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래쉬 콘텐츠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TV용 애니메이션에 적합한 플래쉬 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 구축 (System Construction Of Appropriate Flash Animation Production Technique For Television Series Animations)

  • 임영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00-115
    • /
    • 2008
  • 최근 들어 해외 메이저급 애니메이션 회사들이 TV애니메이션을 플래쉬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국내 애니메이션 업계의 OEM 하청업체들은 뒤늦게 플래쉬 애니메이션의 제작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애니메이션 기술과 플래쉬 활용 기술을 모두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는 인력은 얼마 되지 않는다. 또한 교육기관이나 학원에서도 모바일과 웹에 치중한 플래쉬 교육으로 인하여 전문 TV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고 있다. 분석 결과, 플래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편의성, 타 프로그램과의 호환성, 제작비의 절감효과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TV방영용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에 매우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결론 내린다. 현재 해외에서 제작하는 플래쉬 애니메이션의 제작 파이프라인을 도입, 체계화하여 매뉴얼을 구축하고 실무 제작에 적용시켜 국내 TV용 플래쉬 애니메이션의 질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높은 경쟁력을 가진 애니메이션 제작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미국 할리우드 청년감독 데이미언 샤젤(Damien Chazelle) 연구 - <위플래쉬>(2014), <라라랜드>(2016), <퍼스트맨>(2018)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llywood Youth Film Director Damien Chazelle - Centering on (2014), (2016), (2018))

  • 강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05-118
    • /
    • 2021
  • 이 글의 목적은 미국 할리우드의 청년감독 데이미언 샤젤(Damien Sayre Chazelle)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영화미학적 특징과 사회맥락적 의미를 규명하는데 있다. 샤젤 감독은 지금까지 <위플래쉬(Whiplash)>(2014), <라라랜드(La La Land)>(2016), <퍼스트맨(First Man)>(2018)을 연출하였으며, 미국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청년감독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글에서는 '작가주의' 연구방법론을 도입하여 샤젤 감독의 전체 작품을 심층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샤젤 감독은 '서사구조: 성공신화의 변주', '독창적인 미장센의 반복: 샤젤 월드(Chazelle World)', '자기반영성의 주제: 작가의식'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자기반영적 작가주의 청년감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샤젤 감독은 창의적인 '자기반영적 작가주의 연출'로 할리우드의 관습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으며, 미국 청년세대의 욕망이 담긴 뉴 할리우드 청년영화(New Hollywood Youth Cinema) 시대를 열어가는 청년감독이라는 점에서 영화사적 의의가 있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용 로봇 제작 원격 교육 콘텐츠 (Virtual Lecture Contents for Assembling Educational Robots Using Multimedia)

  • 임동균;윤은영;오원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0-2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자공학 초보자가 교육용 로봇의 제작과정을 온라인상에서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작한 콘텐츠에서는 가상의 실습실을 플래쉬 애니메이션으로 현실감 있게 제작하여 학습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을 가상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로봇 제작 단계 이전에 전자 기초 이론, 부품, 공구등에 대한 학습 과정을 이해하기 쉬운 용어 및 재미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여 초보자를 배려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육용 로봇 개발 콘텐츠는 이론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가상의 실습실을 통해서 현실감 있는 실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봇을 제작하고자하는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한 콘텐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플래쉬를 이용한 디지털 논리회로 교육 콘텐츠 (Virtual Lecture for Digital Logic Circuit Using Flash)

  • 임동균;조태경;오원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80-18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IT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교과목중의 하나인 '디지털 논리회로'를 온라인상에서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교과목의 특성상 '디지털 논리회로'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은 실험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각 단원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실습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또한 강의 내용에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ORCAD의 사용법과 디지털 시계를 제작과정을 넣어 종합적인 응용능력을 배양하도록 하였으며, Falsh를 이용하여 가상 실험실을 제작하여 가상의 회로를 설계하고 동작시켜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제작된 가상실험실은 사실적인 그래픽을 사용하여 현장감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회로도와 동일한 핀 배치를 가지면서도 가상의 브레드 보드에 삽입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자의 모델을 개발하여 학습효과를 높였다.

  • PDF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논리 회로 콘텐츠 (Virtual Lecture Contents for Digital Logic Circuit Using Multimedia)

  • 임동균;오원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9-6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논리 회로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 콘텐츠의 주 교육 대상은 특별한 배경지식이 없는 일반인 또는 대학 저학년이며, 여기에 초점을 맞추어 주제 구성, 난이도, 상호작용의 적절성 등을 기획하였다. 내용면에서는 디지털논리 회로뿐만 아니라, 실제 회로제작에 필수적인 전기와 회로에 대한 기본원리에 대한 내용도 다루었다. 또한 가상의 실험 회로를 플래쉬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학습자가 회로의 구성과 동작 등을 쉽게 이해하고 실제 회로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작한 콘텐츠는 이론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가상의 실습실을 통해서 현실감 있는 실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회로에 입문하고자하는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한 콘텐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캐릭터스티커 기능을 활용한 창의력 증진용 모바일 e-동화 웹앱 구현 (An Implementaion of Mobile e-storytelling Application for Creativity Development using Character Sticker Function)

  • 조희정;안다빈;김명원;박화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17-624
    • /
    • 2012
  • 본 논문은 유아나 아동의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e-동화를 설계 구현하기 위한 연구로서 e-동화, 생각하는 질문, 캐릭터 그림판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특히 캐릭터 스티커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그림을 쉽게 접할 수 있게 기능을 발전시킨 논문이다. 본 웹앱은 플래쉬로 제작된 동화를 보여주고 주어진 생각해보기 질문에 스티커를 변형시키면서 상상력있는 그림그리기로 답변하게 한다. 그림 그리기를 마치면 제목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질문을 통하여 한 번 더 생각하게 하고 생각한 내용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교육용 콘텐츠로서 저장된 그림 목록을 통해 자녀의 생각이 얼마나 변화되고 다양해지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콘텐츠 개발자와 설계자를 위한 보편적 접근성 가이드라인의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Use of Universal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Contents Developers and Designers)

  • 안미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8A권1호
    • /
    • pp.33-3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른 가이드라인의 활용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웹은 연령과 장애에 구애 없이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하듯이 이러닝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또한 사용자 모두에게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국내 이러닝 콘텐츠의 빠른 접근성 개선을 위해서 기술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6개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장애별 사용자의 분석결과와 전문가의 접근성에 대한 설문결과로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별하였다. 국내 Flash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이 특히 시각장애인과 신체 장애인에게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설계자와 개발자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분된 활용이 가능하며, 접근성의 정착화를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협력, 질 관리에 포함, 매뉴얼 개발과 연수, 그리고 기존의 Flash 콘텐츠의 접근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 전통 몬스터 디지털 복원 사례 연구 (Case Study of Digital Restoration of Korean Traditional Monsters)

  • 한광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1-32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오랜 상상력이 담긴 시나리오 소재 개발에 기여할 한국 전통 몬스터의 원형 재현 및 복원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역사서, 설화, 민화 등의 문헌조사와 전문가의 고증을 근거로 하였으며, 한국 전통 몬스터 50건을 디지털 복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 귀, 괴, 인간, 짐승을 포함한 한국 전통 몬스터의 범위를 규정하였다. 둘째, 한국 전통 몬스터의 유형을 위계와 출현 장소에 따라 5급 4부류로 분류하였다. 셋째, 소재 개발에 활용할 전통 몬스터 50종 각각을 디지털 그래픽 이미지와 플래쉬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다. 넷째, 각 몬스터의 스토리를 중심으로 게임,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 산업 소재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결과물이 앞으로 우리 문화전통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자원으로 활용되고, 게임, 캐릭터, 만화, 영화 등의 문화콘텐츠 산업분야의 독창적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E-Learning 제작 시 Flash Video의 효율성 (Flash Video Efficiency in Producing E-learning Contents)

  • 윤영두;최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92-198
    • /
    • 2007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e-learning산업은 급속히 팽창하고 있으며, 이외 함께 제작 기술의 발전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동영상 강의 제작의 큰 비중을 차지하던 Microsoft 사의 WMV(Window Media Video) 형식에서 최근에는 다른 동영상 파일에 비해 용량은 작지만 화질이 매우 우수한 포맷인 FLV(Flash video)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플래쉬 기반으로 이루어진 Flv는 윈도우, 리눅스 이외에도 대부분의 OS 환경과 브라우저에서 구동이 되며, 사용자가 별도의 플레이어 설치나 코덱 설치 과정 없이 재생을 할 수 있어 차세대 표준형, 개방형 플랫폼으로 개발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기존의 WMV 형식과 FLV간의 용량이나 화질의 비교, 제작시간 등에 대한 정확한 비교 분석에 관한 데이터가 나와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제작 방식에 따라 WMV와 FLV간의 데이터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기 특성에 맞는 제작 플랫폼을 설정하는데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