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Search Result 6,12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n the Role of PMO for SI Projects Success (SI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PMO의 역할에 대한 연구)

  • 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66-469
    • /
    • 2017
  • SI 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장기화 되면서 투입 인력과 구축 비용의 단위가 점점 커짐에 따라서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위험요소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과 평가로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각종 위험 및 역기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의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고, 성공적인 완료를 위하여 지원, 감독, 통제 등의 제반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PMO의 도입은 사업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데, 특히 과거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거나, 프로젝트 팀에게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SI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 프로젝트 내에서 PMO의 역할에 대해서 분석 및 연구하였다.

The Effects of Project New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Management Styles and Performance (프로젝트의 신규성 정도가 프로젝트 관리방식과 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Park, O-Wwon;Cha, Jong-Seok;Kim, Sun-W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421-442
    • /
    • 2012
  • Many studies have been publish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management styles and project performance. In recent researches, it is argued that project management styles should be different based on project characteristics and these project characteristics may have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management styles and project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covering these issu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project characteristics (i.e., degree of new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management styles (i.e., team autonomy,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individualism orientation) and project performance. The empirical results using 78 government sponsored R&D projects showed that team autonomy has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as project newness becomes higher. In addition, as project newness becomes higher, internal communication showed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while external communication had a stronger negative effect.

  • PDF

The maturity model based mutual influence between software project management domains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영역간의 상호영향을 고려한 성숙도 모델)

  • Jeon, Sun-Cheon;Hong, Sa-Ne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50-858
    • /
    • 2008
  • 최근 공공기관 및 금융권에서는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통합으로 프로젝트 규모가 대형화되고 또한, 프로젝트 수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프로젝트 관리 영역간의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선행 연구를 통하여 프로젝트 관리에 중요한 영역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범위, 일정, 품질, 인력, 위험"의 각 영역들간의 상호 미치는 영향도의 분석과 각 영역의 진행 상태를 "계획, 실행, 완료" 단계로 구분하여 수행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영향도와 수행도의 결과를 종합하여 프로젝트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IT 분야의 전문가 그룹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 영역들간의 영향 분석이 실증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또한 각 영역의 진행상태를 측정 함으로써 실무적인 측면에서 더욱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프로젝트 관리와 감리 수행 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on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and Project Performance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이 참여자 개인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Seol-Bin;Boo, Jeman;Kim, Seung-Chul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5
    • /
    • pp.175-188
    • /
    • 2016
  •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on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and projec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a sample of 276 researchers who are working on a project with a research and development group in private R&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project manag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participants. Second,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project manag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Third,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project manag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Fourth,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Fifth, the individual competency of project participa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Sixth,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Seventh, the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was indirec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competency on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Eighth,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was indirec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project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on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findings stated above, a combination of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can generate better results in the effect of project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on project completion performance.

  • PDF

A Review of Project Selection and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프로젝트 선정 및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한 고찰)

  • Kim, Min-Cheol;Ha, Tai-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6 no.3
    • /
    • pp.85-91
    • /
    • 2008
  • 본 연구는 프로젝트 선정 및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한 고찰이다. 첫 번째 부분은 프로젝트 선정에 관한 세 가지 방법 (AHP, 경제학적 방법, Microsoft's Enterprise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장 단점에 대한 간단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에 관한 기법 등을 소개하였고, 6개의 질문을 통해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조직화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Determinants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Project: Focused on Outsourcing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SI 프로젝트 참여인력 만족도 중심으로)

  • Lee, Joo-Ryang;Suh, Kil-So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8 no.1
    • /
    • pp.203-222
    • /
    • 2006
  • The chronic problems of Information System Outsourcing Development Project include frequent changes in the participants and their roles, and the evasion of project participation, which exert unfavorable influence to the outcome of the project. Such problems are due, in large part, to the low level of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the projec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the project development. This research identifies six potential factors such as project commitment, workload, control,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inter-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 based on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and empirically examines their efficacy in explaining the level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the IS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data from 390 participants in 66 proje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x factors are strong determinants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system development project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project participants overall are largely influenced by project commitment and control, communication, project methodology. Especially, the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from the vendor decreased largely by unrealistic project commitment, frequent changes in project planning and unreasonable control rather than by a significant amount of workload. In conclusion, there need to be a rational approach and solution based on the six factors presented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increase participation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 participants and ultimately enhance project outcome.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범위관리 활동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프로젝트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점에서

  • Im, Gyu-Geon;Park, Bong-G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45-350
    • /
    • 2007
  • 여러 연구에서 정부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핵심 성공 요인을 밝혀내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요인들로 의사소통, 참여자의 자질, 표준화 등의 여러 요인들이 고찰되어 왔으나, 실제 프로젝트 현장에서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그 수행의 근본이 되는 범위를 관리하고 통제하는데 실패하여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범위 관리가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정의하고 있는 프로젝트 수행 중의 범위관리 활동들이 실제 프로젝트의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점에서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중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 영향의 정도와 범위관리의 각 활동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공급자와 수요자의 관점에서의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범위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Owner's Project Performance through Scope Management in the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Project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범위관리 활동이 발주자의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im, Gyu-Gun;Lee, Chang-Ho;Kim, Jeong-L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375-3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발주자 입장에서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정의하고 있는 프로젝트 범위관리 활동을 범위의 기획 및 정의, 범위의 검증, 범위의 통제 3가지로 구분하고, 프로젝트의 성과를 프로젝트 과정에 대한 성과와 제품에 대한 성과 2가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범위관리 활동들이 각각의 프로젝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와 동시에 프로젝트의 규모, 공급자 유형, 경험여부와 같은 프로젝트 특성이 범위관리 활동과 프로젝트 성과 사이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발주자 입장에서 범위관리 각각의 활동이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연구를 함으로서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발주자들로 하여금 프로젝트에 있어 범위관리의 각각의 활동들에 대한 중요도를 인식시켜 프로젝트 범위관리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고취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for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success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 Lee, So-Hyeong;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031-1034
    • /
    • 2015
  • 프로젝트에서 리스크 관리란 프로젝트 진행 시 발생가능성이 있고, 프로젝트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력을 가진 이슈를 미리 발굴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법이다. 이런 점에서 리스크 관리는 프로젝트 목적 달성 즉 성공을 위한 수단이며, 예기치 못한 사건에 대한 사후대책 보다는 사전대책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리스크 관리에 대하여 건설, 금융, 국방, 공공 분야의 프로젝트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고 현장에서도 활용하고 있으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아직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현장에서의 활용도 저조하다. 반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비용절감, 일정 단축, 품질 향상, 신기술 적용등)은 점점 복잡해지고, 정교해지고 있어 제한된 리소스로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 프로젝트 팀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부담감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관리를 수행한 프로젝트와 그렇지 않은 프로젝트의 사례를 비교하여 리스크 관리가 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Study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oject Management for the Success of Small-Scale Software Projects (소규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 주요 특성에 관한 연구)

  • Han, SeungJi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937-940
    • /
    • 2013
  • 현대 S/W 프로젝트에서의 규모와 복잡성이 증대됨에 따라 표준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도입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으나, 운영성 프로젝트와 같은 소규모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인 ISO-21500 과 실제 소규모 프로젝트 수행사례를 비교하여 소규모 프로젝트 관리 특성을 파악하고, Core 관리영역과 Support 프로세스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소규모 프로젝트의 통합, 범위, 일정 관리 영역 항목에서 품질 및 리스크와 같은 다른 관리 영역에 비해 더 많은 비중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소규모 프로젝트 수행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정의하여 소규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더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