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이트·라캉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들뢰즈, 가타리의 분열분석에서억압과 무의식의 문제 (The Problem of the Repression and the Unconscious in Delueze and Guattari's schizo-analysis)

  • 연효숙
    • 철학연구
    • /
    • 제121호
    • /
    • pp.93-121
    • /
    • 2018
  • 들뢰즈, 가타리는 "안티-오이디푸스"에서 프로이트, 라캉의 욕망론을 결핍으로서의 욕망인 관념론적 환상이라고 비판하면서 유물론적 욕망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들은 프로이트, 라캉이 욕망을 오이디푸스 가족 모델에 가두고, 욕망의 리비도의 흐름을 차단했다고 비판한다. 이 글은 욕망에 대한 정신분석 계열과 분열분석 계열의 해석이 상이한 이유를 이들의 주요 개념 가운데, '억압'과 '무의식'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찾는다. 그에 따라 우선 프로이트, 라캉의 억압의 양상을 살피고, 이들이 보지 못한 '심리적 억압'과 '사회적 억압'의 구별의 유의미를 들뢰즈, 가타리의 해석에 따라 추적한다. 그 다음, 프로이트, 라캉은 무의식을 정신 활동의 방어 기제에 의해 축출된 영역이나, 언어처럼 구조화된 무의식의 차원으로 이해한다. 이에 반해 들뢰즈, 가타리는 이들의 무의식에 대한 해석과 전혀 다르게 접근한다. 이 글은 이들의 무의식에 대한 다양하고도 새로운 해석 가운데, 특히 고아인 무의식, 생산적 무의식, 분자적 무의식을 집중해서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무의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따라 욕망과 억압의 문제도 전혀 다르게 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들의 분열분석이 과연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실천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텍스트의 은유적 구조 (The Metaphorical Structure of the Text)

  • 박찬부
    • 영어영문학
    • /
    • 제57권5호
    • /
    • pp.871-887
    • /
    • 2011
  • In Lacanian terms, the real, which is a non-representative Ding an sich, is indirectly approachable only in and through language. This 'speaking of the real' is made possible through a restoration of the missing link between one signifier, S1 and another signifier, S2, as is manifested in the Lacanian formula of metaphor. In Freudian terms of textual metaphor, the missing link is restored by substituting a new edition for an old edition of one's historical text of life. This is what this essay means by the metaphorical/dualistic structure of the analytic/literary text. And this is a way of talking about an intertextuality between 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in the sense of the 'text as psyche' and the 'psyche as text.' Applying the 'signifying substitution' to the Oedipus complex, the Oedipal child can find a meaning(s), "my erotic indulgement with my Mom is wrong" by metaphorically substituting S2: the Name of the Father for S1: the Desire of the Mother. This meaning leads to the constitution of the human subject and the formation of the incest taboo,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istinctive features of the human being as distinguished from the animals. We can see a similar metaphorical structure of S1-S2 taking place in the literary texts such as Macbeth and "Dover Beach": in the course of the stage of life being substituted for the primal scene in the former, and the plain of Tucydides for a bed scene in the latter, respectively.

영화의 시각효과와 정신분석의 관계성 연구 -장 뤽 고다르의 <경멸_Le Méris>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lm's visual effects and psychoanalysis -Focusing on Jean-Luc Godard's Le Méris-)

  • 김석원;김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09-418
    • /
    • 2020
  • 본 연구는 영화의 시각효과와 정신분석의 관계성을 장뤽 고다르의 <경멸(Le Méris), 1963>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고다르는 <경멸>에서 영화 제작에 참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소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역자를 설정했다. 하지만 통역자의 역할은 있지만 정확한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다르의 의도는 관객이 단순히 영화를 바라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내용에 적극적으로 참가라는 것을 바라고 있다. 이 연구의 의미는 프로이드와 라캉의 정신분석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장뤽 고다르의 영화 <경멸>에 참여했던 영화 제작자, 감독, 작가, 배우들과의 관계, 그리고 영화에서 보이지 않는 참여자들의 갈등 관계를 감독은 어떤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재현했는지 분석한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데이비드 헨리 황의 『엠. 나비』에 나타난 백인 이성애 미국인 정체성의 위기 (The Endangered White Heterosexual Masculine American National Identity in David Henry Hwang's M. Butterfly)

  • 정은숙
    • 영어영문학
    • /
    • 제56권2호
    • /
    • pp.187-217
    • /
    • 2010
  • By reading the main character, Rene Gallimard, in M. Butterfly as a spatial metaphor of America, this article examines how homogeneous American national identity of heterosexuality and white masculinity has been reinforced since the cold war and has constituted a crisis of hegemony with the decline of imperialism and how its pathological symptom is shown through the melancholic suicide of Gallimard. This article also argues how the feminine attributes implied in race, gender and sexuality in M. Butterfly are designated and allegorized as an impure, contaminated and ahistorical marker of national integrity in pthe social and material status of the heterosexual American white male. To develop my argument, I read M. Butterfly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refore I depend on Freud, Lacan, and Bhabha's psychoanalysis as the theoretical basis. In this paper, I also argue that the homogenized and fixed national identity is splitted and collapsed from within as shown in the Gallimard's melancholy and in the process of splitting the "Third Space" of hybrid subjects for the marginal and the emergent like Song Liling, a homosexual Asian man, can be built "from a space in-between." Therefore Hwang calls into questions conventions of fixed, essentialist identities through the shifting gender identities between Song and Gallimard in M. Butterfly and how identities in the plural are constructed variously in throughly historicized, politicized situations, and these constructions can be complicated by relations of power.

영화 <부러진 화살>의 정서적 이중성 (Movie 's Emotional Ambivalence)

  • 김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5-75
    • /
    • 2013
  • 영화는 색(色)과 음(音), 그리고 연상 작용에 의한 향(香)을 공감각화한 비쥬얼 스토리텔링이며, 관객이 감각적으로 영화적 사건을 체험하게 한다. 관객은 영화적 이야기에 몰입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 분리된 객석의 자아를 통해 영화적 세계, 즉 압축된 시 공간의 장(場)에서 억압되고 병치된 인간의 원형적 감정, 쾌락, 공포, 두려움을 재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영화 <부러진 화살>을 통해 관객의 쾌감과 두려움의 감정을 볼 것이다. 먼저 쾌감은 니체의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볼 것이다. 니체는 숨 쉬고, 움직이며, 의지가 있는 것이 살아있는 생명적 존재라고 정의하고, 그것의 동력은 힘에의 의지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힘을 요구하고, 얻고자 하고, 증대시키려 하며 소망한다. 이것이 인간행위와 현상의 원인이다. 또한 인간은 자기보존충동이 있고, 그것은 심적 동기인 쾌감추구로서 작동한다". 우리는 힘의 관점에서 일반적인 심적 동기로서의 쾌감을 <부러진 화살>의 관객의 기쁨과 연계시켜 볼 것이다. 관객은 개념적 약자로서 가난한 자, 여성, 성적 소수자 등등의 도전과 승리에서 자기 보존적 본능을, 즉 쾌감을 느낀다. 이어 관객의 불안, 공포, 두려움의 징후들을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나오는 '아버지의 이름 Name-of-the-Father'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이드, 자아, 초자아의 개념을 실재계, 상상계, 상징계로 확장하고, 이 계(界)들 가운데 상징계(질서세계)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언급한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소쉬르가 "일반 언어학 강의"에서 언어의 기본적 구조로서 기표와 기의를 규명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라캉은 '아버지의 이름'을 사회화의 기본적 기표로, 그리고 연결장치로서 제시한다. 아버지의 이름은 법의 상징이자 은유로서, 그의 부재와 그에 대한 항거는 사회의 불안으로 직결된다. 마지막으로 자기 보존적 본능에서 촉발되는 저항의 쾌감과 법(질서)의 부재에서 오는 두려움, 이러한 본래적 감정이 진보와 보수의 가치관에 연계되어 있음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