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리즘 처방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회선수직사위의 프리즘 교정 증례 (A Case of Prismatic Correction for Cyclovertical Heterophoria)

  • 유동식;조현국;문병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7-41
    • /
    • 2008
  • 목적: 이 증례의 목적은 흔치 않은 회선수직사위에 대한 프리즘 처방에 관한 것이다. 방법: 처방 프리즘은 사위도, 융합력, 조절기능 검사등과 같은 양안시 평가에서 수직이향운동의 파괴점의 중앙점으로 하였다. 결과: 수직 프리즘의 처방으로 비록 증상이 따르지 않은 수평사위는 변화가 있었으나 눈의 피로, 두통, 복시 등과 같은 증상은 개선 되었다. 그리고 회선사위는 프리즘 교정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 사례의 프리즘 처방은 회선수직사위의 증상 완화에 유용하였다.

  • PDF

수직사위 교정 전·후 시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Prescription of Vertical Prism)

  • 김소라;이기영;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9-235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직사위 처방 후 시간이 경과 후 사위 변화와 각 변수값의 상관관계와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수직프리즘을 처방받은 10~30대 80명을 대상으로 프리즘 처방 시와 1년 후 재방문 시 근거리 수직사위 및 처방에 필요한 예비검사와 양안시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위(p=0.000), 상방개산력(p=0.000), 폭주근점(p=0.003) 조절근점(우안)(p=.005) 조절근점(좌안)(p=0.000]은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수직사위에 대한 수직프리즘 처방량은 재방문 시 감소하였고, 사위, 상방개산력, 폭주근점, 조절근점(우안), 조절근점(좌안)은 프리즘 처방 전과 재방문 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양안조절래그는 수직프리즘 처방량과 양안시검사값 등과 큰 연관성이 없었다.

편심된 안경렌즈의 산각 위치에 따른 비점수차 계산: 편심에 의한 프리즘 처방 (The Astigmatism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Bevel Position of Decentered Spectacle Lens: Prism Prescription Lens by Eccentricity)

  • 김상현;서지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프리즘 처방을 위해 편심된 안경렌즈의 산각위치에 따른 수차와 경사각에 따른 수차를 계산하였다. 프리즘 처방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일반 렌즈를 편심시켜 만든다. 광축과 주시축 사이의 차이는 수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런 경우 산각의 위치가 중요하다. 우리는 계산을 통하여 산각 회전 띠의 축이 (+)렌즈의 전면 곡률 중심을 지나는 것이 후면곡률 중심을 지나는 것보다 비점수차가 적게 발생하였고, 산각 회전 띠의 (-) 렌즈의 후면곡률 중심을 지나는 것이 전면보다 비점수차가 적게 발생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렌즈의 굴절력이 클수록 비점수차가 작았다.

  • PDF

머리 위치에 따른 사위도의 변화 (Head Posture-Induced Phoria Deviation)

  • 하은미;손정식;문병연;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5-160
    • /
    • 2010
  • 목적: 머리 위치에 따른 사위도 변화를 평가하고, 외안근의 불균형과 관련하여 좌 우안의 프리즘 량을 달리할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30세 남자 44명(88안), 여자 16명(32안)을 대상으로 차폐검사, 자각적 굴절검사, 사위검사 및 융합여력검사를 실시하였다. 머리기울임 검사, 얼굴돌림 검사에 따른 사위 변화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본 그래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머리기울임과 얼굴돌림에 따른 사위도 변화는 Morgan 표준의 수평사위 비정상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특히 근거리 Sheard 기준으로 수평사위 처방이 필요한 그룹에서 근거리 수평사위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p<0.05). 수평사위 비정상군의 원거리 Sheard 기준으로 처방이 필요한 그룹과 필요하지 않은 그룹 모두 머리 위치에 따라 사위도 변화는 근거리일 경우 보다는 적었다. 결론: 수평사위 비정상군의 Sheard 기준 처방이 필요한 그룹에서 근거리 머리기울임, 얼굴돌림의 수평사위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근거리 사위에서 프리즘 처방을 해야 할 때 좌 우 외안근의 불균형의 존재를 확인하여 좌 우안에 프리즘량을 달리 처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가입렌즈 도수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CA/C비 비교 (Comparison between Response AC/A and CA/C Ratio according to Additional Spherical Powers and Prism Powers)

  • 노병호;유동식;손정식;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1-347
    • /
    • 2015
  • 목적: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고, 이 두 변수와 PD 및 상대조절력과의 상관관계,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굴절력 및 프리즘 처방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대학생(평균 $22.62{\pm}2.84$세) 62명(남 50명, 여12명)을 대상으로 주시거리 40 cm에서 하웰시표(Howell card)와 개방형굴절력계(Nvision-K 5001, Shin nippon)를 이용하여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를 측정하였고, CA/C비는 Wesson fixation card(WFC Bernell, USA) 이면의 DOG시표와 개방형굴절력계를 사용하여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이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동공간 거리와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25$으로 나타났으며, PD와 CA/C비는 설명변량 $R^2=0.009$으로 나타났다. 상대조절력과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64$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설명변량 $R^2=0.321$로 상대조절력과의 예측가능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와 CA/C비의 설명변량 $R^2=0.126$으로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는 $0.12{\pm}0.06D/{\Delta}$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상관관계는 상대조절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폭주자극에 대한 폭주성 조절반응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므로 독립적인 변수로 임상에서 낮은 AC/A비를 가진 환자라도 높은 CA/C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양안시 이상에서 프리즘을 처방 할 경우 AC/A비가 정상범위라 하더라도 CA/C비는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조절반응량을 고려한 처방이 되어야 한다.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한 수직주시시차 연구 (The Study of Vertical Fixation Disparity by Fixation Disparity Card)

  • 박현주;윤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6
    • /
    • 2010
  • 목적: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하여 수직주시시차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Wesson 주기시차카드를 이용한 주시시차 검사법에 의해 수직주시시차의 분포를 조사하고, 진단과 처방에 응용하는데 있다. 방법: Wesson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하여 52명을 대상으로 수직주시시차를 측정하였다. 주시시차곡선은 추가한 프리즘량과 주시시차량에 대한 함수이며, 주시시차 곡선에서 진단과 처방에 사용되는 값은 x-절편, y-절편, 기울기, 곡선 타입이다. 결과: Wesson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한 두시시차 측정 결과 여러 가지 type의 수직주시시차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수직주시시차 곡선을 진단과 처방에 이용할 수 있다.

프리즘 안정화 디자인 토릭 소프트 콘택트렌즈 피팅에 대한 임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Prism-stabilized Toric Soft Contact Lens Fit)

  • 김수현;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44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프리즘 밸러스트 디자인 원데이 토릭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임상적 성능을 평가하고 안경교정 상태와 시기능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구면 -2.75 D이고 -0.75 DC에서 -2.25 DC 사이의 직난시를 갖는 건강한 대학생 15명(30안)을 대상으로 프리즘 밸러스트 디자인 렌즈를 양안에서 처방하여 2주간 착용시켰다. 대상자들은 토릭렌즈의 임상성능(렌즈 안정 위치, 중심안정, 렌즈 움직임, 타이트한 정도, 렌즈 안정성, 회전 회복, 자각증상)을 평가하고 양안시 검사 값 및 대비감도를 초기 방문과 2주간 적응 후 검사하여 안경교정 상태와 비교였다. 결과, 프리즘 밸러스트 디자인의 토릭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2주간 착용한 후에 렌즈 방향안정, 회전 회복, 자각증상을 평가한 결과, 적응 전보다 향상되었다. 양안시 검사 값과 대비감도가 안경 착용 상태와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프리즘 밸러스트 디자인의 토릭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임상적 기능이 증진하였다. 양안시 검사값과 대비감도가 안경교정 상태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토릭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안경교정 자와 유사한 시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를 이용한 양안시 분석 (Analysis of Binocular Vision by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 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3-59
    • /
    • 2007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시시차 측정 장치는 Wesson 주시시차 카드이다. 주시시차곡선은 추가한 프리즘량과 주시시차량에 대한 함수이며, 주시시차 곡선에서 진단과 처방에 사용되는 값은 x-절편, y-절편, 기울기, 곡선 타입이다. Wesson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하여 102명을 대상으로 주시시차를 측정하였는데, 이 연구의 목적은 Wesson 주시시차카드를 이용한 주시시차 검사법에 의해 주시시차의 방향과 분포 등을 알아보고, 진단과 처방에 응용하는데 있다. Wesson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한 주시시차 측정 결과 type I은 63.0%, type II는 0.0%, type III는 25.0% type IV는 12.0%를 얻었다.

  • PDF

수평 프리즘렌즈와 구면렌즈 착용 후 렌즈적응에 의한 사위도의 변화 (Phoria Changes Caused by Lens Adaptation after Wearing of Horizontal Prism Lens and Spherical Lens)

  • 이민재;김상엽;위성현;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59
    • /
    • 2016
  • 목적: 수평 프리즘렌즈 및 구면렌즈를 착용한 후 렌즈적응검사를 통해 개인별 근거리 사위감소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2.43{\pm}2.07$세의 103명(남자 63명, 여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을 하고, 내사위군, 정위군, 외사위군으로 분류하였다. 프리즘 및 구면렌즈의 적응검사는 내사위군에서 $OU\;2\;{\Delta}\;BO$과 S+1.00 D를, 정위군과 외사위군에는 $OU\;2\;{\Delta}\;BI$과 S-1.00 D를 각각 사용하여, 렌즈 착용 직후, 15분 후, 그리고 30분 후에 실시하였다. 각각 측정된 사위도를 완전교정상태에서 측정된 사위도와 비교하여 두 렌즈에 대한 사위변화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프리즘렌즈에 의한 평균사위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구면렌즈에 의한 평균사위도는 정위군과 외사위군에서 외사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내사위 군에서는 사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프리즘렌즈 착용에 의한 사위감소량을 90~100%, 0~10%, 그리고 50% 이상인 경우로 분류하여 개인별 분포로 분석한 결과, 렌즈 가입 30분 후에서 각각 5명, 64명, 24명으로 나타났다. 구면렌즈 착용에 의한 사위감소량을 90~100%, 0~10%, 그리고 50% 이상인 경우로 분류하여 개인별 분포로 분석한 결과, 렌즈 가입 30분 후에서 각각 37명, 53명, 41명으로 나타났다. 프리즘렌즈와 구면렌즈 모두에서 사위도의 변화가 없는 대상자는 37.9%로 나타났다. 결론: 근거리 수평사위를 교정할 목적으로 프리즘렌즈와 구면렌즈를 처방하고자 할 때 반드시 착용 후 발생할 수 있는 렌즈적응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건성안 검사 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idence of Dry Eye Diagnosis Methods)

  • 이병준;홍재현;정다이;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처방시 필요한 건성안 진단 방법들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20대 40명을 대상으로 NIBUT(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 및 TBUT(trear film break-up time) 검사를 시행하여 정상안과 건성안으로 구별하였다. McMonnies 설문, 누액 프리즘 높이 측정, 건빵 검사, 순목 횟수 측정, 쉬르머 검사의 결과를 NIBUT 검사 및 TBUT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NIBUT와 TBUT를 측정하였을 때 두 방법 모두에서 정상안으로 판정된 피검자는 20명, 건성안으로 판정된 피검자는 10명이었으며, 실험대상자 중 10명은 두 방법에서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McMonnies 설문 조사시 정상안군은 평균 8.2점, 건성안군은 평균 18.5점으로 두군 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또한, NIBUT 및 TBUT 측정 결과로 정상안으로 분류된 피검자 중 100%가 McMonnies 설문조사시 정상안으로, 건성안으로 분류된 피검자의 90%가 건성안으로 판정되었다. 누액 프리즘 높이는 정상안군은 평균 0.32 mm, 건성안군은 평균 0.23 mm이었으며, 정상안과 건성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빵 검사, 순목 횟수 측정 및 국소마취제를 사용하지 않은 쉬르머 검사에서 정상안군과 건성안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결론: 건성안 검사에 있어서 McMonnies 설문과 누액 프리즘 높이 측정 결과가 NIBUT 및 TBUT 검사 결과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