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력발전 실증단지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72 seconds

육/해상 풍력실증연구단지조성 기획 연구

  • Jang, Mun-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53-264
    • /
    • 2005
  • 풍력발전시스템은 제품에 대한 실증이 반드시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국내실정에 적합한 풍력발전시스템의 개발과 보급을 위해서도 실증연구는 선행조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국제 규격에 합당한 풍력발전 성능평가와 현장 실증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실증단지를 국내에 조성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실정으로, 기초적인 자원분석과 주변환경평가 등을 거치면서 기본적인 실증단지 후보지들을 비교하여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전북 새만금지역, 병곡 영해 평야지구, 제주 동부해안지역 월정지구, 서부 해안지역 월령지구에 대하여 부지의 IEC 규격 적합성 검토, 인프라구축에 대한 적정성 검토, 주변 발전단지 조성가능성 및 발전사업에 대한 연계성 검토, 육해상 실증단지 구축 동일지 역 가능성 검토, 교육과 홍보에 대한 접근성 및 공사에 대한 접근성 검토, 부지 확장 및 향후 실증단지 운영과 관련하여 지자체와의 연계성 검토를 하였다.

  • PDF

Study the Analysis 60kv 80Mw HVDC on power system transient stability in Jeju-do (제주계통 60kv 80Mw HVDC의 과도안정도를 고려한 해석 연구)

  • Park, Kyoung-Ho;Lee, Wook-Hwa;Jung, Yong-Ho;Moon, Hyung-Bae;Na, Hyun-Kook;Lee, Deok-Jin;Yoon, Min-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68-269
    • /
    • 2011
  • 제주도는 내륙과 EJfdjwu 있는 섬으로 독특한 계통 특성을 가지고 있다. HVDC는 제주 계통을 내륙 계통과 연계시켜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주파수 유지를 담당하고 있다. 현 제주-해남 사이의 이외에 추가로 제주-진도 사이의 2단계 HVDC가 2011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1단계 HVDC와 풍부한 바람 자원을 이용한 풍력 발전 단지가 운영 중이고, 해안 풍력 발전 단지 뿐만 아니라 해상 풍력 발전단지도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제주도에 건설될 예정이기 때문에 향후 풍력 발전량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2013년 이후부터는 추가 건설될 2단계 HVDC와 현재 운영되고 있는 1단계 HVDC가 협조 운전을 하게 된다. 풍력 발전 단지의 증가와 추가 HVDC는 제주 계통의 전원 구성에 변화가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llowable Criteria for Sailing Ships at Offshore Wind Farms (해상풍력발전단지해역 선박 통항 허용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Ohn, Sung-Wook;Lee, Chang-Hyun;Kim, Cheol-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7
    • /
    • pp.841-847
    • /
    • 2018
  • Since global energy consumption and demand for energy have dramatically risen, a focus on environmental problems and sustainabil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Clean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have received attention among new renewable energy options as alternative energy resources. Due to maintenance and operational perspectives, offshore wind farms have been planned for installation in many coastal waters. However,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farms faces interference from existing maritime traffic along the planned areas. In order to safely and effectively govern marine traffic in the vicinity of wind farms and inner areas, standard criteria are suggested to allow vessels to sail the internal waters of offshore wind farm area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llowable criteria for sailing vessels and safety zones for offshore wind farms by investigating the local regulations of various offshore wind farm cases overseas. The commended inner safety zone of wind farms is proposed to be a distance of 150 % of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wind turbine rotor and a distance of 200 m from the outer wind turbine for the outer safety zone. Besides this, the allowable criteria for sailing vessels within a wind farm is proposed to have an air draft of 14.47 m south-west wind farm sea areas for a minimum margin to avoid hull contact through evaluation of the tide and height of a wind turbine.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establish vessel sailing criteria among adjacent offshore wind farms as well as vessel sailing criteria within a single offshore wind farm.

Application of 3D Picture Control to the Simulator to Visualize the Field Demonstration Data (실증 Data 시각화를 위한 풍력시스템 Simulator 3D 시각화 작업 구현)

  • Choi, Hyojin;Kim, Young Chan;Chun, Chinw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7-187
    • /
    • 2010
  •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전력변환 시스템을 연구개발하기 위해서는 바람의 특성을 실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모의시험장치인 시뮬레이터가 요구된다. 모의시험장치는 바람을 받아 회전하는 블레이드 대신 풍속 값을 입력하여 전동기가 발전기에 토오크(torque)를 공급하게 된다. POSTECH 풍력에너지연구소는 2003년 750kW급 KBP-750D 풍력발전기용 모의시험장치에 이어, 2007년 2MW Gearless형 풍력발전기(KBP-2000M)의 400:1 축소모델인 5.83kW 모의시험 장치를 제작 완료하였다. (주)플라스포사는 모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고효율의 전력변환장치 설계와 인버터 시스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주)유니슨은 2MW 풍력발전기용 통합연동제어 시스템을 제작 완료하여 2009년부터 대관령 실증단지에 초도품을 설치하고 실증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은 대관령 실증단지에서 실시한 2MW 풍력시스템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풍향과 풍속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쉽게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3D모델 처리방안을 적용하여 모의시험 장치에 구현한 내용이다. 풍력발전기 개발은 현재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연구개발 단계에서 풍력발전기의 발전 및 제어부분의 기능적 안정성 확보와 효율성 증대를 위한 적절한 시험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타워를 건설하고 회전자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시험한다는 것은 설치 공간과 비용의 제약이 따른다. KBP-2000M (2MW) 모의시험장치는 풍력발전기와 같은 대형장비를 연구 개발하는데 필수적이며, 실증을 통해 획득한 Data를 적용함으로서 재품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성능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하다. 실증 Data를 시각적으로 3D로 표현함으로서 현장의 풍속/풍향 변화를 사실감 있게 느끼게 되었다. 앞으로도 풍력발전기를 연구개발하거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제어와 안전을 위한 연동장치를 갖춘 스케일 다운된 모의시험장치 구축이 요구될 것이다. 풍력발전기의 실증과정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모의시험장치에 적용(Feedback)하여 지속적인 성능향상을 높여나갈 것이다.

  • PDF

해상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부유식 플랫폼 형식에 대한 기술보고

  • Jeong, Tae-Yeong;Mun, Seok-Jun;Im, Chae-Hwan
    • 기계와재료
    • /
    • v.22 no.2
    • /
    • pp.72-81
    • /
    • 2010
  • 본고에서는 유럽, 미국, 일본에서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는 해상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부유식 플랫폼에 대한 연구활동 및 기술내용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이 실증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실증을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 늦어도 10년 내에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조성이 가시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고를 통하여 지금까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시스템으로 제안된 여러 가지 형태의 개념설계안을 검토하였다. 육지 면적이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반면에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풍력발전 시스템 자체의 성능을 예측하고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해상에서 이를 지지하는 플랫폼의 거동예측 프로그램을 결합한 시스템적인 설계해석 프로그램의 자체개발 및 보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풍력발전 분야의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플랫폼을 설계할 수 있는 해양공학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융합연구가 요망된다.

  • PDF

Test site of hybrid generation system based on wind generation (풍력기반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실증단지)

  • Lee, Hwa-Chun;Lee, Yul-Jae;Kim, Jong-Kwon;Yu, Gi-Hyung;Song, Sung-Guen;Shim, Kwan-Shik;Nam, Hae-Kon;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103-104
    • /
    • 2010
  • 최근 풍력발전의 이용률과 연료비 절감을 위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달리 인버터가 불필요한 시스템을 제안하며, 현재 실증단지에 구축된 설비에 대해 소개한다.

  • PDF

Assessment for Development Capacity of Offshore Wind Power Around Korean Peninsula (국내 해역의 해상풍력 개발 가능량 평가)

  • Kim, Ji-Young;Kang, Keum-Seok;Oh, Ki-Yong;Lee, Jun-Shin;Jang, Moon-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00-503
    • /
    • 2009
  • 국내 해역의 해상풍력 개발 가능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풍황, 수심 등을 고려하여 개발 가능량을 추정하였다. 풍력등급 3 이상, 수심 50 m 이내의 영역에 대하여 사회.환경적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제약조건을 반영하여 개발 가능량을 산출하였으며, 현재의 기술수준으로 개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수심 30 m 이내의 영역에 대한 개발 가능용량이 약 11 GW 정도로 추정됨에 따라 풍력발전 용량을 2030년까지 7.3 GW 이상 확보하고자 하는 국가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의 달성 가능성이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는 해상풍력 개발단지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입지 선정 후 기상관측, 환경영향조사 등의 세분화된 단지조사를 통한 해상풍력 실증단지 설계 및 경제성 평가 등이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 PDF

Commissioning Test of the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type 25MVA HVDC Pilot Project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type 25MVA HVDC 실증단지 Commissioning Test)

  • Jeong, Jong-kyou;Jung, Hong-ju;Yoo, Hyun-ho;Park, Yong-hee;Lee, Doo-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282-283
    • /
    • 2017
  • 본 논문은 (주)효성 중공업연구소에서 국책과제를 통해 자체 개발한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type ${\pm}12kV$ 25MVA HVDC 시스템에 대하여 실증단지 구축 및 commissioning test에 대한 소개를 한다. 제주에 구축된 HVDC 실증단지는 국내 유일의 MMC type 전압형 HVDC 시스템이며 11-레벨의 AC 출력 전압을 형성하는 2개의 컨버터가 Back-to-Back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각 컨버터의 AC 출력단은 각각 계통과 풍력발전단지에 연계되어 풍력발전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계통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AC/DC Yard 기기들로는 AC 고조파 필터, 밸브리액터, DC 리액터, 변압기, CGIS등이 있다. HVDC 의 commissioning test를 위해 IEEE, IEC, Cigre TB 등의 문서들을 종합 분석하여 당사의 시스템에 알맞은 시험절차서와 검증항목을 준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당사에서 준비한 시험절차서 및 검증항목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easibility Study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Farm (풍황 및 계통여건을 고려한 강원지역 풍력실증단지 적정입지 분석)

  • Lee, Jung-Eun;Cheong, Jong-Chan;Kee, Woo-Bong;Kim, Hyun-Han;Lee, Kue-Sam;Kim, Kwang-Ho;Jang,, Gil-Soo;Kang,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768-769
    • /
    • 2007
  • 국내의 풍력자원과 계통자원을 함께 고려해 강원도 풍력발전단지의 최적입지 타당성을 검증. 국내의 풍황 자료를 조사하고 우수한 지역 5곳을 선정한 후, WASP 프로그램을 이용해 최대 에너지 생산 가능한 지역에 풍력발전기의 배치를 결정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Wind Turbine Test Sites Based on Hierarchical Architecture (계층적 구조를 갖는 풍력발전 실증단지 원격 풍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Cho, Byung-Ha;Lee, Jeong-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6 no.9
    • /
    • pp.81-87
    • /
    • 2009
  • In this paper,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wind turbine site is developed. This system is a hierarchical reliable monitoring system connec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monitoring host computer and modular slave measuring subsystems. The design of this systems; the slave measuring subsystems is placed in meteorological tower and wind turbine, and the supervisory host computer is in the safety zone. The slave measuring subsystems signals are from a meteorological tower, wind turbine generator and tower. For monitoring and command function, the supervisory computer is implemented with a PC using graphic user interface. This system can be transferred the information among host computer and remote computers through the Ethernet. Consequently we can get reliability but economic system. The system has the concept of universality and modularity, so it is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in wind turbine test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