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그램교육목표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2초

영국에서의 과학-기술-사회 교육의 태동과 발전 과정 (II) - 20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the Quickening and Development of Science-Technology- Society Education in the United Kingdom (II) - During the 2nd Half of the 20th Century -)

  • 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76
    • /
    • 2000
  • 19세기초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시기를 다루었던 이전 논문에 이어서, 본 논문에서는 20세기 후반기 동안 STS 관련 아이디어들이 영국의 과학교육에서 어떻게 역사적으로 발전해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1950-60년에는 영국에서도 Nuffield 프로젝트와 같은 많은 수의 학문중심 과학 교육 프로그램들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에 대한 비판들이 점차 제기되었고 당시의 경향을 수정하고자 하였던 주목할만한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예컨대, SCISP는, 비록 그것의 주된 관심이 통합과학적 접근을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었지만, 과학과 사회 사이의 관련성이 갖는 중요성을 보여주는 성공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어서, Science in Society와 SISCON-in-Schools와 같은 진정한 STS 프로그램을 위한 보다 야심찬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이 두 프로젝트는 시기적으로 거의 동시에 개발되었으며 교과서가 아닌 모듈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하지만, Science in Society는 과학의 응용과 산업적 측면에 보다 관심을 집중시켰던 반면, SISCON-in-Schools는 과학의 역사적, 철학적, 사회적 측면들에 보다 많은 관심을 쏟았다. 1980년대에는 보다 큰 규모의 ST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던 훨씬 더 야심적인 시도들이 이루어졌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Salters' 프로젝트와 SATIS였다. 이 두 가지의 프로그램들은 모두 ASE의 적극적인 협조 아래에 개발되었으며, 곧 전세계에서 대표적으로 인정받는 STS적 접근의 예가 되었다. 이 두 프로그램은 많은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Salters'는 보다 적용-중심 및 과목-중심의 교과서 형태이었던 반면, SATIS는 보다 사회적 쟁점-중심의 모듈 형태의 것이었다. 한편, 학교 과학교육에서의 STS적 접근의 역사에 대한 본 연구는 각 STS 프로그램들이 상이한 사회적 배경 하에서 개발되었고 학교 과학교육의 목표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지닌 사람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또한 STS적 접근이 20세기 마지막 시기에만 나타난 독특한 특징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지난 20세기 동안 영국에서 개발되었던 대표적인 STS 프로그램들에 대한 배경정보에 상대적인 특징의 비교를 정리하였으며 연구의 일반적인 결론과 그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The Case study of cognition of participan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vailable for science teachers in Timor-Leste)

  • 홍준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43-55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 PDF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use, Learning Style Preference among High, Medium, Low Achievers in an Online Gifted Program)

  • 채유정;이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905-9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을 비교하여 성취도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2015년 3월~6월까지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이수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788명이며, 이들은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은 동기(동기적 선호, 학습목표 지향성) 관련 20개 문항, 자기조절전략(인지조절 전략, 행동조절 전략) 관련 27문항, 학습양식 관련 6문항, 학습자 배경변인 7문항으로 총 60개였으며, 설문 데이터는 SPSS 19.0를 이용해 기술통계 및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수학, 과학 과목에 대한 동기적 선호를 비교했을 때, 성취수준 상위, 중위, 하위집단 순서로 수학적, 과학적 내재적 동기가 높았다. 둘째,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 인지조절 전략 하위 요인별 활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교화 전략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력 및 시간조절 전략에서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상위 집단의 정교화 전략, 노력 및 시간조절 활용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 양식 선호의 차이, 즉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대한 집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의 참여 효과 :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혼합방법연구 (The Participation Effect of Study Abroad Program: Mixed Methods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신현석;전재은;노명순;신윤정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225-25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관련 설명 요인을 혼합방법을 사용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대학의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자 258명에 대해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양적 연구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16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양적 및 질적 연구 결과, 진로 관련 성취목표와 현지학생과의 교류가 참여자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후에도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낮아진 집단도 확인하였다. 이 경우, 귀국 후 참여자가 파견된 국가와 상황이 다른 한국의 직업 시장으로 돌아와, 취직 현실의 벽을 재경험하며 예전의 진로계획으로 돌아가는 질적 연구 결과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또 참여자가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휴식 및 해외 체험을 위해 참여하여 진로탐색과 연결지어보지 않는 결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양성평등 수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a Gender-Neutral Mathematics Program)

  • 권오남;주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5-75
    • /
    • 2005
  • 본 연구는 양성평등을 추구하는 수학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서, 수학 학습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와 개발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여성학적 관점에서 볼 때, 수학에서 나타나는 성별차이는 남성지배적인 수학 문화 속에서 파생된 여성의 수학은 여성의 수학적 역량에 대한 왜곡된 이해이다. 나아가 남성지배적인 수학 문화를 수용하는 학교수학은 여성의 수학적 역량을 공정하게 평가할 수 없으며 그들의 수학적 성숙을 촉진하기에 근원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여성학적 인식론과 교수법에 기반한 양성평등 수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학생의 수학 참여를 증진하고 자신의 수학적 역량을 재발견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수학 관련 분야에서 여성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의 여성의 삶의 질적 향상 및 사회적 지위향상이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추구한다.

  • PDF

서울지역 여성 정보보호전공의 보안교육 프로그램 비교 (Comparison of Security Education Program of Woman Information Security Majors of Seoul Region)

  • 홍진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07-113
    • /
    • 2020
  •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여성인력의 사회 참여 확대와 함께 정보보호 여성의 인력 양성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 정보보호 인력 양성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수도권의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여성 정보보호 인력 양성 학과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표는 여성 정보보안 인력양성 학과가 구성하고 있는 교육훈련 체계가 NIST 인력양성 방향과 부합하고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 초점은 여성 정보보안 학과가 보안 전공별로 어떤 특성을 가진 교육과정을 편성하는지, 그리고 어떤 직무 교육에 관심을 가지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해당 전공의 교육과정이 NIST 인력양성 프레임워크를 기준하여, 관련 대학의 전공들이 해당 직무에 부합하는 교육훈련 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해, 관련 전공들은 융합산업 보안의 인증 평가 인력이나 정보보안 개발인력, 그리고 일반적인 사이버 보안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Media Literacy: Focusing on Core Concept of 'Relationship')

  • 심재영;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에 대해 ADDIE 단계로 10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활동지,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의 1~6차시를 실행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참가자의 미디어 접근 능력과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미디어를 제작하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질적 분석 결과 수업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 전반에 걸쳐 변화가 있었고 특히, '비판적 이해와 평가'에 있어서의 변화를 많이 인지하였다. 미디어 이용 윤리와 사회참여 의식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 교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가정과 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수용성 향상, 가정과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전문성 제고, 현장의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 훈련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munication Improvement on Caregivers Education and Training on Aphasia)

  • 박희준;장현진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2호
    • /
    • pp.79-88
    • /
    • 2019
  • 목적 :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하나의 체계적 프로그램으로 결합하였는데 이 접근법의 목표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이해를 돕고 필요한 것을 인지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자는 환자와 대화상대자 사이의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모델에 근거한 그룹훈련의 장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소재에 있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40~50세의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6명(구어 실행증 2명, 브로카실어증 3명, 명칭 실어증 1명)과 보호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은 보호자가 촉진전략을 사용하여 환자의 메시지를 파악하였는지 알아보고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은 보호자의 긍정적인 행동과 방해하는 행동의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보호자의 행동 변화는 훈련 전의 부정적 행동들이 훈련 후 어떠한 행동으로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 설문지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첫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둘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셋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보호자의 행동을 변화시켰다. 넷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향상 시켰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에서는 그동안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국외에서 이미 활용 중인 여러 유형의 프로그램을 표방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와 재활 환경에 맞는 다양한 보호자 교육의 내용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Job-Satisfaction)

  • 이진화;임원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59-174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조직시민행동을 함양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78명의 현직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지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접근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은 직무만족도와 비교적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숙달회피지향성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만족도 간에는 전 영역들에서 대부분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과 조직시민행동은 직무만족도 전체의 약 46.6%를 설명하였다. 두 변인 중 성취목표지향성이 약 38.0%를 설명하였는데, 특히, 숙달접근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이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조직시민행동은 약 8.6%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이 중에서 이타성과 시민정신이 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팬데믹 시기 비대면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Non-face-to-face Obesity-Management Program During the Pandemic)

  • 박은진;황태윤;이중정;김건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3호
    • /
    • pp.166-180
    • /
    • 2022
  • 본 연구는 팬데믹 시기 비대면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근거기반 비대면 비만관리 프로그램 개발은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IMP)를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운영은 대구광역시 시민건강 놀이터 온라인 채널을 통해 참여를 신청한 과체중 및 비만 성인 48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4일부터 11월 13일까지 8주 동안 실시하였다. 효과평가는 프로그램 전·후 자가 신체 계측 측정, 건강행태 설문 및 만족도 설문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IMP를 통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은 IMP 6단계의 과정을 적용하였고 1단계 요구사정은 간호·영양·운동 교육자 면담을 통해 대상자 선정 기준, 프로그램 운영 방법 등을 결정하였다. 2단계 목표 설정은 비만관리를 위한 행동 변화목표 3가지를 설정하였고 3단계에서는 건강·영양·운동 영역별 근거기반으로 건강행태 변화를 위한 중재 방법 및 수행 전략을 선택하였다. 4단계 프로그램 설계는 8주 동안 대상자의 수행 과제 및 인증방법 등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5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행 계획을 작성하고 실제 적용하였으며 6단계에서는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대면 비만관리 프로그램 참여 전·후 신체 계측 값을 통한 효과 평가 결과 평균 체중은 1.2kg이 감량되었고, 허리둘레는 3cm가 감소하였으며, 체질량지수(BMI)는 0.8kg/m2 감소하였다(p<0.05). 대상자의 건강행태 설문을 통한 효과 평가 결과는 프로그램 참여 전·후 1일 평균 섭취 열량, 과일 섭취, 걷기 운동 실천 등의 생활습관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프로그램 과정 평가를 위한 만족도는 4.57±0.6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비대면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팬데믹 시기에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전문가의 개별상담과 자가 신체 계측 측정 및 기록을 통한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 성인 대상 비대면 비만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대면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앱 사용 등 대상자의 나이에 따라 비대면 프로그램 참여에 일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로 개발된 비대면 프로그램과 함께 필요시 대면 프로그램의 병행을 제언하며, 추후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에 따른 효과 평가를 검증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