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랫폼 배달 서비스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비콘 삼변측량과 보로노이 세선화를 이용한 서비스로봇의 최적 이동위치 추정 (Optimal Position Estimation of a Service Robot using GVG Nodes and Beacon Trilateral Method)

  • 임수종;이우진;윤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11
    • /
    • 2021
  • 본 논문은 실내환경에서 로봇의 센싱영역을 벗어난 곳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접근하여 배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로봇의 최적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비콘-태그 모듈정보에 삼변측량법을 적용하여 실내환경에서 위치를 추정하였고, 사용자 추정위치로부터 최적의 로봇 이동목표(Goal)를 설정하기 위해 보로노이 그래프(GVG)의 생성 노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 장애물, 이동경로 정보의 연산을 통해 최종 위치를 추정하였다. 실제 로봇플랫폼의 목적지 이동을 통해 해당 서비스로봇의 위치정밀도를 검증하였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의 용량 정보 수집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설계 (Design of Food Waste Trading E-Commerce Service with IoT-based Capacity Information Collection)

  • 아리아 비스마 와휴타마;황민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2-1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아파트를 비롯한 집단 거주지에서 대량으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축 사육 농가 등 도심 인근 지역 수요자에게 온라인 거래를 통해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서비스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와는 달리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와 통신 모듈이 탑재된 스마트 음식물 쓰레기통을 이용해 각 아파트의 위치 정보와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자동으로 수집한 후 이를 특화된 전자상거래 플랫폼 상에서 시각화된 정보로 제공하여 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스마트 음식물 쓰레기통은 무게 센서와 GPS 센서 그리고 LoRa 통신 모듈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현재 용량을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며, 이렇게 수집된 여러 아파트의 위치 정보와 용량 정보는 웹사이트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운영에 활용이 된다. 제안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는 각 아파트에서 구매자가 있는 인근 지역 농가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배달하는 서비스와 연계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생성형 AI는 인간 관리자를 대체할 수 있는가? 자동 생성된 관리자 응답이 고객에 미치는 영향 (Can Generative AI Replace Human Managers? The Effects of Auto-generated Manager Responses on Customers)

  • 박예은;안현철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4호
    • /
    • pp.153-176
    • /
    • 2023
  • 최근 생성형 AI, 특히 ChatGPT와 같은 대화형 인공지능이 고객 서비스를 자동화하는 기술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고객 서비스 자동화에 있어 현재의 생성형 AI 기술이 기존 인간 관리자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조건이나 환경에 따라 어떤 상황에서는 유리하고 다른 상황에서는 불리한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고객 서비스 활동과 관련하여 생성형 AI가 인간 관리자를 대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음식 배달 플랫폼의 고객 온라인 리뷰에 대한 실험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고객의 온라인 리뷰가 긍정적일 때와 부정적일 때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관점을 적용하여 가설을 도출하고 해당 가설이 지지되는지를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적인 리뷰에 대해서는 생성형 AI가 인간 관리자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부정적인 리뷰에 대해서는 완벽한 대체가 어려워 인간 관리자의 개입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고객 서비스 자동화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실무적인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O2O 배달 앱 플랫폼 서비스에서 공급 업체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Vender's Continuous Use Intention in O2O Delivery App Platform Service)

  • 이재광;최영우;임은주;김유민;안새롬;김민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31
    • /
    • 2021
  • Recently, delivery app services based on the O2O platform are increasing rapidly. Accordingly, various studies on O2O service have been conducted. Most of the studies are on consumer behavior in O2O services, and few studies on platform vendors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vender's intention to continuous use in the O2O delivery app platform service. Based on prior researches, we se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O2O platform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O2O platform consisted of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nd the O2O platform network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network externality and platform reputation. Perceived value and switching cost were set as mediated variables, and vender's intention to continuous use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For empirical analysi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vendors of O2O delivery app platform service,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O2O platform, such a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O2O platform network characteristics, showed that network externality and platform repu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The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witching cost and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e, and the switching cost was found to mediate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latform operation strategy a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of O2O platform vendors to use the platform continuously.

균형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이륜차 보험사기 적발 모형 개발 (Bike Insurance Fraud Detection Model Using Balanced Randomforest Algorithm)

  • 김승훈;이수일;김태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41-250
    • /
    • 2022
  • COVID-19 여파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와 가정 재정 불안정성의 증가로 이륜차 보험사기 발생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보험사기 수법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배달 수요와 연관된 이륜차 교통사고와 보험사기 적발 모형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험사기의 표본 편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균형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보험사기 조사 전문가의 정성적인 판단 기준을 반영한 변수를 모델에 포함하여 적용성을 향상시키며 적발력 높은 이륜차 보험사기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보험사기 적발 모형 개발 결과, 기존의 비균형 랜덤 포레스트 모형에 비해 균형 랜덤 포레스트가 보험 사기혐의자를 분류하는 데 있어 통계적으로 우수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총 26개의 변수를 토대로 탐색적 변수 조합을 적용한 모형의 예측 성능이 가장 높았지만 일부 변수만을 사용한 확인적 모형의 예측 성능도 크게 떨어지지 않은 와중에, 정성적인 보험사기 전문가가 선정한 변수만을 사용한 확인적 모형은 예측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26개의 변수 중 운전자 성별, 연령, 운전자 피보험자 일치 여부, 미수선 청구금액, 대인보험금 등이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어 이를 활용해 이륜차 보험사기 혐의자 선별을 위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