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펠러샤프트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프로펠러샤프트용 Cross Groove형 등속조인트 케이지 강도해석 (Strength Analysis of Cross Groove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Cage for Propeller Shaft)

  • 오병기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74-79
    • /
    • 2008
  • The fracture strength of cross groove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fracture strength of the cage having window-like pockets for retaining the torque transmitting balls. A stress distribution acting on the cage is influenced by rigidities of the rim portion and of the column members, therefore requires a calculation such as FEA. To analyze fracture strength of cage, a 3-D elasto-p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and a submodeling technique are used to achieve both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accuracy. The results are in reasonably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

소형선박용 프로펠러 및 샤프트 이물질 제거를 위한 수중절단기 기구 설계 및 제어기 개발 (Development of an Underwater Rope-cutter Device and Controller for Removal of Propeller and Shaft Foreign Material for Small Vessel)

  • 이헌석;오진석;최순홍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927-935
    • /
    • 2019
  • 연안 해역에서 소형 선박의 프로펠러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상부유물(폐그물 및 로프 등)에 의하여 선박 프로펠러가 감기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선박 프로펠러 감김 사고는 동력 상실로 인한 선박의 운항 지연 및 표류로 인한 1차 사고와 프로펠러에 감긴 로프을 제거하기 위한 잠수 작업등으로 인한 2차 사고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빈번한 프로펠러 감김 사고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해결할만한 적절한 도구가 없어 선박을 육상으로 인양하여 수리하거나, 잠수부가 직접 선박 아래로 잠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선박 프로펠러 감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프로펠러 샤프트에 로프절단장치를 일부 소형선박에 장착하고 있으나 비교적 높은 설치비용 및 시간이 으로 인하여 원활하게 적용되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톱 원리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를 가진 수중절단기 기구 설계 및 제어기 개발을 수행하였다. 수중절단기의 톱날은 직선왕복동작을 위해 유성기어와 크랭크핀을 사용함으로써 긴 행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중절단기는 소형 선박에 비치되어있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역전류 방지 및 속도제어회로를 적용하여 편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스플라인의 공차가 프로펠러 샤프트의 처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ap of Spline on the Deflection of Propeller Shaft)

  • 한동섭;이성욱;김용;한근조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172-174
    • /
    • 2007
  • A propeller shaft is the device which is used to transmit the power between two shafts in a vehicles, an industrial machinery, etc. The end of spline is worm due to the deflection of the propeller shaft, and a lifetime of it is reduced, because it for industrial machinery has the length of 2,500 mm, the weight of $300\;kg_{f},$ and the sliding distance of $\pm250\;mm.$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gap of spline on the deflection of a propeller shaft carrying out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per gap of spline to minimize the deflection of it. We adopt 10-kinds of gap of spline from 0.05 mm to 0.5 mm at interval of 0.05 mm as the design parameter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centrifugal force as the load condition.

  • PDF

연료 감소율 검증을 위한 중소형 선박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ing and Simul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Ships for Fuel Reduction Rate Verification)

  • 김성동;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14-921
    • /
    • 2022
  • 국제해사기구는 친환경규제로 2008년 대비 2050년까지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70%,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선주 및 조선소에서는 이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 LNG추진, 암모니아추진, 전기추진, CO2포집, 샤프트 제너레이터 등 다양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중 샤프트 제너레이터는 개조공사를 통해 기존선에 바로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선에 샤프트 제너레이터를 적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총 연료 감소율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형선의 크기를 정의하고, 조속기, 디젤엔진, 프로펠러, 토크 스위치, 샤프트 제너레이터용 발전기와 추진전동기, 선박모델 등에 대해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하였다.

항공기용 원동기의 연구개발 동향

  • 임달연
    • 기계저널
    • /
    • 제29권6호
    • /
    • pp.594-600
    • /
    • 1989
  • 항공기용 원동기는 항공기를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장치이다. 항공기가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대량의 공기를 뒤로 가속시켜 그 반작용을 이용하는 방법과, 단순히 배기 가스를 뒤로 고속분사시켜 그 반작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피스톤 엔진은 전자를, 터보 제트 엔진은 후자를 대표하고 있는데 두 가지 방법을 절충하여 터빈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터보 프롭엔진과, 헬리콥터의 로우터를 회전시키는 터보 샤프트 엔진도 있다. 또 터보 제트 엔진과 터보 프롭 엔진의 증간성능을 꾀한 터보 팬 엔진이 있는데 효율이 아주 좋기 때문에 급속히 발 전되어 항공기용 원동기의 대명사격으로 현재 군용이나 민간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 근에는 터보팬 엔진과 터보 프롭 엔진을 절충한 새로운 터보 프롭 APT (advanced turbo prop) 엔진의 실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종류의 엔진 이외에도 항공기용 원동기에는 극히 제한된 용도에 쓰이는 램 제트와 펄스 제트 엔진 그리고 로켓 엔진 등이 있다. 원동기는 그 용 도에 따라 개발, 활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오랜 역사를 지닌 피스톤 엔진은 아직까지도 경항공 기용 원동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고, 앞으로도 터보 프롭 엔진과 더불어 나름대로 계속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고토크 복합재 프로펠러 샤프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 Torque Composite Propeller Shaft)

  • 박지상;황경정;김태욱;윤형석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26
    • /
    • 2002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place the current forward 2-piece propeller shaft of 8 ton large truck made of steel with 1-piece composite propeller shaft. A low cost Glass/Epoxy composite propeller shaft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which satisfy requirements such as the capacity of static torque transfer, fatigue strength and bending natural frequency. Devising secure joining method of a composite tube and metal yoke was the most critical issue in successful development of a high torque composite propeller shaft. In this study, joining method using thermal interference fit was adopted for composite to metal joint. Optimum conditions of heating temperature and interference level of thermal interference fit were determined from thermal stress analysis using 3D finite element method. Static torsion test, fatigue test, RPM and balance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esign.

  • PDF

후륜 구동 차량의 급가속 시 구동계 진동 저감 (Driveline Vibration Reduction of FR(front engine rear wheel drive) Vehicle at Rapid Acceleration)

  • 김용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8호
    • /
    • pp.592-599
    • /
    • 2014
  • A torsional vibration at driveline happens seriously at rapid vehicle acceleration. The torsional vibration at driveline can be reduced by optimization of joint angle and yoke phase angle of driveline. But, the joint angle of driveline is changed according to vehicle driving condition as acceleration, deceleration,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so that excessiv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vehicle body at specific driving condition. Especially under rapid acceleration condition, vibration transmitted to body could be maximized because excitation force at rapid acceleration is bigger than that at normal driving condition due to changed joint angle. The torsional vibration of driveline can be kept at low level by controlling suspension parameter to minimize rigid axle displacement as well as optimizing joint angles considering the vehicle acceleration condition.

새유달호 축기전력의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Shaft Electromotive Force in SAEYUDAL)

  • 안병원;임명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28-31
    • /
    • 2015
  • 전기기기나 엔진의 축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축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런 축과 베어링이 윤활유로 절연되어 있어 콘덴서를 이루고 있고, 콘덴서와 같은 역할로 기전력을 축적하고 있다. 이 축 기전력은 선체에 비해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전압을 갖고 있다. 이 +전압이 축의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부식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이 부식을 막기 위해 선박에서는 샤프트 그라운드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 축기전력을 측정은 프로펠러 축의 전압과 메인엔진의 회전수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측정장치는 내셔널인스트루먼트사의 24비트 A/D컨버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프로그램은 Lab View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축에 발생되는 기전력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하였다. 결과로 축기전력은 메인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비례하다가 일정회전수를 넘어가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후진보다는 전진이 축기전력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기전력에 비하면 지구자기의 기전력은 미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