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파일 감소

Search Result 20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ovisioning Scheme of Large Volume File for Efficient Job Execution in Grid Environment (그리드 환경에서 효율적인 작업 처리를 위한 대용량 파일 프로비저닝 방안)

  • Kim, Eun-Sung;Yeom, Beon-Y.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8
    • /
    • pp.525-533
    • /
    • 2009
  • Staging technique is used to provide files for a job in the Grid. If a staged file has large volume, the start time of the job is delayed and the throughput of job in the Grid may decrease. Therefore, removal of staging overhead helps the Grid operate more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present two methods for efficient file provisioning to clear the overhead. First, we propose RA-RFT, which extends RFT of Globus Toolkit and enables it to utilize RLS with replica information. RA-RFT can reduce file transfer time by doing partial transfer for each replica in parallel. Second, we suggest Remote Link that uses remote I/O instead of file transfer. Remote link is able to save storage of computational nodes and enables fast file provisioning via prefetching. Through various experiments, we argue that our two methods have an advantage over existing staging techniques.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표면 조직화 형상이 효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 Byeon, Seong-Gyun;Kim, Jun-Hui;Park, Ju-Eok;Jo, Hae-Seong;Kim, Min-Yeong;Im, Dong-G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15.1-315.1
    • /
    • 2013
  • 표면 조직화의 목적은 태양전지 표면에서의 입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감소 시키고, 웨이퍼 내에서 빛의 통과 길이를 길게 하며, 흡수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습식, 건식 표면조직화 방법에 따른 표면 형상과 표면 반사도를 분석 하였으며, 셀을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표면 조직화 공정은 염기성 용액인 KOH를 이용한 식각 방법과 Ag를 이용한 metal-assisted 식각, 산증기를 이용한 식각,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응성 이온식각을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표면 반사율을 400~1000 nm 사이의 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KOH를 이용하여 식각한 샘플이 9.11%의 표면 반사율을 가졌으며 KOH를 이용하여 식각한 표면에 추가로 metal-assisted 식각을 한 샘플이 2%로 가장 낮은 표면 반사율을 보였다. 표면 조직화 후 동일 조건으로 셀을 제작 하여 효율 측정 결과 Ag를 이용한 2단계 metal-assisted chemical 식각이 15.83%의 가장 낮은 광변환 효율을 보였으며 RIE를 이용한 2단계 반응성 이온 식각공정이 17.78%로 가장 높은 광변환 효율을 보였다. 이 결과는 반사도 결과와 일치 하지 않았다. 표면 조직화 모양에 따른 셀 효율의 변화는 도핑 프로파일과 표면 재결합 속도의 변화 때문이라 생각되며 더 명확한 분석을 위해 양자 효율을 측정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측정 결과 단파장 대역에서 낮은 응답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낮은 반사도를 가지는 표면조직화 공정의 경우 나노사이즈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균일한 도핑 프로파일을 얻지 못해 전자 정공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표면 재결합 속도증가의 원인으로 단락전류와 개방전압이 낮아져 효율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결과 도핑 프로파일의 균일성은 셀 효율 개선을 위해 낮은 표면 반사율 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알게되었다. 낮은 반사율을 갖는 표면조직화 공정도 중요하지만 표면에 따른 균일한 도핑 프로파일을 갖는 공정을 개발한다면 단파장 응답도가 향상되어 단락전류밀도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 Dual Integer Register File Structure for Temperature - Aware Microprocessors (온도 인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위한 듀얼 레지스터 파일 구조)

  • Choi, Jin-Hang;Kong, Joon-Ho;Chung, Eui-Young;Chung, Sung-Woo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5 no.12
    • /
    • pp.540-551
    • /
    • 2008
  • Today's microprocessor designs are not free from temperature as well as power consumption. As processor technology scales down, an on-chip circuitry increases power density, which incurs excessive temperature (hotspot) problem. To tackle thermal problems cost-effectively, Dynamic Thermal Management (DTM) has been suggested: DTM techniques have benefits of thermal reliability and cooling cost. However, they require trade-off between thermal control and performance loss. This paper proposes a dual integer register file structure to minimiz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DTM invocations. In on-chip thermal control,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unit is an integer register file. It is the hotspot unit because of frequent read and write data accesses. The proposed dual integer register file migrates read data accesses by adding an extra register file, thus reduces per-unit dynamic power dissipation. As a result, the proposed structure completely eliminates localized hotspots in the integer register file, resulting in much less performance degradation by average 13.35% (maximum 18%)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TM architecture.

Reducing Call Setup Delay Using Connection history of the User in P2PSIP (사용자 접속 히스토리를 이용한 P2PSIP에서의 호 설정 지연 감소 방안)

  • UiTaek Lee;JooSeok 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363-1366
    • /
    • 2008
  • 최근 Skype의 인기와 더불어 P2P기반의 VoI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표준 콜 셋업 프로토콜인 SIP와 동등 계층 간 통신망 구성의 P2P 기술을 결합하여 분산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P2P에서는 중앙 엔티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신속한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문제로 다루고 있다. P2PSIP에서는 파일공유 목적의 P2P 서비스와는 다르게 특정 사용자의 각종정보(위치, 프로파일 등)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야한다. 분산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주로 DHT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매번 새로운 접속마다 사용자의 위치를 다시 찾아야 하기 때문에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증가시킨다. 또한,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검색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HT로 찾아낸 사용자의 접속패턴 히스토리 정보를 캐쉬로 저장하여 호 설정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Program Execution Speed Improvement using Executable Compression Method on Embedded Systems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 압축 기법을 이용한 프로그램 초기 실행 속도 향상)

  • Jeon, Chang-Kyu;Lew, Kyeung-Seek;Kim, Yong-Dea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9 no.1
    • /
    • pp.23-28
    • /
    • 2012
  •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secondary storage is very slow compared to the main memory and processor. The data is loaded from secondary storage to memory for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t this time, there is a bottleneck.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ecutable Compression Method to speed up the initial loading time of application. and we examined the performance. So we implemented the two applications. The one is a compressor for Execution Binary File. and The other is a decoder of Executable Compressed application file on the Embedded System. Using the test binary files, we performed the speed test in the six files. At the result, one result showed that the performance was decreased. but others had a increased performance. the average increasing rate was almost 29% at the initial loading time. The level of compression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file. And the performance level was dependent on the file compressed size and uncompress time. so the optimized compression algorithm will be needed to apply the execution binary file.

The Accuracy Estimation of Profile Generation for Planning using 3D Topographical Model (3차원 지형모델을 이용한 설계용 프로파일 생성 정확도 평가)

  • Um, dae-yong;Lee, eun-soo;Kim,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92-896
    • /
    • 2008
  • In construction work's process of a basic planning, we must carry out a topographical for construction reserved land and to the basis of this, production of profile is Indispensable factor for the purpose of every construction work such as road, rail way, canal and etc. From this research, the production of profile about construction reserved land, using topography information of numerical value topographical map produced by NGIS construction project, construct precision 3D topography model and from this, propose plans for utilizing by producing automatic profile. With the aim of this, abstract every layers of main facilities and altitude from numerical value topographical map and while producing 3D topography model by using this, we produce and product automatic profile from construct precision 3D topography. And about the produced profile's process, a topographical by mutu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whether the automatic produced profile's accuracy could be accepted at actual estimation and permissible accuracy.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uld be suggested as a new formation techniques concept which can reduce the designing time and expense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planning in the basic design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 PDF

An Efficient Architecture Exploration for Embedded Core Design Exploiting Design Hierarchy (임베디드 코어 설계를 위해 설계 계층을 이용한 효율적인 아키텍처 탐색)

  • Kim, Sang-Woo;Hwang, Sun-Yo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12B
    • /
    • pp.1758-1765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n architecture exploration methodology for the design of embedded cores exploiting design hierarchy.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systematic architecture exploration by taking different approaches for verifying designs and estimating performances depending on the hierarchy level in design process. Performance estimation tools generate profile having performance data related with design modules of an embedded core. Profile analyzer performs data-mining to acquire association rules between the design modules and performance parameters. Inference engine in the profile analyzer updates the association rules which will be used to improve the design performance at next exploration steps. To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explorations methodology, experiments had been performed for JPEG encoder, Chen-DCT, and FFT application functions. The embedded cores designed by taking the proposed method show performance improvement by 60.8% in terms of clock cycles on the average when compared with the initial embedded core in MIPS R3000.

Efficient Block Mode Decision and Prediction Mode Selection for Fast Intra Prediction in H.264/AVC High Profile (H.264/AVC 하이 프로파일의 고속 화면 내 예측을 위한 효율적인 블록 모드 결정과 예측 모드 선택)

  • Kim, Tae-Ho;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574-577
    • /
    • 2011
  • H.264/AVC는 휘도 신호 $4{\times}4$ 블록을 위하여 9개의 화면 내 예측모드를 사용한다. 예측 모드는 8개의 방향성을 가진 모드와 하나의 비방향성 DC 모드가 있다. 휘도 신호 $16{\times}16$ 블록에서는 4가지의 예측 모드가 있으며 색차 신호 $8{\times}8$ 에서도 4개의 예측모드를 사용한다. 이러한 예측 모드들 중 최적의 예측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부호화기는 선택 가능한 모든 예측 모드의 율-왜곡 비용을 계산한 후, 최적의 율-왜곡 비용을 가진 예측 모드를 사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H.264/AVC의 화면 내 예측 과정은 많은 계산 복잡도를 가진다. 특히 하이 프로파일에서는 휘도 신호 $8{\times}8$ 블록이 화면 내 예측을 위해서 고려되므로 더욱 많은 계산 복잡도를 요구한다. 이에 본 논문은 H.264/AVC 하이 프로파일의 화면 내 예측의 부호화 계산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매크로 블록의 분산을 계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율-왜곡 최적화에 후보로 사용되어지는 블록 모드를 결정하고, 각 블록 모드에서 제공하는 예측 모드들을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연구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 H.264/AVC 참조 소프트웨어인 JM13.1 부호화 시간 대비 약 83%의 연산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Residual Signal Transform for Digital Cinema Sequences Lossless Coding (디지털 시네마 영상 무손실 부호화를 위한 전차신호 변환)

  • Han, Ki-Hun;Lee, Yung-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73-76
    • /
    • 2006
  • H.264는 MPEG-2, MPEG-4 Part 2, H.263 등 기존의 비디오 압축 표준들에 비해 우수한 화질과 부호화 효율을 제공하여 차세대 비디오 압축 표준으로서 널리 사용될 전망이다. 현재 H.264표준화 그룹인 JVT에서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위한 Advanced 4:4:4 프로파일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이 프로파일은 기존의 프로파일과 달리 화소당 8-12비트의 영상을 지원하며, YUV 영상대신 RGB 영상을 입력영상으로 사용한다. 디지털 시네마 영상은 보통 HD급 이상의 화면 크기를 가지며 초당 24Hz의 프레임율을 가진다. 이러한 영상에서는 화소간의 공간적 유사성이 매우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30Hz 영상에 비해 시간적 유사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H.264로 디지털 시네마 영상 압축 시, 공간 예측을 통한 Intra 매크로블록의 비율이 다른 테스트 영상들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 압축 시, 화면간 예측을 수행하는 ME/MC에 비해 공간 예측이 효율적이다는 것을 입증한다. 화면간 예측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ME/MC 후 생성된 잔차 신호들을 간단히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간단한 변환 기술이 추가되어 화면간 예측의 압축 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Inter 프레임에서 화면간 예측과 공간예측을 모두 사용하였을 때 전체적인 압축성능이 향상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IHE XDS.b and IHE MHD messages for registering HL7 CDA documents (HL7 CDA 문서 등록을 위한 IHE XDS.b 와 IHE MHD의 메시지 비교)

  • Park, Dongwook;Do, Hyoungho;In, Jungmin;Lee, S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796-798
    • /
    • 2012
  • IHE(Integrating the Healthcare Enterprise)에서는 환자의 전자진료기록 공유를 위하여 XDS.b(Cross-Enterprise Document Sharing.b) 프로파일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XDS.b 프로파일의 Document Source와 Document Consumer는 모바일 환경에서는 사용하기에는 부적당하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 XDS.b infrastructure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MHD(Mobile access to Health Documents) 프로파일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진료기록 표준인 HL7 CDA 문서 등록을 위한 XDS.b Document Source의 Provide and Register Document Set-b[ITI-41] 트랜잭션과 MHD Document Source의 Put Document Dossier[ITI-65] 트랜잭션을 모바일 환경에서 구현하고 메시지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구현된 결과를 통하여 MHD ITI-65 트랜잭션의 메시지 크기가 XDS.b ITI-41 트랜잭션 메시지 보다 80%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