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중심

Search Result 3,10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njunc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Individuation and Circumambulation of The Psyche: Focusing on the Hexagram Bi, Pi (比) and Hexagram Gon, Kun (坤)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 및 개성화와 정신의 순환: 수지비괘(일양오음괘)와 중지곤괘를 중심으로)

  • Hyeon Gu Lee
    • Sim-seong Yeon-gu
    • /
    • v.38 no.1
    • /
    • pp.1-44
    • /
    • 2023
  • Hexagram Bi (比 ䷇ 8) is one of the hexagrams comprised of one-unbroken line and five-broken lines.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symbolize the relationship and dynamics between one yang-consciousness and the five-yin unconsciousness. The hexagram of one-unbroken line and five-broken lines has six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ne unbroken line from the beginning line to the top line. In terms of psychology, this means that the position change of one yang line in relation to five yin lines may symbolize the function of consciousness which clarifies and determines the content of the psyche. In addition, the flow of psychic energy can be examined through the process of one unbroken line's movement. In other words, the psychic contents of the beginning line of hexagram Bok (復 ䷗ 24), which is the beginning of the hexagram of one-unbroken line and five-broken lines, proceed sequentially, and then arrive at the process of the last sixth, hexagram Bak (剝 ䷖ 23) through the fifth, the hexagram Bi (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nt of the hexagram and the lin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one unbroken line show a certain psychic flow. As a result, the first hexagram Bok (復 ䷗ 24), after recovering and starting newly, means the beginning of consciousness. After that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the second, third, and fourth lines represents the flow of consciousness. And in the fifth place, the fifth line of hexagram Bi, it reaches its peak and is placed in the optimal state of consciousness because of its right and centered position at this hexagram Bi. Like nature, the psyche gradually enters the path of decline from the highest state, which leads to the last sixth, the top line of hexagram Bak. However, the top line of the hexagram Bak, where everything falls off, contains the content of starting again in its top line. It is the beginning line of hexagram Bok to inherit this. This means the circumambulation of the psyche that changes from a psychologically difficult state of depression to a stage of recovery. There is a stage that must be passed in this circulation process, and that is the hexagram Gon (坤 ䷁ 2). October(tenth month)'s hexagram Gon is placed between hexagram Bak, the nin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nd hexagram Bok, the eleven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This represents that the flow of recovery must go through a maternal process of hexagram Gon. The retreat to the psychological uterus is inevitable in regenerating the psyche. This process flows from the hexagram Bak and through hexagram Gon to the hexagram Bok. At this situation the hexagram Gon acts the absolutely necessary role. 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including the Bi hexagram, is also the Gon hexagram composed of six-broken lines. In other words, all six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Gon hexagram, and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nbroken lines of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and the corresponding broken lines of the hexagram Gon. This can be said to be the dynamics of the maternal unconscious connected to the state of consciousness in six forms. Therefore, each hexagram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symbolizes the expression of the integration the mother archetype with the consciousness. Revealing this well is the meaning of the hexagram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Its hexagram image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Gon (☷), which symbolizes the mother, and the thunder (☳) the eldest son, the water (☵) the middle son and the mountain (☶) the third son. As a result, the hexagram Bok (復 ䷗ 24), Sa (師 ䷆ 7), Gyeom (謙 ䷠ 15), Ye (豫 ䷏ 16), Bi (比 ䷇ 8) and Bak (剝 ䷖ 23) are sequentially created in the order of the unbroken line. This is symbolically the evolutionary process of consciousness. In this way,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which mean the conjunction of mother and son, represent the adva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unconscious and consciousnes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on is related to the dynamics of mother archetype to the attitude of consciousness. The psychological meaning can be deduced from the flow of six lines of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And the state in which the activation of the consciousness is at its peak is the fifth line of the hexagram Bi, and comparing it with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fifth line of hexagram Gon not only can find the state and meaning of the conjunc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maternal unconscious, but the entire flow can be compared to the individuation process.

과학자(科學者)의 정보생산(情報生産) 계속성(繼續性)과 정보유통(情報流通)(2)

  • Garvey, W.D.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6 no.5
    • /
    • pp.131-134
    • /
    • 1973
  • 본고(本稿)시리이즈의 제1보(第一報)에서 우리는 물리(物理), 사회과학(社會科學) 및 공학분야(工學分野)의 12,442명(名)의 과학자(科學者)와 기술자(技術者)에 대한 정보교환활동(情報交換活動)의 78례(例)에 있어서 일반과정(一般過程)과 몇 가지 결과(結果)를 기술(記述)한 바 있다. 4년반(年半) 이상(以上)의 기간(其間)($1966{\sim}1971$)에서 수행(遂行)된 이 연구(硏究)는 현재(現在)의 과학지식(科學知識)의 집성체(集成體)로 과학자(科學者)들이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한 때부터 기록상(記錄上)으로 연구결과(硏究結果)가 취합(聚合)될 때까지 각종(各種) 정형(定形), 비정형(非定形) 매체(媒體)를 통한 유통정보(流通情報)의 전파(傳播)와 동화(同化)에 대한 포괄적(包括的)인 도식(圖式)으로 표시(表示)할 수 있도록 설정(設定)하고 또 시행(施行)되었다. 2보(二報), 3보(三報), 4보(四報)에서는 데이터 뱅크에 수집(蒐集) 및 축적(蓄積)된 데이터의 일반적(一般的)인 기술(記述)을 적시(摘示)하였다. (1) 과학(科學)과 기술(技術)의 정보유통(情報流通)에 있어서 국가적(國家的) 회합(會合)의 역할(役割)(Garvey; 4보(報)) 국가적(國家的) 회합(會合)은 투고(投稿)와 이로 인한 잡지중(雜誌中) 게재간(揭載間)의 상대적(相對的)인 오랜 기간(期間)동안 이러한 연구(硏究)가 공개매체(公開媒體)로 인하여 일시적(一時的)이나마 게재여부(揭載如否)의 불명료성(不明瞭性)을 초래(招來)하기 전(前)에 과학연구(科學硏究)의 초기전파(初期傳播)를 위하여 먼저 행한 주요(主要) 사례(事例)와 마지막의 비정형매체(非定形媒體)의 양자(兩者)를 항상 조직화(組織化)하여 주는 전체적(全體的)인 유통과정(流通過程)에 있어서 명확(明確)하고도 중요(重要)한 기능(機能)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잡지(雜誌)에 게재(揭載)된 정보(情報)의 생산(生産)과 관련(關聯)되는 정보(情報)의 전파과정(傳播過程)(Garvey; 1보(報)). 이 연구(硏究)를 위해서 우리는 정보유통과정(情報流通過程)을 따라 많은 노력(努力)을 하였는데, 여기서 유통과정(流通過程)의 인상적(印象的)인 면목(面目)은 특별(特別)히 연구(硏究)로부터의 정보(情報)는 잡지(雜誌)에 게재(揭載)되기까지 진정으로는 공개적(公開的)이 못된다는 것과 이러한 사실(事實)은 선진연구(先進硏究)가 자주 시대(時代)에 뒤떨어지게 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험(經驗)이 많은 정보(情報)의 수요자(需要者)는 이러한 폐물화(廢物化)에 매우 민감(敏感)하며 자기(自己) 연구(硏究)에 당면한, 진행중(進行中)이거나 최근(最近) 완성(完成)된 연구(硏究)에 대하여 정보(情報)를 얻기 위한 모든 수단(手段)을 발견(發見)코자 하였다. 예를 들어, 이들은 잡지(雜誌)에 보문(報文)을 발표(發表)하기 전(前)에 발생(發生)하는 정보전파과정(情報傳播過程)을 통하여 유루(遺漏)될지도 모르는 정보(情報)를 얻기 위하여 한 잡지(雜誌)나 2차자료(二次資料) 또는 전형적(典型的)으로 이용(利用)되는 다른 잡지류중(雜誌類中)에서 당해정보(當該情報)가 발견(發見)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3) "정보생산 과학자(情報生産 科學者)"에 의한 정보전파(情報傳播)의 계속성(繼續性)(이 연구(硏究) 시리이즈의 결과(結果)는 본고(本稿)의 주내용(主內容)으로 되어 있다.) 1968/1969년(年)부터 1970/1971년(年)의 이년기간(二年期間)동안 보문(報文)을 낸 과학자(科學者)(1968/1969년(年) 잡지중(雜誌中)에 "질이 높은" 보문(報文)을 발표(發表)한)의 약 2/3는 1968/1969의 보문(報文)과 동일(同一)한 대상영역(對象領域)의 연구(硏究)를 계속(繼續) 수행(遂行)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본연구(本硏究)에 오른 대부분(大部分)의 저자(著者)가 정상적(正常的)인 과학(科學), 즉 연구수행중(硏究遂行中) 의문(疑問)에 대한 완전(完全)한 해답(解答)을 얻게 되는 가장 중요(重要)한 추구(追求)로서 Kuhn(제5보(第5報))에 의하여 기술(技術)된 방법(방법)으로 과학(연구)(科學(硏究))을 실행(實行)하였음을 알았다. 최근(最近)에 연구(硏究)를 마치고 그 결과(結果)를 보문(報文)으로서 발표(發表)한 이들 과학자(科學者)들은 다음 단계(段階)로 해야 할 사항(事項)에 대하여 선행(先行)된 동일견해(同一見解)를 가진 다른 연구자(硏究자)들의 연구(硏究)와 대상(對象)에 밀접(密接)하게 관련(關聯)되고 있다. 이 계속성(繼續性)의 효과(效果)에 대한 지표(指標)는 보문(報文)과 동일(同一)한 영역(領域)에서 연구(硏究)를 계속(繼續)한 저자(著者)들의 약 3/4은 선행(先行) 보문(報文)에 기술(技術)된 연구결과(硏究結果)에서 직접적(直接的)으로 새로운 연구(硏究)가 유도(誘導)되었음을 보고(報告)한 사항(事項)에 반영(反映)되어 있다. 그렇지만 우리들의 데이터는 다음 영역(領域)으로 기대(期待)하지 않은 전환(轉換)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同一) 대상(對象)에서 연구(硏究)를 속행(續行)하였던 저자(著者)들의 1/5 이상(以上)은 뒤에 새로운 영역(領域)으로 연구(硏究)를 전환(轉換)하였고 또한 이 영역(領域)에서 연구(硏究)를 계속(繼續)하였다. 연구영역(硏究領域)의 이러한 변화(變化)는 연구자(硏究者)의 일반(一般) 정보유통(情報流通) 패턴에 크게 변화(變化)를 보이지는 않는다. 즉 새로운 지적(知的) 문제(問題)에 대한 변화(變化)에서 야기(惹起)되는 패턴에 있어서 저자(著者)들은 오래된 문제(問題)의 방법(方法)과 기술(技術)을 새로운 문제(問題)로 맞추려 한다. 과학사(科學史)의 최근(最近) 해석(解釋)(Hanson: 6보(報))에서 예기(豫期)되었던 바와 같이 정상적(正常的)인 과학(科學)의 계속성(繼續性)은 항상 절대적(絶對的)이 아니며 "과학지식(科學知識)"의 첫발자욱은 예전 연구영역(硏究領域)의 대상(對象)에 관계(關係)없이 나타나는 다른 영역(領域)으로 내딛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들의 연구(硏究)에서 저자(著者)의 1/3은 동일(同一) 영역(領域)의 대상(對象)에서 속계적(續繼的)인 연구(硏究)를 수행(遂行)치 않고 새로운 영역(領域)으로 옮아갔다. 우리는 이와 같은 데이터를 (a) 저자(著者)가 각개과학자(各個科學者)의 활동(活動)을 통하여 집중적(集中的)인 과학적(科學的) 노력(努力)을 시험(試驗)할 때 각자(各自)의 연구(硏究)에 대한 많은 양(量)의 계속성(繼續性)이 어떤 진보중(進步中)의 과학분야(科學分野)에서도 나타난다는 것과 (b) 이 계속성(繼續性)은 과학(科學)에 대한 집중적(集中的) 진보(進步)의 필요적(必要的) 특질(特質)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우리는 이 계속성(繼續性)과 관련(關聯)되는 유통문제(流通問題)라는 새로운 대상영역(對象領域)으로 전환(轉換)할 때 연구(硏究)의 각단계(各段階)의 진보(進步)와 새로운 목적(目的)으로 전환시(轉換時) 양자(兩者)가 다 필요(必要)로 하는 각개(各個) 과학자(科學者)의 정보수요(情報需要)를 위한 시간(時間) 소비(消費)라는 것을 탐지(探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觀察)은 정보(情報)의 선택제공(選擇提供)시스팀이 현재(現在) 필요(必要)로 하는 정보(情報)의 만족(滿足)을 위하여는 효과적(效果的)으로 매우 융통성(融通性)을 띠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暗示)하는 것이다. 본고(本稿)의 시리이즈에 기술(記述)된 전정보유통(全情報流通) 과정(過程)의 재검토(再檢討) 결과(結果)는 과학자(科學者)들이 항상 그들의 요구(要求)를 조화(調和)시키는 신축성(伸縮性)있는 유통체제(流通體制)를 발전(發展)시켜 왔다는 것을 시사(示唆)해 주고 있다. 이 시스팀은 정보전파(情報傳播) 사항(事項)을 중심(中心)으로 이루어 지며 또한 이 사항(事項)의 대부분(大部分)의 참여자(參與者)는 자기자신(自己自身)이 과학정보(科學情報) 전파자(傳播者)라는 기본적(基本的)인 정보전파체제(情報傳播體制)인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過程)의 유통행위(流通行爲)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대부분(大部分)의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가 역시 정보(情報)의 동화자(同化者)-다시 말해서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생산자(生産者)는 정보(情報)의 이용자(利用者)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硏究)에서 전형적(典型的)인 과학자((科學者)는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생산(生産)이나 전파(傳播)의 양자(兩者)에 연속적(連續的)으로 관계(關係)하고 있음을 보았다. 만일(萬一) 연구자(硏究者)가 한 편(編)의 연구(硏究)를 완료(完了)한다면 이 연구자(硏究者)는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이냐 하는 관념(觀念)을 갖게 되고 따라서 "완료(完了)된" 연구(硏究)에 관한 정보(情報)를 이용(利用)하여 동시(同時)에 새로운 일을 시작(始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 과학자(科學者)가 동일(同一) 영역(領域)의 다른 동료연구자(同僚硏究者)에게 완전(完全)하며 이의(異議)에 방어(防禦)할 수 있는 보고서(報告書)를 제공(提供)할 수 있는 단계(段階)에 도달(到達)하였다면 우리는 이 과학자(科學者)가 정보유통과정(情報流通過程)에서 많은 역할(役割)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즉 이 과학자(科學者)는 다른 과학자(科學者)들에게 최신(最新)의 과학적(科學的) 결과(結果)를 제공(提供)할 때 하나의 과학정보(科學情報) 전파자(傳播者)가 되며, 이 연구(硏究)의 의의(意義)와 타당성(妥當性)에 관한 논평(論評)이나 비평(批評)을 동료(同僚)로부터 구(求)하는 관점(觀點)에서 보면 이 과학자(科學者)는 하나의 정보탐색자(情報探索者)가 된다. 또한 장래(將來)의 이용(利用)을 위하여 증정(贈呈)이나 동화(同化)한 이 정보(情報)로부터 피이드백을 받아 드렸을 때의 범주(範疇)에서 보면 (잡지(雜誌)에 투고(投稿)하기 위하여 원고(原稿)를 작성(作成)하는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과학자(科學者)는 하나의 정보이용자(情報利用者)가 되고 이러한 모든 가능성(可能性)에서 정보생산자(情報生産者)는 다음 정보생산(情報生産)에 이미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다(저자(著者)들의 2/3는 보문(報文)이 게재(揭載)되기 전(前)에 이미 새로운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하였다). 과학자(科學者)가 자기연구(自己硏究)를 마치고 예비보고서(豫備報告書)를 만든 후(後) 자기연구(自己硏究)에 관한 정보(情報)의 전파(傳播)를 계속하게 되는데 이와 관계(關係)되는 일반적(一般的)인 패턴을 보면 소수(少數)의 동료(同僚)그룹에 출석(出席)하는 경우 (예로 지역집담회)(地域集談會))와 대중(大衆) 앞에서 행(行)하는 경우(예로 국가적 회합(國家的 會合)) 등이 있다. 그러는 동안에 다양성(多樣性) 있는 성문보고서(成文報告書)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과학자(科學者)들이 자기연구(自己硏究)를 위한 주정보전파목표(主情報傳播目標)는 과학잡지중(科學雜誌中)에 게재(揭載)되는 보문(報文)이라는 것이 명확(明確)한 사실(事實)인 것이다. 이러한 목표(目標)에 도달(到達)할 때까지의 각(各) 정보전파단계(情報傳播段階)에서 과학자(科學者)들은 목표달성(目標達成)을 위하여 청중(聽衆), 자기동화(自己同化)된 정보(情報) 및 이미 이용(利用)된 정보(情報)로부터 피이드백을 탐색(探索)하게 된다. 우리가 본고(本稿)의 시리이즈중(中)에 표현(表現)하려 했던 바와 같이 이러한 활동(活動)은 조사수임자(調査受任者)의 의견(意見)이 원고(原稿)에 반영(反映)되고 또 그 원고(原稿)가 잡지게재(雜誌揭載)를 위해 수리(受理)될 때까지 계속적(繼續的)으로 정보(情報)를 탐색(探索)하는 과학자(科學者)나 기타(其他)사람들에게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원고(原稿)가 수리(受理)되면 그 원고(原稿)의 저자(著者)들은 그 보문(報文)의 주내용(主內容)에 대하여 적극적(積極的)인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을 종종 중지(中止)하는 일이 있는데 이때에는 저자(著者)들의 역할(役割)이 변화(變化)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이 저자(著者)들은 일시적(一時的)이긴 하나 새로운 일을 착수(着手)하기 위하여 정보(情報)의 동화자(同化者)를 찾게 된다. 또한 전(前)에 행한 일에 대한 의견(意見)이나 비평(批評)이 새로운 일에 영향(影響)을 끼치게 된다. 동시(同時)에 새로운 과학정보생산(科學情報生産) 과정(過程)에 들어가게 되고 현재(現在) 진행중(進行中)이거나 최근(最近) 완료(完了)한 연구(硏究)에 대한 정보(情報)를 항상 찾게 된다. 활발(活潑)한 연구(硏究)를 하는 과학자(科學者)들에게는, 동화자(同化者)로서의 역할(役割)과 전파자(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을 분리(分離)시킨다는 것은 실제적(實際的)은 못된다. 즉 후자(後者)를 완성(完成)하기 위해서는 전자(前者)를 이용(利用)하게 된다는 것이다. 과학자(科學者)들은 한 단계(段階)에서 한 전파자(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이 뚜렷하나 다른 단계(段階)에서는 정보교환(情報交換)이 기본적(基本的)으로 정보동화(情報同化)에 직결(直結)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와 정보동화자간(情報同化者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또는 정보생산자(情報生産者)와 정보이용자간(情報利用者間))는 과학(科學)에 있어서 하나의 필수양상(必修樣相)이다. 과학(科學)의 유통구조(流通構造)가 전파자(傳播者)(이용자(利用者)로서의 역할(役割)보다는)의 필요성(必要性)에서 볼 때 복잡(複雜)하고 다이나믹한 시스팀으로 구성(構成)된다는 사실(事實)은 과학(科學)의 발전과정(發展過程)에서 필연적(必然的)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사실(事實)은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전파요원(傳播要員)이 국가적 회합(國家的 會合)에서 자기연구(自己硏究)에 대한 정보(情報)의 전파기회(傳播機會)를 거절(拒絶)하고 따라서 전파정보(電波情報)를 판단(判斷)하고 선별(選別)하는 것을 감소(減少)시키며 결과적(結果的)으로 잡지(雜誌)나 단행본(單行本)에서 비평(批評)을 하고 추고(推敲)하는 것이 배제(排除)될 때는 유형적(有形的) 과학(科學)은 급속(急速)히 비과학성(非科學性)을 띠게 된다는 것을 Lysenko의 생애(生涯)에 대한 Medvedev의 기술중(記述中)[7]에 지적(指摘)한 것과 관계(關係)되고 있다.

  • PDF

New Trends in the Production of One Hundred Fans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One Hundred Fans Painting in the Museum am Rothenbaum Kulturen und Künste der Welt in Germany and Its Original Drawing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조선말기 백선도(百扇圖)의 새로운 제작경향 - 독일 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 초본(草本)>을 중심으로 -)

  • Kwon, Hyeeun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96
    • /
    • pp.239-260
    • /
    • 2019
  • This paper examines the circulation and dissemination of painting during and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through a case study on the One Hundred Fans paintings produced as decorative folding screens at the time. One Hundred Fans paintings refer to depictions of layers of fans in various shapes on which pictures of diverse themes are drawn. Fans and paintings on fans were depicted on paintings before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it wa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at they began to be applied as subject matter for decorative paintings. Reflecting the trend of enjoying extravagant hobbies, fans and paintings on fans were mainly produced as folding screens.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from the collection of the Museum am Rothenbaum Kulturen und Künste der Welt (hereafter Rothenbaum Museum) in Germany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n in the exhibition The City in Art, Art in the City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6. Each panel in this six-panel folding screen features more than five different fans painted with diverse topics. This folding screen is of particular significance sinc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olds the original drawings. In the nineteenth centu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at had formerly been enjoyed by Joseon royal family members and the nobility in private spaces began to spread among common people and was distributed through market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adorning households, colorful decorative paintings were preferred, leading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production of One Hundred Fans folding screens with pictures in different shapes and themes. A majority of the Korean collection in the Rothenbaum Museum belonged to Heinrich Constantin Eduard Meyer(1841~1926), a German businessman who served as the Joseon consul general in Germany. From the late 1890s until 1905, Meyer traveled back and forth between Joseon and Germany and collected a wide range of Korean artifacts. After returning to Germany, he sequentially donated his collections, including One Hundred Fans, to the Rothenbaum Museum. Folding screens like One Hundred Fans with their fresh and decorative beauty may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foreigners living in Joseon. The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is an intriguing work in that during its treatment, a piece of paper with the inscription of the place name "Donghyeon" was found pasted upside down on the back of the second panel. Donghyeon was situated in between Euljiro 1-ga and Euljiro 2-ga in present-day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a domestic handicraft industry boomed in the area based on licensed shops and government offices, including the Dohwaseo (Royal Bureau of Painting), Hyeminseo (Royal Bureau of Public Dispensary), and Jangagwon (Royal Bureau of Music). In fact, in the early 1900s, shops selling calligraphy and painting existed in Donghyeon. Thus, it is very likely that the shops where Meyer purchased his collec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located in Donghyeon. The six-panel folding screen One Hundred Fans in the collection of the Rothenbaum Museum is thought to have acquired its present form during a process of restoring Korean artifacts works in the 1980s. The original drawings of One Hundred Fans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acquir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between 1945 and 1950. Among the seven drawings of the painting, six indicate the order of their panels in the margins, which relates that the painting was originally an eight-panel folding screen. Each drawing shows more than five different fans. The details of these fans, including small decorations and patterns on the ribs, are realistically depicted. The names of the colors to be applied, including 'red ocher', 'red', 'ink', and 'blue', are written on most of the fans, while some are left empty or 'oil' is indicated on them. Ten fans have sketches of flowers, plants, and insects or historical figures. A comparison between these drawings and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has revealed that their size and proportion are identical. This shows that the Rothenbaum Museum painting follows the directions set forth in the original drawings. The fans on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are painted with images on diverse themes, including landscapes, narrative figures, birds and flowers, birds and animals, plants and insects, and fish and crabs. In particular, flowers and butterflies and fish and crabs were popular themes favored by nineteenth century Joseon painters. It is noteworthy that the folding screen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includes several scenes recalling the typical painting style of Kim Hong-do, unlike other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or Various Paintings and Calligraphy. As a case in point, the theme of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is depicted i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even though it is not commonly included in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or One Hundred Paintings due to spatial limitations. The scene of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i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bears a resemblance to Kim Hong-do's folding screen of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terms of its composition and style. Moreover, a few scenes o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are similar to examples in the Painting Album of Byeongjin Year produced by Kim Hong-do in 1796. The painter who drew the fan paintings on the Rothenbaum folding screen is presu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Kim Hong-do since the fan paintings of a landscape similar to Sainsam Rock, an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and a Pair of Pheasants are all reminiscent of Kim's style. These paintings in the style of Kim Hong-do are reproduced on the fans left empty in the original drawings. The figure who produced both the original drawings and fan paintings appears to have been a professional painter influenced by Kim Hong-do. He might have appreciated Kim's Painting Album of Byeongjin Year or created duplicates of Painting Album of Byeongjin Year for circulation in the art market. We have so far identified about ten folding screens remaining with the One Hundred Fans. The composition of these folding screens are similar each other except for a slight difference i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the fans or reverse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ns. Such uniform composition can be also found in the paintings of scholar's accoutreme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is suggests that the increasing demand for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nineteenth century led to the application of manuals for the mass production of decorative paintings. As the demand for colorful decorative folding screens with intricate designs increased from the nineteenth century, original drawings began to be used as models for producing various paintings. These were fully utilized when making large-scale folding screens with images such as Guo Ziyi's Enjoyment-of-Life Banquet, Banquet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One Hundred Children, and the Sun, Cranes and Heavenly Peaches, all of which entailed complicated patterns. In fact, several designs repeatedly emerge in the extant folding screens, suggesting the use of original drawings as models. A tendency toward using original drawings as models for producing folding screens in large quantities in accordance with market demand is reflected in the production of the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filled with fans in different shapes and fan paintings on diverse themes. In the case of the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Paintings, bordering frames are drawn first and then various paintings are executed inside the frames. In folding screens of One Hundred Fans, however, fans in diverse forms were drawn first. Accordingly,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produce them in bulk. Existing examples are relatively fewer than other folding screens. As discussed above, the folding screen of One Hundred Fans at the Rothenbaum Museum and its original drawing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ptly demonstrate the late Joseon painting trend of embracing and employing new painting styles. Further in-depth research into the Rothenbaum painting is required in that it is a rare example exhibiting the influence of Kim Hong-do compared to other paintings on the theme of One Hundred Fans whose composition and painting style are mo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work of Bak Gi-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