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품질인증

Search Result 71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Construction of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and Process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체계 및 프로세스의 구축)

  • Yang, Hae-Sool;Lee, Ha-Yong;Jung, Hy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21-324
    • /
    • 2005
  • 소프트웨어 개발 기관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자체적인 품질관리 부서나 제3자 기관의 소프트웨어 품질감리와 평가를 통한 객관적인 품질향상 방안들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 차원에서도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및 인증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공인함으로써 개발기관에서도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구매자로 하여금 품질이 인증된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소프트웨어 품질 문제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위험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최근,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및 인증에 관한 국가적인 체계가 구축되고 실질적인 인증활동이 수행되고 있으나 인증의 관점에서 확립되어 있는 표준화된 절차가 미흡하여 품질인증을 위한 표준적인 절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기관의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체계와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품질인증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각 단계별 세부 절차 및 각 절차별 활동을 구축하였다.

  • PDF

A Study on Generic Quality Model from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French Evaluation Criteria for e-Learning Quality Assurance of Media Convergence (한국과 프랑스의 IT융합 이러닝 품질인증 평가준거 비교와 일반화 모형 연구)

  • Han, Tea-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3
    • /
    • pp.55-64
    • /
    • 2017
  •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t categories and items about evaluation criteria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by comparing evaluation criteria between Korea and France case. For deriving the conclus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Korea quality assurance case which is consist of success or failure for evaluation of quality assurance, and built the generic quality model of e-learning evaluation criteria. A generic model about evaluation criteria, categories, and item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which should be reflected on French quality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statistical approach. This research suggests a evaluation criteria which can be applied to African and Asian countries, that are related to AUF, as well as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ll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which prepare for e-learning quality assurance,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a valuable resource for companies or institutions which want to be evaluated e-learning quality assurance.

ISO Certification and Software Quality Improvement (ISO 인증과 소프트웨어 품질향상)

  • 김기재;이길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54-857
    • /
    • 2002
  •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에 관한 많은 이론연구 및 소프트웨어 산업체의 ISO 품질인증 획득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고객만족에 충분한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품질에 대한 고객의 기대가 높은 것도 있지만, ISO 품질인증의 목적을 고객만족에 두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수요공급 체계의 한가지 자격쯤으로 여기는 산업체의 현실이 그 주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물론 ISO 품질인증을 받기 위한 노력과 실제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ISO 품질인증 수검 자체만으로 품질향상을 기대하기란 어렵다고 본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개발 현장에서의 현실적인 품질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을 위한 기초연구)

  • Kim, Jae-Myeong;Choi, Yun-Soo;Seo, Jae-Pil;Chang, Eun-Mi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4
    • /
    • pp.33-43
    • /
    • 2011
  •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operating various certification systems to protect their consumers, and these systems have become trade barriers between countries. Also, KS and KCC were not designed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plan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through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Secondly, we set the boundary, factors and process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through classifying it in detail. Lastly, we suggested about fundamental concept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a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A Reference Model for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위한 참조 모델)

  • 김우식;오재원;윤경환;이종원;우치수;장우현;이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26-528
    • /
    • 2001
  •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의 동향을 살펴보면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대해서 개발자와 사용자가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품질 인증을 위한 인증 기관들이 점차 설립되고 있다. 하지만 인증 기관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인증 방법과 체계를 일반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인증 대상에 제약을 가져오며 일반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에 적합하지 않는 인증 프로세서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일단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인증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증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서 새로운 인증 체계의 정립을 위한 인증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FILK 인증업체 초정간담회

  •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 Fire Protection Technology
    • /
    • s.25
    • /
    • pp.3-4
    • /
    • 1998
  • 오래전부터 선진외국의 방재산업분야는 UL(미국), LPCB(영국), Vds(독일) 등의 민간전문기관에 의한 품질인증제도를 통하여 상품의 품질향상과 기술개발을 추구해 오고 있다. 특히, WTO체제 출범에 따른 세계 시장개방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상품이 대외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국제기준에 의한 품질인증제도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민간단체에 의한 자율적인 품질인증제도의 활동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는 실정에 있다. 이에 방재시험연구소에서는 국내 품질인증제도의 발전과 아울러 민간단체 인증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FILK인증업체 초청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 PDF

품질경영시스템(ISO9001)인증

  • Korea Far Infrared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 Far Infrared Association
    • /
    • s.16
    • /
    • pp.63-67
    • /
    • 2003
  •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규격을 칭하며 각 기업은 이 체제 구축 후 제 3차인 외부인증기관으로부터 객관적인 심사를 거쳐 인증을 취득하는 제도이다. 좋은 품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프로세스). 즉, 시스템에 대한 인증이며, 모든 업종에서 그 인증이 가능하다.

  • PDF

이슈 & 이슈 - 건설부문 서비스품질 인증제도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3
    • /
    • pp.64-68
    • /
    • 2009
  • 제조업과 유통업 등을 대상으로 했던 '한국서비스품질우수기업 인증'이 건설업 부문으로 확대되면서 건설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서비스품질우수기업 인증제도는 기업 및 국가 경쟁력 제고와 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권익보호를 위해 서비스 품질에 대해 이뤄지는 유일한 정부 인증으로 재단법인 키캄연구소(KICAM : 한국건설경영연구소)가 절차를 진행하고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인증서를 발급해 준다. 2001년 시행된 이래 현재까지 800여 개 제조 유통업체 및 공공기업이 인증을 획득했고, 지난 9월부터는 고객서비스를 중시하는 건설산업 구조변화를 반영해 건설부문에도 시행됐다. 건설업 서비스품질 인증은 아파트 분양에서부터 입주, 사후관리까지 모든 단계의 사전 사후서비스 프로세스는 물론 서비스 품질문화 달성을 위한 리더십 등 추진력 부문, 고객만족 추진체계 등 시스템 부문, 서비스 경영성과 부문 등을 평가지표에 따라 종합 심사하게 된다. 특히 현장평가와 고객평가, 그리고 암행평가를 토대로 기술표준원 인증심사위원회에서 1000점 만점에 800점(중소기업은 700점) 이상을 획득한 기업에 한해 우수기업으로 인정해 준다. 건설업 서비스품질 인증제도에 대해 살펴본다.

  • PDF

Construction of Process for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소프트웨어 품질인증을 위한 프로세스의 구축)

  • Lee, Ha-Yong;Hwang, Suk-Hyung;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003-2006
    • /
    • 2002
  •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품질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발견해서 보완하는 과정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및 인증에 관한 국가적인 체계가 구축되고 실질적인 인증활동이 수행되고 있으나 인증의 관점에서 확립되어 있는 표준화된 절차가 미흡하여 효과적인 품질 평가 및 인증을 위한 절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평가를 위한 프로세스로서 ISO/IEC 14598이 6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표준화되는 과정에 있으며, 이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품질평가에 적용하거나 품질향상을 도모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SO/IEC 14598의 품질평가 프로세스 중에서 소프트웨어 평가자가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인 ISO/IEC 14598-5를 중심으로 품질 시험 인증의 관점을 고려한 절차에 관해 기술하였다.

  • PDF

ZOOM-IN - 5월 광학신기술품질인증사업

  •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69
    • /
    • pp.26-26
    • /
    • 2017
  •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에서는 광학업체들의 R&D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광학 신기술 품질 인증사업'(이하 품질인증사업)를 실시하고 있다. 품질인증사업은 광학업체가 개발한 신기술을 전문위원회가 성능, 안전성, 신뢰성 등 엄격한 품질기준으로 평가해 광학업체들의 기술개발 촉진 및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프로그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