배양된 감자 소식물체를 이용하여 플러그묘의 생산이 시도(Kim 등, 2002)된 이래 묘소질이 우수한 감자 플러그묘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이 등, 2002, 2003). 묘소질은 정식 후 활착의 용이, 수량 증대 및 품질의 우수성을 제공하는 잠재력으로서, 초장, 절간장, 엽형, 엽색 등과 같은 외적 소질과 광합성속도, 엽록소함량, 근활력 등 내적 소질로 구분된다(Kim, 2002). (중략)

  • PDF

Growth of Cucumber Plug Seedlings as Affected by Photoperiod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오이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광주기와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영향$^{+}$)

  • 김용현;박현수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1 no.1
    • /
    • pp.40-44
    • /
    • 2002
  • A prototype of closed-type transplant production system(CTTPS) with fully environmental control was developed to produce massively quality transplants. Four photosynthetic photon flux(PPF) levels of 200,300,400 and 500$\mu$mol . m$^{-2}$ .s$^{-1}$ , four photoperiod levels of 1816 h,12/12h, 9/15 h and 6/18 h were provided to analyz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ucumber plug seedlings(Cucumis sativus L., cv. Kyuewosalichungiang) as affected by PPF and photoperiod in a CTTPS. Effect of photoperiod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ucumber plug seedlings produced in a CTTPS was higher than PPF, Stem diameters dry weight of shoot and roots number of leaves, leaf with and length, and SPAD value of cucumber plug seedlings produced in a CTTPS were significantly high a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stem length of plug seedlings produced in a CTTPS was shor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wth characteristics of cucumber plug seedlings raised at photoperiod of 6/18 h and PPF of 200$\mu$mol . m$^{-2}$ .s$^{-1}$ were similar to the those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cumber quality transplant can be produced at relatively short photoperiod and low PPF, It means that the electric energy consumed for the production of cucumber plug seedlings in a CTTPS can be saved.

Growth of cucumber plug seedlings as affected by photoperiod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오이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광주기와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영향)

  • 김용현;박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40-45
    • /
    • 2001
  • 최근 들어 육묘시설의 양적 증가와 육묘 기술 수준의 향상에 힘입어 플러그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더구나 육묘와 재배의 분업화가 진행되고, 고품질 묘의 안정된 수급이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육묘 산업에 대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육묘시설은 개방형 묘생산 시스템으로서, 육묘시설 내의 환경이 외부 기상 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the Dimensions of Horticultural Products and the Mean Plant Height of Plug Seedlings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의 평균초장 추정)

  • Jang, Dong Hwa;Kim, Hyeon Tae;Kim, Yong Hye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8 no.4
    • /
    • pp.358-365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dimensions of horticultural products and the mean plant height of plug seedlings using three-dimensional (3D) images. Two types of camera, a ToF camera and a stereo-vision camera, were used to acquire 3D images for horticultural products and plug seedlings. The errors calculated from the ToF images for dimensions of horticultural products and mean height of plug seedlings were lower than those predicted from stereo-vision images. A new indicator was defined for determining the mean plant height of plug seedlings. Except for watermelon with tap, the errors of circumference and height of horticultural products were 0.0-3.0% and 0.0-4.7%, respectively. Also, the error of mean plant height for plug seedlings was 0.0-5.5%. The results revealed that 3D images can be utilized to estimate accurately the dimensions of horticultural products and the plant height of plug seedlings. Moreover, our method is potentially applicable for segmenting objects and for removing outliers from the point cloud data based on the 3D images of horticultural crops.

Effects or air current speeds on the growth or eggplant plug seedlings in a wind tunnel under artificial lighting (인공광하의 풍동내에서 기류속도가 가지 플러그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김용현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7 no.1
    • /
    • pp.9-14
    • /
    • 1998
  • Air current speeds were controlled of 0.3, 0.5, 0.7 and 0.9 m.s$^{-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r current speeds on the growth of eggplant plug seedlings (Solanum melongena L.) in a wind tunnel under artificial lighting. Growth of plug seedlings was influenced by the magnitude of air current speed and the traveling distance of regulated air flow. Stem length.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n stem,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of plug seedling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air current speed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5% level. Net photosynthetic rates of plug stand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ir current speed and took a maximum value at the air current speed of 0.7~09 m.s$^{-1}$ . Stem diameter decreased and leaf area increased with the traveling distance of regulated air flow. Fresh weight and T/R ratio of dried weight were not influenced by the air current speed. Optimum control for microclimates inside the plug stand is needed to produce the uniform growth and high quality of plug seedlings in a semi-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under artificial lighting.

  • PDF

Transplant Quality and the Yield of 'Momotaro-Yoku' Tomato as Affected by Seedling Age and Container Size Used for Raising Seedling in Summer (모모타로-요쿠 토마토 하계 육묘시 용기 크기와 묘령이 정식 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최영하;조정래;이한철;박동금;권준국;이재한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1 no.1
    • /
    • pp.12-17
    • /
    • 2002
  • Tn establish the criteria for appropriate seedling production method in the summer, the effect of container size and seedling age on the growth and yield were evaluated with tomato. The seedling quality was higher when seedlings were grown polyethylene in 9cm pots than in 72 cell plugs. Seedling quality increased with increase in seedling age in polyethylene pots, whereas seedling age did not affect seedling quality in plug trays. Fruits matured earlier on plants started from pot-grown transplants for a long duration than with plug tray-grown transplants for a shorter duration. Not only total yield in 4 months, but the early yield in the first 2 months, was higher with pot-nursed transplants than with plug tray-nursed transplants. With pot-grown transplants, The early yield in initial 2 months was the lowest in 25 day-old transplan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35- and 45-day-old transplants. Seedling age did not affect the cumulative yield for 3 months after the first harvest. With plug tray-grown transplants, the cumulative yield tar initial 3 months was the highest in plants grown for 35 days in the nursery, followed by 25 day and 45 da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edling ages in the total yield.

Effects of Ultraviolet-B and Chemical Growth Inhibitors on the Overgrowth Retard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Plug-grown Fruit-vegetable Transplants (UV-B와 생장억제제 처리에 따른 과채류 플러그묘의 도장억제효과 및 생리반응)

  • 권준국;이재한;박동금;최영하;조미애;박중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17-23
    • /
    • 2003
  • 최근 채소작물의 모종은 주로 플러그 육묘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플러그묘는 단위면적당 많은 개체 수를 육묘할 수 있고, 일련의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으며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하는 등 여러 가지 잇점이 있으나 제한된 용적에 밀식되므로 묘가 연약하고 도장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Bae, 1999; Choi, 2002). 이러한 도장 및 과번무 억제를 위해서 대부분의 육묘장에서는 화학적 생장억제제로를 처리하고 있는데 이는 정식한 이후에도 약효의 지속되기 때문에 초기생육을 지연시키거나 생식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Gent, 1997).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