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품질표시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미국의 타이어 품질등급제(UTQGS)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80
    • /
    • pp.31-40
    • /
    • 1979
  • 1976년에 실시예정이었던 미국의 타이어 품질등급제(UTQGS)가 79년 3월부터 실시될 것 같다. UTQGS란 ①Tread 마모성능, ②Traction 성능, ③고속성능 등에 대해서 각각의 품질등급을 타이어에 표시할 것을 의무화시켜, 사용자가 타이어를 구입하는 경우 선택하기 쉽도록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것은 당초 76년 1월부터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주로 Tread 마모성능의 테스트 방법과 표시방법을 둘러싸고 미국 High Way 안전청(NHTSA)과 미국의 타이어 메이커 간에 소송까지 벌어져서 그 실시가 지연되었다. 제1심에서는 타이어 메이커 측이 패소하여 타이어 메이커는 즉시 상소하였으나, 기간 재판의 진행 상태로 보아 UTQGS가 실시될 정망이 농후해졌다. 그러나 NHTSA는 내년부터 실시되는 동법령중에서 Radial을 제외하고 있어서, 세계의 주류로 되어 있는 Radial 타이어를 제외 하는 것은 「UTQGS의 효과를 반감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 PDF

LCD 연구 개발 동향

  • 이종천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6
    • /
    • pp.76-80
    • /
    • 2002
  • 'Liquid Crystal의 상전이(相轉移)와 광학적 이방성(異方性)이 1888년과 1889년 F. Reinitzer와 O. Lehmann에 의해 Monatsch Chem.과 Z.Physikal.Chem.에 각각 보고된 후 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인 1950년대 까지는 Liquid Crystal을 단지실험실에서의 기초학문 차원의 연구 대상으로만 다루어 왔다. 1963년 Williams가 Liquid Crystal Device로는 최초로 특허 출원을 하였으며, 1968년 RCA사의 Heilmeier등은 Nematic 액정(液晶)에 저주파(低周波) 전압(電壓)을 인가하면 투명한 액정이 혼탁(混濁)상태로 변화하는 '동적산란(動的散亂)'(Dynamic Scattering) 현상을 이용하여 최초의 DSM(Dynamic Scattering Mode)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발명하였다. 비록 150V 이상의 높은 구동전압과 과소비전력의 특성 때문에 실용화에는 실패하였지만 Guest-Host효과와 Memory효과 등을 발견하였다. 1970년대에 이르러 실온에서 안정되게 사용 가능한 액정물질들이 합성되고(H. Kelker에 의해 MBBA, G. Gray에 의한 Cyano-Biphenyl 액정의 합성), CMOS 트랜지스터의 발명, 투명도전막(ITO), 수은전지등의 주변기술들의 발전으로 인하여 LCD의 상품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1971년에는 M. Shadt, W. Helfrich, J.L. Fergason등이 TN(Twisted Nematic) LCD를 발명하여 전자 계산기와 손목시계에 응용되었고, 1970년대 말에는 Sharp에서 Dot Matrix형의 휴대형 컴퓨터를 발매하였다. 이러한 단순 구동형의 TN LCD는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데에는 품질의 한계가 있어 1979년 영국의 Le Comber에 의해 a-Si TFT(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LCD의 연구가 시작되었고, 1983년 T.J. Scheffer, J. Nehring, G. Waters에 의해 STN(Super Twisted Nematic) LCD가 창안되었고, 1980년 N. Clark, S. Lagerwall 및 1983년 K.Yossino에 의해 Ferroelectric LCD가 등장하여 LCD의 정보 표시량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Color화의 진전은 1972년 A.G. Ficher의 셀 외부에 RGB(Red, Green, Blue) filter를 부착하는 방안과, 1981년 T. Uchida 등에 의한 셀 내부에 RGB filter를 부착하는 방법에 의해 상품화가 되었다. 1985년에는 J.L. Fergason에 의해 Polymer Dispersed LCD가 발명되었고,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동화상(動畵像) 표시가 가능한 a-Si TFT LCD의 시제품(試製品) 개발이 이루어지고 1990년부터는 본격적인 양산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1990년대 초에는 STN LCD의 Color화 및 대형화(大型化) 고(高)품위화에 힘입어 Note-Book PC에 LCD가 본격적으로 적용이 되었고, 1990년대 후반에는TFT LCD의 표시품질 대비 가격경쟁력 확보로 인하여 Note-Book PC 시장을 독점하기에 이르렀다. 이후로는 TFT LCD의 대형화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고, 1995년 삼성전자는 당시 세계최대 크기의 22' TFT LCD를 개발하였다. 또한 LCD의 고정세(高情細)화를 위해 Poly Si TFT LCD의 개발이 이루어졌고, 디지타이져 일체형 LCD의 상품화가 그 응용의 폭을 넓혔으며, LCD의 대형화를 위해 1994년 Canon에 의해 14.8', 21' 등의 FLCD가 개발되었다. 대형화 방안으로 Tiled LCD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1995년에 Sharp에 의해 21' 두장의 Panel을 이어 붙인 28' TFT LCD가 전시되었고 1996년에는 21' 4장의 Panel을 이어 붙인 40'급 까지의 개발이 시도 되었으며 현재는 LCD의 특성향상과 생산설비의 성능개선과 안정적인 공정관리기술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에서 단패널 40' TFT LCD가 최근에 개발되었다. Projection용 디스플레이로는 Poly-Si TFT LCD를 이용하여 $25'{\sim}100'$사이의 배면투사형과 전면투사형 까지 개발되어 대형 TV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1세기 디지털방송 시대를 맞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 TV, 액정표시장치 (LCD)TV, 강유전성액정(FLCD) TV 등 2005년에 약 1500만대 규모의 거대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른바 '벽걸이TV'로 불리는 차세대 초박형 TV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세계 가전업계들이 양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벽걸이TV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더라도 PDP TV와 LCD TV가 직접적으로 시장에서 경쟁을 벌이는 일은 별로 없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디지털TV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면 40인치 이하의 중대형 시장은 LCD TV가 주도하고 40인치 이상 대화면 시장은 PDP TV가 주도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직시형 중대형(重大型)디스플레이는 그 가격이 너무 높아서 현재의 브라운관 TV를 대체(代替)하기에는 시일이 많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대안(代案)으로는 비교적 저가격(低價格)이면서도 고품질의 디지털 화상구현이 가능한 고해상도 프로젝션 TV가 유력시되고 있다. 이러한 고해상도 프로젝션 TV용으로 DMD(Digital Micro-mirror Display), Poly-Si TFT LCD와 LCOS(Liquid Crystals on Silicon) 등의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다.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형 디스플레이의 시장이 예상 외로 급성장하고 있으며, 요구되는 디스플레이의 품질도 단순한 문자표시에서 그치지 않고 고해상도의 그래픽 동화상 표시와 칼라 표시 및 3차원 화상표시까지 점차로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LCD의 시장규모는 적용분야 별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새로운 응용분야의 시장도 성장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LCD기술의 연구개발 방향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첫째로는, 현재 양산되고 있는 LCD 상품의 경쟁력강화를 위하여 원가(原價) 절감(節減)과 표시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둘째로는, 새로운 타입의 LCD를 개발하여 기존 상품을 대체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LCD기술개발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원가 절감 2) 특성 향상 3) New Type LCD 개발.

  • PDF

미,승용차용타이어 품질등급제공시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61
    • /
    • pp.28-35
    • /
    • 1975
  • 미국 운수성은 5월 28일자로 9년간에 긍해서 논쟁되어왔든 승용차용 타이어의 품질등급제의 최종안을 공시했다. 이 법률은 (1)트랫드마모성, (2)트랙숀성능, (3)내열(고속)성능의 3자에 대하여 품질성능을 타이어에 표시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것. 이 품질등급제가 미국의 타이어 시장에 가지고오는 영향은 크다고 보여지고 있다. 그래서 이 품질등급제가 생긴 배경. 그 내용에 대해서 타이어 메이커어의 담당자로 부터 들어보았다. 겸하여 최종안의 전문을 게재한다.

  • PDF

Development of a mobile service application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food that uses the information marked on the processed food labels (가공식품라벨 표시정보를 활용한 식품 품질 평가 모바일 서비스 앱 개발)

  • Jang, dai-ja;Kim, hee-jin;Kim, yu-ra;Song, yu-jung;Lee, seung-yong;Jang, gu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73-174
    • /
    • 2013
  • 본 연구는 시판 중인 가공식품 라벨 표시정보를 수집하여 표시사항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개인의 용도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모바일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시판중인 가공식품 라벨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원재료 영양정보 첨가물정보 함량 기준 등이 매우 난해하게 혼재되어 소비자가 라벨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소비자 지향적인 식품표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행 식품위생법의 식품표시기준에 따른 원재료, 첨가물, 영양성분 등 카테고리별로 정보를 재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렇게 재가공한 정보를 토대로 소비자들이 가공식품 라벨표시 정보를 보다 과학적이고 명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모바일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활용하였다.

  • PDF

정부 시책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NEWSLETTER 전기공업
    • /
    • no.94-16 s.113
    • /
    • pp.12-21
    • /
    • 1994
  • PDF

The effects of video quality by LED background image in the broadcasting lighting (방송조명에서 LED 배경화면이 영상품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Yong-Kyu;Kim, Kyung-Ho;Lee, Seon-Hee;Choi, Seong-Jh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1
    • /
    • pp.76-88
    • /
    • 2010
  • Recently, LED background image devices are used for the production of broadcasting programs. But the effective advantages of LED background image devices are not realized for good HD video quality because the correlations between lighting sources and LED background image devices are not analyzed ye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lor change and light intensity that lighting sources and the light intensity ratio of LED background images influence on a subject, making use of equipments used in real broadcasting, and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HD video quality and the light intensity ratio of LED background images. As a result in this experiment, the video is most expressed having an 20[IRE] effect on a subject when the light intensity of LED background image is 6%. When the LED background image is light, the light and darkness of video is distorted and when the LED background image is dark, the colors of image are distorted.

Consumers' Attitude toward Care Label Instructions and Care of Winter Outerwear (겨울 아우터웨어의 품질표시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관리)

  • Han, Ho-Jung;Chung, Hae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8 no.6
    • /
    • pp.942-952
    • /
    • 2014
  • Winter outerwear includes various clothes such as classical jackets/coats, padded jackets/coats, wind breakers, leather and fur jackets/coats. This research surveyed care-label instructions attached to 100 jackets/coats dropped off at five drycleaners in the Gyungin area.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s care labels and management of winter outerwear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from 230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es, t-tests, ANOVAs and Duncan tests with PASW 20.0. Half of the padding jackets/coats were labelled to be dry cleaned and dry cleaning was more excessively labelled than necessary. University students confirmed more care symbols than fiber compositions such as more at time of cleaning than at purchasing. Clothing-related major students understood care label symbols better than non-clothing major students. Consumers laundered some winter outerwear at home, even though they thought dry cleaning was a proper cleaning method. The appropriate cleaning method for padded jackets/coats is laundering; however, consumers who answered dry cleaning as an appropriate method were three times as those who answered washing, and those performed dry cleaning were two times as those who performed washing. Winter outerwear manufacturers should provide adequate and more specified care-information to consumers in order to maintain initial appearance and performance over longer peri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