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특성

Search Result 4,445,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arallel Programming Environment using Graph Type Intermediate Representation Form (그래프 중간표현 형태를 기반으로 한 병렬 프로그래밍 환경의 설계 및 구현)

  • 이원용;박두순;송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50-85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병렬 프로그램 작성을 도와주는 병렬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병렬 프로그램은 다양한 하드웨어의 특성에 따라 또는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병렬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병렬화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그래프 중간 표현 형태를 그래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였다. 이 병렬 환경에서는 프로그램 편집기능, 종속성 분석기능, 루프 변환기능, CFG, DPG, HTG등 중간 코드를 그래프 중간 표현 형태를 통해 보여 줌으로 최적의 병렬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 PDF

감성표현의 객관화를 위한 직물의 압축 점탄성 특성 해석

  • 강재식;권영하;강대임;박연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444-448
    • /
    • 1998
  • 사람이 손끝으로 직물을 누르며 문지를 때 느끼는 감정을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연구의 필요성은 계속 증대되고 있다. 일본의 가와바타 교수는 직물의 역학적/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여 Hand value로서 객관화 시켰다. 가와바타 시스템에서는 직물을 손으로 누를 때의 탄력성, 따뜻한 느낌이 동반된 두꺼움(Fullness It softness)을 'FUKURAMI'라는 감각표현용어를 사용하여 이 주관적인 느낌을 객관화 시켰다. (중략)

  • PDF

Representation of Uncertain Time Information (불확실한 시간정보 표현)

  • 김희철;오경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 no.2
    • /
    • pp.43-54
    • /
    • 1991
  • 임시지식을 표현하고 추론하는 것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로 되어왔다. 그런데 우리는 또한 일상생활에서 불확실성을 지니고 있는 임시지식을 자주 대하게 된다. 최근에 Dubois와 Prade는 시간의 기본단위로 시간점을, Dutta는 구간을 사용하여 이를 표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구간을 시간의 기본단위로 하면서 그 구간들이 점들과 같은 순서구조를 갖는 특성을 가진 새로운 표현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간단한 추론규칙들을 제시하며 발생시기가 불확실한 사건들사이의 임시관계를 표현하되 convex한 사건과 non-convex한 사건을 나누어 설명한다.

  • PDF

멀티스케일 파라다임과 웨이블렛

  • 김윤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25-37
    • /
    • 2002
  • 모든 과학 및 공학분야에 걸쳐, 신호나 함수를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만약 신호나 함수를 적절하게 잘 표현하게 되면, 그것들 속에 내재된 의미있는 물리적 현상을 쉽게 파악할 수도 있고, 최소한의 함수나 데이터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지난 10여년 동안 비약적 발전을 해온 ‘웨이블렛’이라는 것도 신호나 함수를 표현하는 새로운 도구인데, 이것이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는 웨이블렛이 전통적인 표현방법이 제공하지 못하는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중략)

  • PDF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for Dynamic Gesture Recognition (동적 제스쳐 인식을 위한 지식 표현 기법)

  • 고일주;최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5.10b
    • /
    • pp.293-299
    • /
    • 1995
  • 본 논문은 컴퓨터 시각을 이용하여 동적 제스쳐를 인식하기 위한 효율적인 지식 표 현 기법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제스쳐란 시각적인 언어로서 소리를 대신하여 몸짓이나 손 짓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의도를 전달하는 보조적인 의사 전달 수단이다. 제안된 기법 은 여러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총체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한 다. 프레임 지식을 물체의 특성을 표현하는 객체 지식,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행동 지 식, 그리고 객체 지식과 행동 지식의 순서화 된 집함으로써 동적인 제스쳐를 표현하는 스키 마로 분류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Lee, Mihwa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7 no.3
    • /
    • pp.71-94
    • /
    • 2016
  •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for FRBRization. ICP, FRBR/FRAD and RDA as the content rules were referred as the framework for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LC RDA authority records examples, JSC of RDA authority examples, and VIA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were analyzed as case studies. 5 findings were suggested. First, authority records consist of name,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which are inter-related. Second, the construction of authorized access points was suggested according to 5 work types. Third, the consideration in describing work attributes as separate element and as part of an authorized access point, and othe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work were suggested. Fourth, the consideration in describing expression attributes as separate element and as part of an authorized access point, and othe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on were suggested. Fifth, 5XX was suggested for linking between work and expressio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revise KCR4.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cting (매체연기 특성 연구)

  • Park, Ho-Young;Min, Ky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8
    • /
    • pp.159-169
    • /
    • 2011
  • Due to media's characteristics, the methods of acting expression in stage differ from that in media. However, actors playing in either genre use the same internalization as the basis of their performance. The acting arising from actors' internalization is the same in stage acting and media acting. Nevertheless, media acting, by its genre characteristics, requires a more delicate and natural acting than that in stage acting. Such is because media acting shows a far more detailed and amplified performance that is shown on scre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o differentiat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edia acting from the expression methods of stage acting. Through this research, I attempt to present the expression methods of media acting that can show real life acting reflecting media's distinct characteristics, with the aim of benefiting students who practice media acting or professional actors. Diverse expression methods presented by training of media acting are expected to enable actors engaged in this field to produce excellent outcomes through acting training to successfully bring out a realistic and convincing performance through internalization. And together with the opportunity to build delicate and detailed acting styles that are required in media acting, acting style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stage acting will also be discussed.

Implementing a Web-based Seed Phenotype Trait Visualization Support System (웹 기반 종자 표현체 특성 가시화 지원시스템 구현)

  • Yang, OhSeok;Choi, SangMin;Seo, DongWoo;Choi, SeungHo;Kim, YoungUk;Lee, ChangWoo;Lee, EunGyeong;Baek, JeongHo;Kim, KyungHwan;Lee, HongR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5
    • /
    • pp.83-90
    • /
    • 2020
  • In this paper, a web-based seed phenotype visualization support system is proposed to extract and visualize data such as the surface color, length, area, perimeter and compactness of seed, which is phenotype information from the image of soybean/rice seeds. This system systematically stores data extracted from seeds in databases, and provides a web-based user interface that facilitates the analysis of data by researchers using data tables and charts. Conventional seed characteristic studies have been manually measured by humans, but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allows researchers to simply upload seed images for analysis and obtain seed's numerical data after image processing.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ystem will be able to obtain time efficiency and remove spatial restriction, if it is used in seed characterization research, and it will be easy to analyze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of research results and visualization of the phenotyp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