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랫폼 생태계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for a Way to Invigorate Domestic Documentary Ecosystem: Focusing on the Growth of Independent Documentaries and the Case of POV (다큐멘터리 생태계의 활성화 방안 -독립 다큐멘터리의 성장과 미국 POV 사례를 중심으로)

  • Lee, EunKyung;Im, So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168-178
    • /
    • 2019
  •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the recent success of independent documentaries to find its implications and a way to invigorate Korean documentary ecosystems. To this aim, this study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independent documentary film makers and television documentary directors. Also, it analyzed the case of POV (Point Of View), which is television's longest-running showcase for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in the USA. The results display that independent documentaries convey competitive edge of contents and expansion of distribution and funding through film industry systems, based on the producer systems, global distribution networks of overseas pitching and film festivals, marketing and audience strategy of film industry. Although this shows its molding of documentary industry ecosystems, there are great needs for various platforms other than film industrial outlet in order to make an advancement of the ecosystems under the digital environment. POV works on the basis of 'open sourcing' form when collaborating with independent film makers. Independent documentaries picked up by POV are aired on PBS, streamed via its online service, and distributed through community screenings; this three-outlet strategy makes POV a unique platform and has a relevance and feasibility to apply for Korean documentary ecosystem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create a platform adopting POV system hoping that more studies and efforts would come for various and novel platform building so to make more advanced and invigorated ecosystems of Korean documentary.

Trends of IoT Device Platforms and Building its Ecosystems (IoT 단말 플랫폼동향 및 생태계 구축)

  • Kim, S.T.;Jeong, J.S.;Song, J.K.;Kim, H.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4
    • /
    • pp.82-90
    • /
    • 2014
  •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초연결 혁명 진행 중에 있다. 이에 정부는 사물인터넷을 공공, 산업, 개인 등 국가사회 현안 해결의 수단으로 활용하여 산업경쟁력 강화 및 창의적 IoT 서비스 제품 창출과 중소 중견 전문기업 육성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물인터넷의 핵심인 단말 플랫폼기술에 대한 글로벌 기업 및 프로젝트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융합기반 사업화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단말 플랫폼의 개발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본다. 뿐만 아니라, 향후 사물인터넷의 단말 플랫폼 경쟁력 확보 및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단말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하드웨어 플랫폼 구축방법으로 개발자 지향 개방형 SW-SoC(System on Chip) 융합을 통한 인프라 구축방안 제시하고,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 산 학 연 협력기반 기술개발 로드맵 방향을 제시한다.

  • PDF

복지형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에 관한 연구: KISTI의 창조경제타운을 중심으로

  • Jeong, Do-Beom;Hwang, Yeong-Heon;Song, Yong-Jun;Kim,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5.11a
    • /
    • pp.695-702
    • /
    • 2015
  • 신산업 시장 육성 및 일자리 창출 등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진 기술을 모방하는 추격형 전략에서 벗어나,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탈추격형 전략으로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 해외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을 통해 국민 모두가 혁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국민의 창의성을 발현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며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운영하고 있는 창조경제타운은 아이디어의 발전 구체화 및 부처/민간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연계 등을 통해 사업화 창업을 촉진하는 우리나라의 복지형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이다. 본 연구는 복지형 아이디어 지원 플랫폼의 개념을 제시하고, 그 대표적인 모델인 창조경제타운의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향후 창조경제타운은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pen Cloud Platform Ecosystem Strategy Using the Container Orchestration Platform (컨테이너 자동편성 플랫폼을 활용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전략)

  • Jung, Ki-Bong;Hyun, Jae-Uk;Yoon, Hee-Geun;Kim, Eun-Ju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6 no.3
    • /
    • pp.90-106
    • /
    • 2019
  • The cloud services market is growing rapidly from the on-premises environment to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nd the domestic cloud software market in Korea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around 15%. In Korea, research teams are providing open cloud platforms using open source software under the government taking the initiative, which intends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functionality of open cloud platforms, provide users with a world-class open cloud platform-based and developer-friendly environment that is managed on heterogeneous cloud infrastructure and supported by full-lifecycle management of application softwa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utilize CaaS in the open cloud platform, through incorporating the platform with the container orchestration platform. Finally, by providing users with the application runtime and container runtime, it presents how the two platforms can coexist and cooperate in the same ecosystem.

소셜벤처 창업 초기에 플랫폼 전략 채택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점프!의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Jae-Hong;Hwang, Geum-J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2-22
    • /
    • 2017
  • 소셜벤처는 기존의 일반적인 벤처기업과 달리 기술, 경영 혁신 등의 방법으로 경영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형태에 사회적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 기업 형태를 결합한 조직이다. 소셜벤처에게는 창업 초기의 전략 수립과 이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설정이 일반 벤처보다 더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 이는 소셜벤처들이 경제적 가치 추구와 함께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소셜벤처만의 이중적인 사업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중적인 사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또는 효과적인 사업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관련 그룹들을 플랫폼에 모아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고 새로운 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플랫폼 전략(Platform Strategy)이 주목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소셜벤처중에 점프!라는 기업의 사례를 주목하게 되는데 이 회사는 2011년 5월에 창업한 이래 현재까지 지난 7년동안 사업의 내용과 규모를 확장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타 소셜벤처가 시도하지 않았던 플랫폼 전략을 시도하여, 다양한 참여자들을 유인하고, 이들이 새로운 혁신과 성장을 리드하였다는 것이 큰 작용을 했다는 사실이 존재한다. 본 논문을 통해 소개되는 소셜벤처 점프!의 창업과 성장 사례를 통해서 소셜벤처에게 창업 초기부터 플랫폼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에 유의미한 효과를 발생시키는지를 알아보고 기업생태계를 넘어 사회전체적인 생태계를 통한 사회적 대공진화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방송통신사업자의 스마트미디어 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HTML5,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적 배경을 근간으로

  • Song, Min-Jeong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8 no.1
    • /
    • pp.89-104
    • /
    • 2013
  • 다양한 스마트기기 간 및 앱(Application) 간 연동을 통한 스마트미디어 생태계 환경에서 애플(Apple),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SW(Software) 기반 OS(Operating System) 플랫폼들은 개별 체제 강화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있다. 생태계 내 타(他) 구성원들은 이들에 의한 제약이 더욱 심해지자, 웹 문서의 표준화(HTML5)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같은 개방화된 기술들을 환영한다. 실제로 최근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개발과 개발자들의 OS 플랫폼 이탈은 이러한 변화의 단면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본 고는 SW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이동 중인 플랫폼 경쟁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보유 중인 방송통신사업자들의 새로운 스마트미디어 전략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기술적 배경인 HTML5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들을 살펴본 후, 그 동안 SW 중심 플랫폼 경쟁 환경에서 주도권을 빼앗겼다고 깨달은 방송통신사업자가 취해야 할, 두 가지 새로운 기술적 환경에서의 스마트미디어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HTML5가 모바일 분야의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지만, 단기적으로는 여전히 미성숙 문제가 제기될 것으로 보이며, 기존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OS 사업자들의 가치사슬 통합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는 환경이 목격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도 이미 이들 OS사업자들의 기존 생태계 유지를 위한 핵심 툴로 이미 활용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TML5와 클라우드 컴퓨팅은 방송통신사업자들에게 생태계 주도권을 탈환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세 가지 이용자 경험인 '경계 없는', '동질적인', '끊김 없는' 이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제공을 위해 노력하는 선도적인 사례 탐색이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방송통신사업자들의 미래 스마트미디어 전략 방향이 도출되었다. '경계 없는' 서비스에서는 구글, 애플 외의 멀티OS 전략과 기존 OS의 앱 서비스 대항마인 아마존(Amazon), 페이스북(Facebook) 등과의 적극적 서비스 제휴, '동질적인' 서비스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주요 콘텐츠 플랫폼 제휴와 방송통신 가입자 기반의 All-IP기반으로의 확대, 마지막으로 '끊김 없는' 서비스에서는 SNS, LBS, 가상현실 등과의 매쉬업(Mash-up)과 의료, 금융 등과의 융합서비스 개발을 통한 스마트홈 전략 추진, 인증 및 결제시스템의 개방화 등이 제시되었다.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표준과 적합성 시험 환경

  • Lee, Dong-Hun;Kim, Ho-Nyeon;Park, Dong-Yeong;Lee, Eun-Hya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7
    • /
    • pp.15-23
    • /
    • 2014
  •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표준은 TV 제조사와 플랫폼 사업자 중심으로 파편화된 스마트 TV 앱 생태계 한계를 극복하고 표준 기반의 공통 플랫폼 기술을 통해 앱 생태계를 활성화 촉진시키기 위해 제정된 개방형 TV 플랫폼 기술 표준이다. 본 고에서는 이 표준 기술을 소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표준에 정의된 HTML5 기반의 앱 실행환경, TV 디바이스 환경을 고려한 앱 모델, 채널 프로그램과 같은 방송 자원을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앱 스토어를 통한 앱 다운로드 및 실행을 위한 패키징 규칙, 멀티스크린 적응형 스트리밍 등 다양한 스마트 TV 플랫폼 관련 기술들을 설명한다. 또한, 스마트 TV 앱이 표준 기반으로 개발된 다양한 수신기에 동일하게 실행됨을 보장하기 위해 수신기에 대한 표준 구현 적합성 검증이 필요함을 제기하면서, 이를 위한 시험 기준을 정의한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수신기 적합성 시험" 표준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이 표준은 수신기 기능 검증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를 정의하고 시험 절차 및 판정 기준 등을 규정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는 TTA에서 실제로 이 시험 표준을 기반으로 구축한 적합성 시험 환경을 소개한다. 수신기의 표준 기술 검증용으로 시험표준에 따라 개발된 테스트 케이스와 이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서 구성한 웹 서버, 방송 송출 서버, 적합성 시험 관리 시스템 등의 환경 구성 요소 및 그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C-P-N-D Ecosystem-based Broadcasting/Media Virtual Reality (VR) Prospects (C-P-N-D 생태계 차원에서의 방송/미디어 분야 가상현실(VR) 발전 전망)

  • Lee, Jongseok;Suh, Kyoowon;Nam, Sangh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3 no.1
    • /
    • pp.19-25
    • /
    • 2018
  • The growth of virtual reality(VR), which is regarded as a par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being delayed differently from the prediction. In this study, we briefly analyze these reas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CPND ecosystem. Virtual reality is a technology in which a user wears a device and accesses a platform through a network to use various contents. Therefore, balanced development of C-P-N-D ecosystem fields is important for successful popularization of virtual reality. In Korea, content, platforms, and devices, except for the network, are evaluated as having low competitiveness. While effort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individual fields are important, it is also necessary to nurture network-based platforms that can utilize killer content.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simple breeding of killer content alone can not build an entire virtual reality C-P-N-D ecosystem, and the broadcast / media sector also needs to take this approach.

Development of Bio-Inspired System Software Architecture Based on Multi-Agents Framework (멀티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기반의 생태계 모방 시스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개발)

  • Lee, Hak-Joo;Song, Ji-Young;Lee, Keun-Jun;Park, Sung-Yong;Jung, Sung-Won;Yang, Ji-Hoon;Na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58-267
    • /
    • 2003
  •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해 현재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에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생태계 구조를 모방한(Bio-inspired) 네트워크 기반적응 생존형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는 생태계의 여러 특성 중 적응성(adaptability) 확장성(scalability), 생존성(survivability)을 모델링 하고자한다. 이 시스템은 상기의 특성을 포함하는 몇 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립된 개체의 역할을 하는 에코전트 레이어와 에코전트의 활동을 지원하는 에코전트 플랫폼 레이어, 효율적인 네트워크 활용을 위한 플랫폼 콜레버레이션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구체적인 기능과 구성 그리고 이 시스템의 활용 분야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Business Ecosystem of Samsung and Xiaomi: Focus on CPND Value Chain of IoT Industry (삼성과 샤오미의 기업생태계 비교 연구: IoT 산업의 CPND 가치사슬을 중심으로)

  • Sawng, Yeong-Wha;Cho, Yeong-Eun;Park, Sun-You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8 no.2
    • /
    • pp.1-22
    • /
    • 2016
  •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global market environment, companie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ndustry have begun to pursue cooperation and competition on a business ecosystem level. In particular, to become a leader in the new growth engine industry of Internet of Things (IoT), companies around the globe aim to consolidate vertically up the value chain through a solid establishment of their platforms. This paper looks at Samsung and Xiaomi, whose strategies for creating an ecosystem based on their own platforms differ in accordance to the ecosystem in which they compete. An analysis of these two companies indicate that Samsung pursues a strategy to become the market standard by openly sharing its platform with complementary companies, whereas Xiaomi pursues a strategy that achieves value as a channel owner through the restriction on which companies may become partners. This paper concludes that as Samsung and Xiaomi strive to become IoT industry leaders, each company pursues a variant of a platform-based value chain integration strategy based on the specific nature of the ecosystems in which they compete, thereby creating value through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ir partner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