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세스 관리

Search Result 2,741,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A Conceptual Framework for InfoSec Management Governance (정보보호관리 통제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김정덕;나태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1.11a
    • /
    • pp.331-33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현재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정보보호관리체계에 대하여 기존의 국내·외 정보보호관리체계 지침이나 표준 문서들이 단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 할 뿐, 평가나 측정, 혹은 인증을 위해 필요한 상세하고 객관적인 지표가 없다는 점을 파악하고, 이러한 주요 지표들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정보보호관리 국제 표준인 ISO/IEC TR 13335 GMITS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보보호관리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적절한 정보보호관리 프로세스를 도출한 다음, 현재 정보기술 통제 기준으로 사용중인 COBIT의 각 주요 지표들을 위에서 도출된 프로세스별로 적용시키는 것이다. 즉 정보보호관리 프로세스별 주요목표지표(KGI - Key Goal Indicator), 주요성과지표(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 그리고 핵심성공요소(CSF - Critical Success Factor)들을 개발하여 정보보호관리체계에 대한 상세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총체적인 정보보호관리 통제 이룩하고자 한다.

  • PDF

Study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oject Management for the Success of Small-Scale Software Projects (소규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 주요 특성에 관한 연구)

  • Han, SeungJi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937-940
    • /
    • 2013
  • 현대 S/W 프로젝트에서의 규모와 복잡성이 증대됨에 따라 표준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도입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으나, 운영성 프로젝트와 같은 소규모 프로젝트의 관리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인 ISO-21500 과 실제 소규모 프로젝트 수행사례를 비교하여 소규모 프로젝트 관리 특성을 파악하고, Core 관리영역과 Support 프로세스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소규모 프로젝트의 통합, 범위, 일정 관리 영역 항목에서 품질 및 리스크와 같은 다른 관리 영역에 비해 더 많은 비중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소규모 프로젝트 수행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정의하여 소규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더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Solving the Problem about Requirements Commitment on CMMI (CMMI의 요구사항 협의 확정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김홍기;백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84-486
    • /
    • 2004
  • CMMI는 조직의 역량 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SPI) 모델이다 CMMI의 단계적 형태(Staged Representation)의 2레벨을 획득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영역은 요구사항에 대한 협의 확정(Commitment) 활동을 포항하고 있다.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영역은 이전에 협의 확정된 요구사항이 필요한 경우 변경이 가능하도록 허용하고 있는데, CMMI와 같이 프로세스 중심적인 모델에서 이러한 변경 가능성은 협의 확정 사항의 무한정 확대(Escalation of Commitment)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PI학계에서 사용되는 협의 확정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이 정의를 CMMI에 적용함으로써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영역의 협의 확정을 수행하는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협의 확정의 개념은 Brown에 의해서 정의된 속성(1)과 Meyer에 의해서 제안된 형태(2)를 적용하여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요구사항의 협의 확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 PDF

PDM 시스템 기반의 협업적 R&D 프로세스 구축 사례연구

  • Yang, Yong-Jin;Park, Mu-Yong;Kim, Yeong-Ji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563-570
    • /
    • 2008
  • PDM(Product Data Management)은 제품의 개념정의에서부터 연구개발, 생산, 서비스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관련된 모든 제품 정보를 협업을 통해 생성, 관리,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PDM 시스템 구축의 일차적 목적은 제품 관련 데이터의 정합성을 확보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업무프로세스의 개선 및 표준화로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다. 특히 제품의 연구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제품정보의 공유를 통해 연구개발 부서와 기타 업무부서간 협업적 업무 프로세스의 구축을 촉진함으로써 R&D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PDM 구축사례를 소개함으로써 R&D 경쟁력 확보를 위한 PDM의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사례에서는 PDM 시스템 구축을 통해 BOM 관리, 도면 및 설계변경 관리, 문서 관리 등에 소요되는 시간의 $30\sim70%$ 가량을 단축하였으며, 연간 $3\sim5%$ 가량의 재료비 절감이라는 효과를 거두었다. 본 사례연구의 결과가 PDM 도입 시 실질적인 지침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PDM 구축절차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핵심역량 지향성과 IT 아웃소싱 프로세스 관리역량이 IT 아웃소싱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Yong-Jin;Song, Jae-Gi;Nam, Gi-Chan;Gu, Cheol-M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98-204
    • /
    • 2007
  • 본 연구는 핵심역량 지향성을 중심으로 고찰한 IT 아웃소싱 성공요인 및 결과에 관한 것으로, 아웃소싱 프로세스 관리역량과 기업의 핵심역량 지향성이 IT 아웃소싱된 업무 복잡도와 아웃소싱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아웃소싱 프로세스 관리역량이 기업의 핵심역량 지향성과 아웃소싱 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 핵심역량 지향성과 종속변수로 아웃소싱된 업무 복잡도 그리고 매개변수로 아웃소싱 프로세스 관리역량을 사용하였다. 국내 IT 아웃소싱 협회에 등록된 회사의 IT 부서를 대상으로 200 개의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공분산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IT 아웃소싱 프로세스 관리역량은 핵심역량 지향성이 아웃소싱된 업무 복잡도와 아웃소싱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핵심역량 지향성은 아웃소싱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아웃소싱된 업무 복잡도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Development of Workflow Management System For Enterprise Integration (기업 통합을 위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개발)

  • Byoun, Bo-Gyun;Han, Hyun-Chul;Yo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241-1244
    • /
    • 2001
  •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다. 초기에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업무현장에서 활용되었으나, 업무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점차 자동화해야 하는 프로세스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즉, 단순히 하나의 사업장에서의 프로세스 자동화가 아닌 좀더 복잡한 업무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한 프로세스 자동화 개념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확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기업 내 업무시스템들을 손 쉽게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에서 통합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한 기반 기술로 XML 을 사용하였으며 통합할 시스템들 간에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로는 HTTP 를 이용하였다.

  • PDF

Improving data quality through Data Owners management (데이터 오너 관리를 통한 데이터 품질 향상)

  • Park, Ji-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78-281
    • /
    • 2007
  • 데이터 품질 기준은 반드시 현업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하며, 현업의 마인드가 데이터 품질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업이 데이터 품질 관리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값(Data Value)에 대한 데이터 오너 (Owner)를 부여하여 데이터 품질 오류 시 현업이 직접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에 참여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는 데이터 품질 대상 및 기준을 정의하고 측정, 분석, 개선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오너 관리 방안은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개선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n Process Type for Construction Logistics Using RFID Technology (RFID를 이용한 건설 물류관리 프로세스 타입 분석)

  • Koo, Do-Hyung;Yoon, Su-Won;Chin,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161-166
    • /
    • 2006
  • Recently various application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supply chain process and management by not only using various management theories such as JIT(just In Time) and SCM(Supply Chain Management) but also utilizing emerging technology lik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ut existing research was merely focused on the use of the theories and technology on a particular work or material.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asic types of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which spans from manufacturing to install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This research proposes the seven types of construction supply chain processes, which has been derived based on the progress management theory and budget items for construction projec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RFID-based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as well as more efficiencies in various management areas.

  • PDF

Task Conformance Checking Technique for the Business Process Resource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연결망 분석을 응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원의 업무 적합성 판단 기법)

  • Lee, Seung-Hoon;Kim, Gun-Woo;Choi, Jo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54-57
    • /
    • 2010
  • 최근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주목을 받으며 기업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개선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기업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등의 혁신 프로그램을 도입했지만 그 효과나 성공률이 상당히 미흡했다. 성공적인 프로세스의 혁신을 위해서는 프로세스 모델의 개편과 함께 자원 및 자원의 관리 방식의 개편도 필수적이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프로세스 혁신은 프로세스 모델 중심으로만 이루어졌으며 자원 및 자원의 관리 방식의 개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실제 발생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인스턴스를 기록한 프로세스 로그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자원할당 및 통제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 연결망을 응용하여 각 자원간의 연결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업무에 적합한 자원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 Suggestion for Design Process Improvement to Develop a Design Management Model (설계관리 모델 개발을 위한 설계업무 프로세스 개선 방향 제시)

  • Bae, Jeung-Ik;Shin, Jae-Won;Kwon, O-Ky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6
    • /
    • pp.90-98
    • /
    • 2006
  • As management is becoming a focus of a construction industry, conprehensive construction management is needed. Thus a plan of improving a design work process for developing design work capacity is proposed. The plan of improving a design work process based on a information flow for decision makings is expected to be a good ground material of not only smooth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and information tracing, but also effective management of whole process. Theplansuggestedinthisstudyissummarizedas: (1) Detailed and clear work definition (2) information-oriented work definition (3) Strengthening works related to desig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