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스타글란딘 $E_2$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Ovalbumin으로 유발된 백서의 즉시형 기관지 수축 반응에서 Cyclooxygenase-2(COX-2) 발현 양상 및 혈중 프로스타글란딘 E2 농도와 COX-2 억제제의 효과 (The Effects of Cyclooxygenase-2(COX-2) Inhibitor on COX-2 and Prostaglandin E2 Expression in Ovalbumin Induced Early Phase Bronchoconstriction of Rats)

  • 이승룡;이신형;정기환;김병규;정혜철;김경규;권영환;김제형;이주한;이상엽;조재연;심재정;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91-202
    • /
    • 2000
  • 목 적: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과민 반응을 특정으로 하는 기도 내 염증 질환이다. 최근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cyclooxygease(COX) 에 대해 90년대 초 새로운 형태의 COX2가 발견되었다. 또한 최근 COX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제가 개발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저자는 기도 내 염증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지 천식에서 COX2 발현 양상과 혈중 프로스타글란딘 E2를 측정하고 COX2 억제제를 사용한 후 COX2 발현, 프로스타글란딘 E2의 변화 및 기도 저항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총 38마리의 Sprague-Dawley 백서(250-300g)를 대상으로 정상 대조군, 천식 대조군, 치료군의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세 군에 대해 제 28 연구일에 즉시형 기관지 수축 반응을 유발시킨 후 기도 저항을 측정하였다. 제 30연구일에 혈장 내 프로스타글란딘 E2 수치를 측정하고 기도 및 폐 실질 내 호산구 침윤 정도 및 COX2 면역 조직 화학 염색에 대한 발색 정도를 image analysis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 과: 기관지 및 폐 실질 내 호산구 침윤은 천식 대조군과 치료군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OX2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및 혈중 프로스타글란딘 E2 농도에 있어서 정상 대조군, 천식 대조군, 치료군의 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군에서 nemesulide 투여 후 OVA으로 즉시형 기관지 수축 반응을 일으킨 상태에서 측정한 기도 저항은 nemesulid를 투여하기 전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결론적으로 COX2는 알레르겐 유발성 천식의 병태 생리에 있어서 주된 경로가 아니며 향후 천식 모델에서 COX2 억제제를 사용한 후 lipoxygenase 의한 대사산물과의 상관 관계와 COX2 억제제의 투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투여 용량 또는 투여 횟수를 달리하거나 COX2에 대한 선택성이 더 높은 약제를 투여한 후 기도 내 COX2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Fructose 1,6-diphosphate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억제기전 (Fructose 1.6-diphosphate Prevents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Expression by Inhibition of UVB-induced Signaling Cascades in HaCaT Keratinocytes)

  • Soo Mi, Ahn;Ji Hyun, Kim;Byeong Gon, Lee;Soo Hwan, Lee;Ih Seou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7-251
    • /
    • 2004
  • 자외선은 피부에 염증반응이나 광노화와 같은 다양한 반응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는 콜라겐의 양이 감소되어 있는데, 이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내에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서 염증반응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반응은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에 의해 매개되며, 이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서도 MMP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의 임상실험을 통해 광노화된 피부에서 주름형성억제효능이 뛰어난 FDP(fructose 1.6-diphosphate)의 작용기전을 인체각질형성 세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인체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프로스타글란딘, COX-2(cyclooxygenase-2), MMPs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며, 이는 FDP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자외선에 의해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발생하는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나는 효과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FDP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하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프로스타글란딘, COX-2, MMPs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원료로 여겨진다.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의 합성과 그의 생물학적 활성에 관한 연구 II. 위궤양과 위산분비에 대한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의 효과 (Studies on the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Prostaglandin Derivatives II. Effects of Prostaglandin Derivatives on Acute Gastric Ulcer and Gastric Secretion in Rats)

  • 조태순;이선미;함원훈;이병무;김경례;지상철;고준일;박인;오창영;박호군;김형자;이향우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1호
    • /
    • pp.72-79
    • /
    • 1995
  • The antiulcer effects of newly synthesized prostaglandin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experimental ulcer models and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HK-3 and HK-4, PG $E_2$derivatives, prevented the formation of acute gastric ulcer induced by ethanol or aspirin in pylorus-ligated rats. The ulcer formation was moderately inhibited by HK-1 and HK-2, PG $F_{2{\alpha}}$ derivatives, and aggravated by SK-1, SK-2 and SK-3, PG $F_{2{\alpha}}$ derivatives. HK-3 and HK-4 reduced the volume, acid output and pepsin output of gastric juice in pylorus-ligated rats. The gastric perfusion with physiologic saline(pH 6.0) showed relatively constant acid secretion and indomethacin increased the acid secretion. The acid secretion was markedly decreased by PG $E_2$but PG $F_{2{\alpha}}$ caused little change. Prostaglandin derivatives, especially HK-3 arid HK-4,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id secretion induced by indomethacin. The results show that, PG $E_2$ derivatives, HK-3 and HK-4, inhibit acid secretion and also have protective effects on gastric ulceration induced by ethanol or aspirin.

  • PDF

프로스타글란딘 D2와 E2의 생성에 대한 허파 마크로파이지의 역할 (Role of Alveolar Macrophages in Productions of Prostaglandin D2 and E2 in the Inflamed Lung)

  • 주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45-852
    • /
    • 2010
  • 프로스타글란딘 D2 (PGD2)와 E2 (PGE2)는 COX-2로부터 유래되는 주요 프로스타노이드로서, 슈도모나스에 의한 폐감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폐에서 합성되어 슈도모나스 세균감염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밝힌바 있음. 본 연구에서는 두 프로스타노이드의 생성 비율을 조절하는 기전을 연구하고자함. 마크로파아지에 의해 PGD2/PGE2 비율이 결정되는 지 조사하기 위해, 마우스의 허파로부터 마크로파아지를 분리하고 LPS로 처리할 경우, COX-2, PGD2합성 효소인 L-PGDS, PGE2의 합성효소인 mPGES-1 등의 발현이 두 프로스타노이드의 생성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음. 또한 이 효소들의 발현이 일차 허파 마크로파아지에 특이적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허파 마트로파이지 세포주인 MH-S와 비교 조사하였음. COX-2가 프로스타글린딘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OX-2 특이적 siRNA릉 이용하여 COX-2의 발현을 억제하고 L-PGDS, mPGES-1 등의 발현을 조사하였음. 결과에 따르면, 일차 허파 마트로파아지는 MH-S과는 달리 많은 양의 PGE2를 생성하나, 두 세포간 COX-2, L-PGDS, mPGES-1의 발현에는 큰 차이가 없었음. 이는 이들 효소 외에 다른 인자들이 두 프로스타노이드의 비율을 결정하는데 관여함을 제시함. LPS의 처리에 의해 폐염증을 발생시키고 허파에서의 PGD2/PGE2 비율을 조사한 결과, LPS에 의해 폐염증이 발생할 경우 LPS를 처리한 일차 허파 마크로파아지와 유사하게 PGE2의 발현이 PGD2에 비해 상당히 높았음.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허파에서의 PGD2/PGE2 비율은, COX-2, L-PGDS, mPGES-1 등 PGD2나 PGE2의 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효소에 의해 결정되지 않으며, 허파마크로파아지의 PGD2/PGE2 비율을 반영할 가능성을 제시함.

메틸싸이오페닐기 함유 1,5-다이아릴 이미다졸 유도체의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억제작용 (Inhibitory Activities of 1,5-Diarylimidazole Derivatives with Methylthiophenyl Group against PGE2 Production)

  • 권재현;박해일;김성수
    • 약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07-111
    • /
    • 2016
  • Inhibitory activities of 1,5-diarylimidazole analogs with methylthiophenyl group on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from LPS-treated RAW 264.7 cell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rresponding analogs with 4-methanesulfonylphenyl group. Among the tested nineteen analogs with methylthiophenyl group, fourteen analogs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88%) when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ompound NS-398, and fifteen analogs have similar inhibitory activities with those of parent analogs with 4-methanesulfonylphenyl group. Those results suggest that most of 1,5-diarylimidazole analogs with methanesulfonylphenyl group can be also active even after they are metabolized by reduction.

2-Bromoacetyltriphenylene 유도체화제를 이용한 카르복실기 함유성분의 분석법 (I) - 프로스타글란딘 $E_2$$F_2{\alpha}$ 혼합물의 HPLC에 의한 분리정량 (UV-HPLC Determination of Carbowyl Group Using 2-Bromoacetyltriphenylene as a Pre-labeling Reagent - The isolative determination of prostaglandin $E_2$ and $F_2{\alpha}$ by HPLC)

  • 이왕규;정해수;김박광
    • 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11-316
    • /
    • 1986
  • A new UV labeling reagent was developed and used in HPLC for the determination of prostaglandin $E_2$ which have weak UV light-absorbing property. This reagent, 2-bromoacetyltriphenylene, was synthesized by the bromination of 2-acetyltriphenylene which was obtained from triphenylene by Friedel-Crafts reaction. The wave length maximum (${\lambda}_{max}^{CH_3CN}$ of this reagent was 268nm. Prostaglandin E$_2$ was extracted from prostaglandin E$_2$-$\beta$-cyclodextrin using a Sep-pak $C_{18}$ cartridge. The prostaglandin E$_2$ was labeled with 2-bromoacetyl-triphenylene in aectonitrite using 18-crown-6-ether as catalyst. Derivatized prostaglandins were separated on a reversed-phase column (Radial-pak) $\mu$-Bondapak $C_{18}$ using acetonitrile: water=60:40 as mobile phase. The effluent was monitored by UV detector at 254nm filter kit.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was obtained between 30ng and 140ng, and the lower limit of detection was 5ng.

  • PDF

RAW 264.7 큰포식세포에서 상백피 및 상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비교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ic mulberry extract on the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 김윤영;양윤경;김동민;김지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43-348
    • /
    • 2017
  • 상백피 및 상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상백피, 상지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산화질소(II), 프로스타글란딘 $E_2$, 인터류킨-6, 종양괴사인자-${\alpha}$ 등의 생성능과 COX-2, iNOS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산화질소(II) 생성량은 두 추출물 모두 유의하게 비슷한 정도로 감소시켰으나, 활성산소종 생성에서는 상백피 추출물이 상지 추출물 보다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스타글란딘 $E_2$와 인터류킨-6 생성에서는 상지 추출물의 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COX-2와 iNOS mRNA 발현량 또한 상지 추출물의 상백피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결과로 상백피, 상지 추출물 모두 염증 매개인자 발현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상지 추출물이 상백피 추출물 보다 염증 완화 효과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상백피 및 상지 추출물의 주요 활성 성분들의 차이와, 염증완화 메커니즘을 통한 관련 질환에 효과가 있는지 정확한 작용메커니즘 확인 등의 분석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떡쑥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naphalium affine Extract)

  • 노경백;이정아;박준호;정광선;정은선;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14
    • /
    • 2017
  •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GA)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전통적인 민간요법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현재 떡쑥 추출물(GA extract, GAE)의 항산화 활성과 항보체 활성 등은 알려져 있으나, 항염과 항알러지 효능 및 그 작용 기작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 프로스타글란딘 $E_2$, Toll-유사수용체 4, 에오탁신-1, 히스타민의 활성화에 대한 GAE의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AE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와 COX-2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화질소와 프로스타글란딘 $E_2$의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GAE는 LPS로부터 유도된 Toll-유사수용체 4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23187로부터 유도되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의 억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L-4로부터 유도된 에오탁신-1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AE는 항염증과 항알러지 효능을 가진다고 사료되며, 향후 항염증 및 항알러지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보였다.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Tacrine 유도체의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of Tacrine Derivatives on Activity of Prostanoids Biosynthesis Prostaglandin Biosynthesis: A Potential Use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Treatment)

  • 신혜순
    • 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03-108
    • /
    • 2005
  • Tacrine analogues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treatments have been designed. A series of diazaanthrine derivatives as novel analogues of tacrine has been prepared through the alkyl substitution and the ring expansion. They were expected to retain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inhibition of prostaglandin production with reduction of side effect as the selective prostaglandin synthase inhibitor. Prostaglandin synthase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the deposition of beta-amyloid protein in neuritic plaques in brain inflammation. Therefore selective prostaglandin synthase blockade is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To evaluate inhibitory effect of prostaglandin synthase, synthetic tacrine derivatives were screened with accumulation of prostaglandin biosynthesis by lipopolysaccharide in aspirin-treated murine macrophage cell. Most of synthetic compounds have shown significant prostaglandin synthase activities in vitro screening with $84.3{\sim}33.6\%$ inhibition of the prostaglandin $E_2$ production at $10\;{\mu}g/ml$.

프로스타글란딘 $E_1$의 안정성 및 경피흡수 (Stability and Percutaneous Transport of Prostaglandin $E_1$)

  • 신동숙;오승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9권4호
    • /
    • pp.337-341
    • /
    • 1999
  • We have studied the stability and transdennal flux of prostaglandin $E_1\;(PGE_1)$ from various donor solutions through hairless mouse skin. Stability in HEPES buffer or in propylene glycol (PG) solution where enhancer (oleic acid (OA), propylene glycol monolaurate (PGML), transcutol (TC), ethanol (EtOH))s dissolved was investigated. $$PGE_1 was not stable in HEPES buffer. The concentration of $$PGE_1 decreased continuously for 7 days, and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was $0.0028\;h^{-1}$, assuming first order reaction. The effect of current or penetration enhancer on the degradation was minimal. Percutaneous transport from HEPES buffer by passive or iontophoretic delivery without enhancer was close to nil. When OA or PGML was used together with PG, both passive and iontophoretic flux increased. PGML showed better enhancing effect than OA. Flux by cathodal delivery was about 2 times larger than that by passive delivery. Flux by anodal delivery was lower than that by passive delivery. TC and EtOH also increased the transdermal flux, but the effect was not as good as that observed when OA or PGML was used. These stability and flux data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how to formulate the patch, which will be the next step of this work, and on the polarity of current to use during iontophore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