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란시스 베이컨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복식과 회화에 표현되는 몸의 재현 - 프란시스 베이컨의 작품과 레이 카와쿠보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 (Representation of the Body in Dress and Painting - Focusing on the Works of Francis Bacon and Rei Kawakubo -)

  • 임은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4호
    • /
    • pp.40-57
    • /
    • 2013
  •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which are intimately interrelated, the body is a suitable subject in that it is the common object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the images of the body in Francis Bacon's paintings from 1940s to 1970s and the formative aspect and aesthetic value of the abstract body images in Rei Kawakubo's designs since 1980s. The figures in Bacon's paintings are confusingly and atypically deformed as well as distorted, which are the combinations of the anatomies without references, not so much represented objects as experienced sense. Kawakubo's designs attempt to deform the body, moreover, she transforms the body; represent abstract forms without association with any other figures that exist, emphasizing sculptural or architectural shapes of garment. She suggests extensive visual language of dress by challenging the norms of beauty. The body in Bacon and Kawakubo's works is dispersive as well as complex in that the body images are deconstructed, fragmented, and exaggerated. Respectively, they articulate the perception of the body in postmodernism era by destroying the myth of subject; furthermore establish the aesthetics that transcend conventional ideals by reevaluating as well as refusing the standards of beauty.

회화와 건축에서 나타나는 비재현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 프란시스 베이컨의 회화와 SANAA의 건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n-representation Approach Indicated in Paintings and Architecture - Focus on Francis Bacon's paintings and SANAA's Architectural projects -)

  • 박소라;이영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14-121
    • /
    • 2012
  • Gilles Deleuze is a philosopher who replaces the world of representation defined as supremacy of identity with the contemporary reason of non-representation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that wants to transcend Plato. Deleuze developed his own philosophical concept through philosophical reason and encounter with arts, for which reason he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artists and architects in diverse fields. Particularly, 'Logic of Sensation' published in 1981 considers the non-representation painting approach through Francis Bacon's painting theory defined as 'invisible force's visibility'. And it is considered that SANAA's architecture among many contemporary architects accepted the essence of Deleuze's philosophy and continuously reflects it on projects. Henc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ider how the non-representation constituting a root for Deleuze's reason has been indicated in paintings and architecture through examining the works by Bacon and SANAA. First,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ill be directed to non-representation, followed by an analysis of Bacon's painting works and SANAA's architecture projects from the viewpoints of the force of isolation, the force of transformation, the force of dissipation and the force of time dealt with by Deleuze in 'Logic of Sensation'. Finally, through such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Deleuze's non-representation indicated in architecture and paintings will be derived.

  • PDF

렘 콜하스의 실내공간과 질 들뢰즈 회화론의 유사점 연구 (Research about Similarities in Interior Space of Rem Koolhaas and Painting Theory of Gilles Deleuze)

  • 김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38-147
    • /
    • 2012
  • 현대에 이르러 공간디자인 분야에 나타난 의미 있는 시도는 공간구축과 담론의 교차점을 찾으려 시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현대 철학자인 질 들뢰즈가 프란시스 베이컨의 회화를 분석하여 자신의 담론을 전개한 문헌에서 공간적 단서를 찾아 현대 공간디자인과의 공통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들뢰즈의 분석에 따르면 베이컨의 회화는 골격-배경(아플라), 형상-형태(형상) 그리고 윤곽-한계(트랙)라는 세 가지요소로 구분된다. 이러한 회화의 세 요소로부터 '형상-사건의 발생', '트랙-감각의 장소', '아플라-배경과의 상호작용'이라는 공간적 분석어를 추출했다. 그리고 이 분석어로 렘 콜하스의 최근 작품을 분석했다. 렘콜하스의 작품에서 확인되는 들뢰즈 공간론은 사용자와 공간 사이에 발생하는 사건 중심, 사건 발생을 유도하는 장소, 사용자와 공간 또는 공간과 대지 사이의 차이생성이란 방식의 적용이다. 결과적으로 현대 담론과 공간디자인 모두는 생명 운동에 의한 '차이'로서 이해된다는 공통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얼굴해체 - 프란시스 베이컨 회화의 얼굴해체를 바탕으로 - (An analysis on the Deconstructed Visage in Fashion Illustration - Based on the Deconstructed Visage of Francis Bacon's Painting -)

  • 최정화;최유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74-885
    • /
    • 2013
  • This study analyzes the visage i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the deconstructed visage of Francis Bacon's paintings as well as analyzes fashion illustration works since 2000. The deconstructed visages in Francis Bacon's paintings are classified as blurring, elimination, distortion and division. The expressive methods and meanings in fashion illustration (according to categorization) are as follow. Blurring shows an ambiguous visage organ by the sweeping of the brush, removal of a boundary among the visage, body and clothes, gradation of organic line like visage shapes, stretching of the a plat combined to visage and fragmentation of visage. It represents an uncertainty of the fashion theme and image interpretation, impossibility of figure by ambiguity, fantastic effect and the induction of the uncanny. Elimination shows the background color's painting of a photo-montage, overlap of a cutting of visage's part and background of a plat, elimination of the visage and the elimination of eyes, nose or lips. It represents a weakened identity, the reinforcement of anonymity, creation of a violent image, and uncanny unfamiliarity. Distortion shows a distorted visage by free drawing, and unconscious drawing line, fluid digital body, combination of an unconscious curve, and an eccentric combination of the accidental. It represents the relief of specialty about realistic existence, hypothetical immateriality and fantasy. Division shows overlapped visages with different angles, the weird combination of a plural visage and different species and a plural breakaway of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several organs. It represents motion by power's trace, non-territory of species, ambiguity and uncertainty and the uncanny.

들뢰즈 회화론의 공간인식에 의한 렘 쿨하스 건축의 실내공간에 관한연구 (A Study on Interior Space in Rem Koolhaas' Architectures through Space Recognition of Deleuze's Painting Theory)

  • 홍선미;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5-120
    • /
    • 2006
  • This study concentrates on a new idea that is formulated as a creative space recogni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painting. It is stimulated from Deleuze's philosophy, which is expressed with the philosophical instrument, "Non-Representation". After discussing the concept of non-representation used in Deleuze's philosophy, case exampl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re analysed to comparat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tectures by Rem Koolhaas and painting by Francis Bacon. Therefore, he founds expressions of "diagram" and "movement" in painting of F. Bacon. Diagram meansit is a power that is comprised of various points of wiew with the kind experiences that one has in life. Movement that were extracted form the Instrument in space recognition of Deleuze's panting theory were of topology, insertion of geometry, reiteration of layers, transparency and translucency, reflection effect.

  • PDF

영상미디어에서 매치 컷을 통한 시·공간 표현 연구 -영화<드라큘라>(1992)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ce and time by match cut in the image media -focusing on the movie, Bram Stoker's Dracula (1992)-)

  • 임용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19-424
    • /
    • 2018
  • 매치 컷(Match cut)은 영상미디어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몽타주(montage) 기법이다. 이 기법은 활용의 범위가 넓고, 수용자에게 다양한 의미작용을 일으키는 기법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쇼트와 쇼트 사이에 발생되는 의미작용에 바탕을 두고, 매치 컷 활용이 다양하게 표현되는 영화 <드라큘라>을 분석하였다. 매치 컷을 통한 오브젝트들의 결합방법과 도출되는 표현은 본문에서 살펴보았듯이 결합의 방법에 따라 발생되는 표현효과가 다르게 나타났고, 그 활용의 정도는 한정적이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영화<드라큘라>에서 드러나는 매치 컷의 활용방법을 분석하고, 그 쓰임과 표현에 있어 매치 컷 표현의 역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 앞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생성역량을 중심으로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철학적 쟁점에 바탕을 두었다.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해 비슷한 의미작용이 드러나는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의 회화 작품 <회화(painting)>(1946)와 <자화상(self-portrait)>(1969)과 비교분석하였다. 이 두 미디어를 분석함으로써 쇼트와 쇼트사이에 유목(nomadism)적 방법으로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색과 색'등을 통해, 결합 생성으로 발생되는 '되기(becoming)'의 의미작용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현대 건축과 회화에서 힘의 자유로운 분산에 관한 연구 - 프랭크 게리의 건축과 프란시스 베이컨의 회화에 있어 바로크적인 것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ree dispersal of the Power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Painting - Focused on the baroque in the Architecture of Frank O. Gehry and the Paintings of Francis Bacon -)

  • 이란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84-92
    • /
    • 2004
  • This study concentrates on a new idea that is formulated as a creative spatializ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painting. It is stimulated from the classical baroque, which is expressed with the conceptual instruments, 'excessive', 'decorative', 'accidential' Suggested from that, this study tries to open the actual sense area of 'the baroque' by analysing the architectural ideas of wrenching and folding by Frank O. Gehry and in the same context by elucidating the dynamic deformalising of the figures by Francis Bacon. The redefined 'new baroque' operates in the chain of the transformable and flexible images that must be recognized as 'the real' in the sense of 'the most empirical' and are vulnerable to dispersal. The typical instrument of Gehry's 'new baroque architecture' is the enclosing of the space and its folding, and Bacon, whose painting can be called as the modern baroque, takes as the expressing methods a wrenching of the figures, a relieving of the colored background against the figure and a disappearing of figures into the background. These different ideas meet in the theoretical gravitation field of the philosophy of Deleuze, in which the reconstituted baroque conception means the tension between the folds, on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which the variable space is dependent, Through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new baroque', a free dispersal of power, to architect and painter is offered the possibility, not only to make the real world intimate to the real life, but also to produce from there a vivid new space. Finally it brings to enjoyer and viewer the possibility, to perceive the operating power in and around oneself.

들뢰즈의 감각론의 관점으로 본 아이리스 반 헤르펜 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ris Van Herpen Fash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leuze's Sensory Theory)

  • 송해인;김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4호
    • /
    • pp.117-129
    • /
    • 2020
  • Just as the name 'aesthetics' implies, the meaning of 'aisthesis' or 'sense' in Greek, is perceiv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modern social design. Gilles Deleuze emphasized sensory expression over the rational side of the body, and argued for sensory theory, which is the theory of how painting produces new se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sensory theory of Deleuze, which has given new value to the senses, apply it to analyze the body expression method shown in the Iris van Herpen collection, and derive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his sensory theory, Deleuze argued that the senses can be expressed by the embodiment of force and rhythm, and one can only create art through the senses. To develop one's philosophical logic through Bacon's painting, we divided it into Hysteria, Cops sans organs, Diagram, Becoming, and Paired figures. Based on these analyses, the visualization of the senses in Iris van Herpen fashion resulted in hysteria, organ-free body, diagrams, and heterogeneity combinations. Analysis of the method of expression revealed rhythmicity, atypicality, scalability, and reproducibility as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lying Deleuze's sensory theory to access experimental Iris van Herpen's fashion could confirm that there was an open system's accessibility. Deleuze's sensory theory, which has given a new value to the senses, will further help to understand modern fashion design in a wide and diverse way and discover the intrinsic value within it.

20세기 회화공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the body in contemporary painting space)

  • 이금희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109-152
    • /
    • 2007
  • 20세기 미니멀리즘으로부터 시작된 후기미술은 그린버그적인 시각의 순수성과 자율성에 대한 비판으로 시각예술에서 재현과 시각 중심주의에서 비롯된 형식논리를 문제시하게 되고, 시각을 다른 감각들이나 신체, 삶 현실, 역사 등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시각(Vision) 혹은 시지각(Visuality)을 신체와 결부시켜 시각의 신체성의 가능성을 회화 공간 속에서 드러난 표현을 통해 구체적으로 찾아보고,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성을 검토하여 지각과 그 회화적 표현에 있어서의 신체적 역할을 강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신체성은 남성적 시각중심주의에 대해 페미니즘에서는 여성적 신체성, 즉 물질성, 촉각성 등의 공감각적 감각의 세계를 강조하며, 후기 미술의 파편적 특성은 통일성과 게슈탈트를 지향하는 시각중심주의에 대한 해체를 지향하고 있고, 참조와 파스티쉬 역시 시각의 순수성과 통일성을 부인하는 경호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정을 중시하는 프로세스 아트가 성행한다든지, 무정형 (formless), 혹은 앱젝트 미술(Abject Art)이 등장한다든지 하는 것은 바로 시각중심주의를 허물고 거기에 신체성, 즉 행위와 물질성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지미술이나 설치미술 등은 적극적으로 관람자의 신체의 개입을 요구하게 되고, 실제적 공간과 환경 속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지각을 경험하게 한다. 이렇듯 현대미술은 의식적 공간보다는 실제 공간으로, 순수기호적인 공간보디는 신체적 느낌의 공간으로, 눈이 만들어낸 공간보다는 손의 행위와 물질이 만들어 내는 공간으로, 통일적 공간보다는 혼연하며 애매한 공간으로, 혹은 시각적으로 거리를 두는 공간보다는 신체적으로 상호 얽히는 공간으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지각과 신체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해 준 사람은 프랑스의 현상학자 메를로 퐁티(M. Merleau-Ponty)이며, 구체적인 작업으로 길을 예시한 사람들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와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이다. 메를로 퐁티는 후설과는 다르게 세계인식의 근원적 토대로써 명증한 의식보다는 혼연하며 애매한 지각과 그 배경으로서 신체를 내세웠는데, 이는 할 포스터 등이 말하듯 미니멀리즘의 현상학적 배경이 되면서 또한 모더니즘의 논리에 반기를 드는 후기미술에 적합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해 준다. 메를로 퐁티의 $\ulcorner$지각의 현상학$\lrcorner$은 지각의 근원성과 그 신체적 배경에 관한 중요한 이론으로 지각에 있어서 신체의 작용과 특징에 대한 논의는 시각예술에 적용될 때 지각의 신체론의 회화적 함의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메를로 퐁티의 존재론적 회화론은 신체적 표현성과 화가의 회화적 표현에 대한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목되었으며, 그는 세잔의 회화를 살의 존재론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회화의 신체적 존재론적 측면 역시 검토될 것이다. 스텔라의 경우, 70년대 이후의 작품들이 전기 작업과는 다른 경향을 보여주는 것, 이를테면 틀의 해체, 탈중심적 공간표현, 역동적이며 혼합적인 표현, 중첩에 의한 실재 공간의 허용 등이 지각의 신체성을 용인하는 쪽으로의 전향이라고 판단되었으며, 베이컨의 경우, 회화적 구조, 즉 형상(figure), 삼변화, 아플라, 우연에 의한 제작방식 등이 메를로 퐁티의 살(la chair)적인 상호교착(chiasme)의 논리를 잘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 미술의 흐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 혹은 신체성의 개입에 대한 변화를 확언하기 위하여 지각과 신체의 위치를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후기미니멀리즘, 그 이후의 미술이라는 사적인 흐름의 큰 틀 속에서 살펴보았으며, 이를 지각과 신체에 관한 담론과 연결시켰다. 이에 대한 근거로 지각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는데, 지각심리학 중에서도 지각의 신체성에 대한 과학적인 논의를 제공해주는 형태심리학적 논의들을 다루고, 이어 형태심리학을 주로 시각예술의 차원에서 예시해 보여주었던 루돌프 아른하임의 논의를 다루었다. 또한 신체와 시지각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사례로, 신체지각적인 요소를 적극 도입하고 있는 후기 스텔라와 베이컨의 회화를 중심으로 시각의 신체성의 문제를 예시하며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체성과 관련하여 봄의 문제를 규정지으려는 작업들, 신체의 축적으로서의 신체의 역할, 신체의 배경으로서의 현실적, 일상적 삶과의 결부로부터 회화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 위상변화를 확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