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래시 저장 장치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Journaling Effect for Flash Memory Storage System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 시스템의 저널링 영향 분석)

  • Jang, Bogil;Lim,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6-7
    • /
    • 2012
  •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저장장치로서 널리 사용되는 소자이다.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저널링 기능을 사용할 때, 플래시 메모리의 특징을 고려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저널링 연산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 오버헤드가 될 만한 부분을 찾아본다. 이러한 오버헤드가 될 만한 부분을 찾아서 제거해줌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Flash Memory-Based File Storages: NAND vs. NOR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파일 저장 장치에 대한 성능분석)

  • Sung, Min-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3
    • /
    • pp.710-716
    • /
    • 2008
  • This paper cover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wo flash memory-based file storages, NAND and NOR, which are the major flash types.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s, we set up separate file storages for the two types of flash memories on a PocketPC-based experimental platform. Using the platform,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I/O throughputs in terms of buffer size, amount of used space, and kernel-level write caching.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our experiment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NAND-based storage is higher than that of NOR by up to 4.8 and 5.7 times in write and read throughput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wo schemes and provide insights which we believe assist in the design of flash memory-based file storages.

IO pattern analysis for NAND Flash based storage systems (낸드 플래시 기반 저장 장치의 입출력 패턴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Seo, Bum-Joon;Ko, Kwang-Won;Yoon, Sung-R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248-250
    • /
    • 2012
  • SSD와 같은 낸드 플래시 기반의 저장 장치가 새로운 저장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낸드 플래시 저장 장치의 특성을 살려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출력 패턴을 분석하고 정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수행되어진 낸드 플래시 기반 저장 장치들의 패턴화 및 벤치마킹을 분석하여 각각의 특징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여 향후 낸드 플래시 관련 연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방법의 한계를 지적하여 새로운 낸드 플래시 패턴화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Preemptive Garbage Collection Scheme for the Responsiveness Improvement of NAND Flash Memories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응답시간 향상을 위한 선점방식 가비지 컬렉션 기법)

  • Jung, Sang-Hyuk;Song, 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76-178
    • /
    • 2012
  •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FTL의 페이지 re-mapping 동작으로 인하여 특정 페이지가 무효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으로 소거되지 않은 상태로 낸드 플래시 공간을 점유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플래시 저장장치의 제어기는 플래시 기반 저장장치의 지속적인 쓰기 성능 유지와 저장 용량 확보를 위해 무효 페이지를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유효 페이지를 수집하는 가비지 컬렉션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다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가비지 컬렉션 연산을 수행할 경우, 많은 페이지 복사와 블록 삭제 연산들로 인한 저장장치 지연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낸드 플래시 저장장치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가비지 컬렉션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선점방식 가비지 컬렉션 기법은 블록 맵의 데이터 구조를 간단히 수정하여, 단일 블록을 대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한다. 이 기법의 유효성은 페이지 복사와 블록 삭제 연산을 세부 단위로 분할하여 처리가 가능하므로 가비지 컬렉션이 수행되는 도중에 요청되는 호스트의 요청에 기민하게 응답가능하다는 것이다.

A Recovery Mechanism applying the Shadow-Palling technique to Flash Memory based LFS (플래시 메모리 기반 LFS에 그림자 페이지 기법을 적용한 회복기법)

  • 황의덕;차재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199-201
    • /
    • 2004
  • 모바일 장치에서 많이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는 작고, 저전력을 사용하며 내구성을 지니는 비휘발성 저장장치이다. 플래시 메모리의 읽기 속도는 램과 비슷하며,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지만 쓰기 속도가 램에 비해 느리고, 블록에 대한 쓰기가 제한되어 있다. 현재의 디스크 기반의 DBMS 와는 달리 플래시 메모리용 저장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트랜잭션 실패시의 회복기법이 같은 블록에 다시 쓰기가 불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LFS에 Shadow Paging을 응용하여 플래시 메모리의 블록에 대한 쓰기 횟수를 줄이고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에 맞추어 트랜잭션 실패시 효율적인 데이터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회복기법을 제안한다.

  • PDF

The Effect of Absorbing Hot Write References on FTLs for Flash Storage Supporting High Data Integrity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플래시 저장 장치에서 잦은 쓰기 참조 흡수가 플래시 변환 계층에 미치는 영향)

  • Shim, Myoung-Sub;Doh, In-Hwan;Moon, Young-Je;Lee, Hyo-J.;Choi, Jong-Moo;Lee, Dong-Hee;Noh, Sam-H.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3
    • /
    • pp.336-340
    • /
    • 2010
  • Flash storages are prevalent as portable storage in computing systems. When we consider the detachability of Flash storage devices, data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To assure extreme data integrity, file systems synchronously write all file data to storage accompanying hot write references. In this study, we concentrate on the effect of hot write references on Flash storage, and we consider the effect of absorbing the hot write references via nonvolatile write cache on the performance of the FTL schemes in Flash storage. In 80 doing, we quantify the performance of typical FTL schemes for workloads that contain hot write references through a wide range of experiments on a real system environment. Through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impact of the underlying FTL schemes on the performance of Flash storage is dramatically reduced by absorbing the hot write references via nonvolatile write cache.

The Architecture of the Flash Memory Storage System using Page Delete Information (페이지 삭제정보를 활용하는 플래시 저장장치의 구조)

  • Jung, Ho-Young;Park, Sung-Min;Kang, Soo-Yong;Cha, Jae-Hyu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12
    • /
    • pp.958-962
    • /
    • 2009
  • Flash memory, which replaces hard disk recently, ha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with hard disk. For the performance of flash memory based storage system, many researches over OS and file system layers has been doing.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rchitecture of flash memory based storage which uses information of page invalidation when file deletion occurs from upper layer. Also,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system. Proposed system effectively increases IO performance by using page invalidation information to block merge and wear leveling algorithms.

NAND Flash Memory System Management for Lifetime Extension (낸드 플래시 메모리 시스템의 Lifetime 증대를 위한 관리 방법 설계)

  • Park, Yi-Hyun;Lee, Jae-Bin;Kim, Geon-Myung;Lim,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25
    • /
    • 2019
  •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는 컴퓨터 시스템의 대용량 저장장치를 위한 소자로써, 대용량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메모리 셀(Cell) 당 저장할 수 있는 비트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집적도를 증가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집적도의 증가는 에러의 증가를 가져와서 저장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신뢰성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요인이며, 저장장치의 생명주기(Lifetime)을 감소시키게 된다. 기존에 낸드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의 Lifetime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P/E cycle을 고려하여 데이터 영역의 일부를 점점 더 ECC 영역으로 변경시키는 방식을 적용한 바가 있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 영역의 감소로 인한 저장장치 내에서 관리되는 호스트-플래시 간 데이터 관리 크기의 미스매치로 인한 여러 가지 오버 헤드를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P/E cycle에 따른 데이터 영역의 ECC 영역으로의 전환을 통한 Lifetime을 증가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캐쉬 관리 구조 및 매핑 관리 구조에 대한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설계를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장치에 적용할 경우, LifeTime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ECC를 데이터 영역으로 확장하는 방식을 사용할 때 저하될 수 있는 일반 읽기 및 쓰기의 성능 저하를 어느 정도 감소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M: Asymmetric Buffer Management for Flash Memory based Storage System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를 위한 비대칭적 버퍼 관리기법)

  • Seonbock Lee;Hoyoung Jung;Hyogi Sim;Sungmin Park;Jaehyuk Cha;Sooy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989-991
    • /
    • 2008
  • 최근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가 하드디스크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느린 쓰기 및 지우기 속도가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의 쓰기 및 지우기 동작을 줄일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를 위한 새로운 버퍼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ABM 기법은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에서 약 30%의 성능향상을 보이고 있다.

Design of a File System on NAND Flash Memory (NAND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의 설계)

  • Park Song-hwa;Lee Joo-Kyong;Chung K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781-783
    • /
    • 2005
  • 본 논문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대용량 저장시스템에 적합한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파일 시스템을 제안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이며 기존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도 적으며 내구성이 높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제자리 덮어쓰기 (update-in-place)가 불가능하고 메모리 셀에 대한 초기화 횟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NAND 플래시 메모리는 바이트 단위의 입출력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저장장치로 사용할 경우 기존의 저장 장치 관리 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요구한다. 본 논문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대용량 저장장치를 위한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제시하고, 대용량 파일 지원을 위한 메타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 수정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