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 하중

Search Result 39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Case Study on Application Method of Korea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hrough the Analysis of Wind Load Criteria based on Korean Building Code (KBC) (KBC 풍하중 기준 분석을 통한 풍하중의 한국형 BIM 적용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 Cho, Young-Sang;Shin, Tae-Song;Hong, Seong-Uk;Bae, Jun-Seo;Kim, Yu-Ri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09-51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KBC(Korean Building Code)와 IBC(International Building Code)의 풍하중 기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BIM 프로세스 기반의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에서 풍하중 산정 시 국내 건축구조설계기준(KBC)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BIM 기반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 중에는 한국구조설계기준(KBC)에 부합하는 풍하중 산정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조설계 기준에서 특히 풍하중 산정 방법은 기준 및 지역에 따른 산정 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구조설계의 안전성을 높이고 한국 실정에 맞는 건축물의 설계를 위해서 KBC 기준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IBC와 KBC 내의 풍하중 산정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하여 풍하중 산정의 차이를 확인한다. KBC 기준 풍하중 산정 결과를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외부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외부 프로그램에서 산정한 풍하중을 다시 구조해석 및 설계 프로그램 상에 입력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함으로써 KBC 기준 풍하중의 적용을 통한 한국형 BIM 구조해석 및 설계의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Method to Reduce the Wind-Load Applied on High-Rise Buildings using the Resizing Method (재분배기법의 고유진동수 조절 특성을 이용한 고층건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감소 방법)

  • Choi, Se-Woon;Park, Sung-Woo;Park, Hyo-Se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725-728
    • /
    • 2010
  • 풍력실험결과를 이용한 풍하중 산정 방법은 고층건물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인 고층건물의 경우, 이 방법은 구조물의 형상에 변화가 없다면, 구조물의 고유진동수가 증가할수록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크기는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재분배기법은 단위하중법을 통해 계산되는 변위기여도를 근거로 하여 구조물의 형상은 유지하면서 각 부재 단면의 크기만을 변화시켜서 구조물의 강성을 조절하는 설계기법이다. 이 방법은 효과적인 물량 재분배를 통해 구조물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증가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재분배기법을 이용하여 고층건물 구조설계 시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크기를 합리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풍력실험을 실시한 실구조물에 적용한 결과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크기가 감소하고, 이를 통해 구조물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of Wind Load Provisions Based on the Wind Buckling Behaviors of Plant Tank (플랜트 탱크의 좌굴 거동에 근거한 풍하중 설계기준 비교 연구)

  • Bae, Doobyong;Park, Il Gyu;Park, Jang Ho;Oh, Chang K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8 no.3
    • /
    • pp.203-211
    • /
    • 2016
  • There are no consistent wind load provisions to design the plant tank in Korea. To suggest the appropriate design wind load, five kinds of specifications including KS B 6283, API 650, ASCE 7-10, EN 1991-1-4 are compared. To evaluate the adequacy of wind load specification in each code first, pressure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 each code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wind tunnel test. Finite element analyses using linear bifurc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parameter of h/d and f/d (h : height of cylinderical part of tank, f : roof heigh, d : diameter of tank). By analyzing the results, appropriate wind load criteria which reflects the real wind actions and easy to apply will be suggested.

Static Wind Fragility Analysis of an Extradosed Bridge (엑스트라도즈드교의 정적 풍하중 취약도 분석)

  • Kim, Doo Kie;Kim, Dong Hyawn;Seo, Hyeong Yeol;Lee, Chang J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1 no.5
    • /
    • pp.107-113
    • /
    • 2007
  • This study presents fragility curves for the wind fragility analysis of a six-span extradosed bridge. The loads and corresponding load combinations are calculated using domestic design codes. Random variables are utilized to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the input variables for wind loads. The fragility curve is represented as a log-normal distribution function, in which two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extradosed bridge is safe to suffer static wind forces.

실험 및 해석적 방법을 이용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풍하중 분석

  • Lee, Seong-Uk;Gwon, Sun-Gyu;Han, Dong-Seop;Han, Geun-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137-141
    • /
    • 2006
  • 컨테이너를 선박에 양 ${\cdot}$ 적하하는 장비인 컨테이너 크레인은 차폐물이 거의 없는 항만에 설치되며, 계류시 전체 높이가 100m에 달하게 되므로 풍하중에 매우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풍력실험과 유한요소해석, 전산유동해석을 통하여 컨테이너 크레인이 받는 풍하중을 분석하였다. 우선 대기 경계층 풍동을 이용한 풍력실험을 수행하여 풍향 및 기계시 위치에 따른 풍력계소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크레인이 받는 풍하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풍력실험에서 얻어진 반력비를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컨테이너 크레인에 작용되는 풍하증과 지지점에서의 전도력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산유동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컨테이너 크레인 주위의 유동현상을 고찰하고 컨테이너 크레인 표면에서의 풍압력과 풍하중을 실험결과와 비교 ${\cdot}$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quivalent Static Wind Load Estimation of Large Span Roofs (대스팬 지붕구조물의 등가정적 풍하중 산정에 관한 연구)

  • Lee, Myung-Ho;Kim, Ji-Young;Kim, Dae-Young;Kim, Sang-Da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6 no.1 s.19
    • /
    • pp.83-90
    • /
    • 2006
  • The GF(Gust Factor) method is usually used as a method to evaluate equivalent static wind loads for general structures. The GF method is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hape of the equivalent static wind load profile is typically similar to that of mean wind loads. The shape of fluctuating wind loads could be quite different with that of the mean wind loads in case of large-span structures. So, the effect of higher modes as well as first mode must be considered to evaluate the wind loads. In this study, the ACS (Advanced Conditional Sampling) method is suggested to evaluate of equivalent static wind loads after investigating about GF and LRC method. The An method ran derive effective static wind loads by combining wind pressures and inertia forces of a structure chosen at a maximum load effect. The maximum load effect is assessed with the time history analysis using pressure data measured in wind tunnel tests. Equivalent static wind loads evaluated using ACS, GF, and LRC methods are compar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CS method.

  • PDF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for Estimation of Structure Responses due to Wind Load (풍하중으로부터 구조반응 추정을 위한 인공신경망 기법의 적용)

  • Moon, Jin-Cheol;Park, Hyo-Se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33.2-33.2
    • /
    • 2010
  • 고층건물의 최상층 수평변위는 해당 건물의 안전성 및 사용성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러한 건물의 수평변위는 주로 풍하중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구조반응을 풍하중에 기인한 풍속데이터로부터 직접 추정하기 위해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도입하였다 이에 대한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고층건물을 형상화한 모형테스트를 실시하고 풍향, 풍속, 변위 값을 얻었다. 이후 인공신경망에 적용시켜 실제 실험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Wind Load Models (국내 풍하중의 확률적 모형 개발)

  • 김상효;배규웅;박홍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2
    • /
    • pp.109-115
    • /
    • 1990
  • The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of wind loads have been analyzed using statistical data on wind speeds, pressure coefficient, exposure coefficient, and gust factor. The wind speed data collected at 25 nationwide weather stations have been modified to be consistent in measuring height, exposure condition as well as averaging time. Having performed Monte Carlo simulation for various heights and site conditions, the statistical models of wind loads were determined, in which Type-I extreme value distribution has been applied. The models also incorporate a reduction factor of 0.85 to account for the reduced probability that the maximum wind speed will occur in a direction most unfavorable to the response of structure.

  • PDF

Dynamic Analysis of Cable-Stayed Bridge Subjected to Random Wind Forces (랜덤풍하중에 대한 사장교의 동력학적연구)

  • Hyun, Chang Hun;Yun, Chung B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 no.4
    • /
    • pp.59-66
    • /
    • 1984
  • The dynamic behavior of a cable-stayed bridge due to random wind forces i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steady wind, the self-excited and the buffeting forces are studied. The dynamic analysis of the structure is carried out by the frequency domain method utilizing the mode superposition. Example analysis are performed for Dolsan Bridge, which is under construction at Yeosu, Jeonnam. Aerodynamic stability of the bridge is investigated and the vertical motion of the girder as well as the tension variations of the cables is obtained.

  • PDF

Study on Wind Load of Transmission Tower for Considering the Local Geometric Characteristics (국부 지형특성을 고려한 송전지지물 풍하중 산정 연구)

  • Shin, Koo-Yong;Nho, Hee-Won;Choi, Jin-Seong;Oh, Jang-Man;Pang, Hang-Kweon;Shin, Tae-Woo;Lee, Do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409_411
    • /
    • 2009
  • 국내의 송전선 지지물 설계는 전기설비기술기준과 한국전력공사 송전설계기준에 근거하여 적용되며, 철탑하중에 큰 비중을 갖는 풍하중기준은 1985년 기상청의 풍속 데이터를 반영하여 1987년경에 제정된 지침을 지금까지 적용하고 있다. 당시 제정된 설계기준에서는 지역별 풍속 차이에 따라 I, II, III, 지역 및 울릉도로 구분하여 차등 적용하는 설계개념으로 주변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지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송전지지물의 경우에는 동일한 풍하중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최근 해외 철탑설계기준과 국내 건축물 설계기준에서는 전산기술의 발달로 국부적인 지형영향을 고려하여 철탑별로 개별적인 풍하중을 산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송전선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는 군산-새만금 예정 경과지 가운데 지형조건을 고려한 풍속할증이 요구되는 개소에 대한 설계 풍하중 검토사례를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