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 및 개성화와 정신의 순환: 수지비괘(일양오음괘)와 중지곤괘를 중심으로

Conjunc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Individuation and Circumambulation of The Psyche: Focusing on the Hexagram Bi, Pi (比) and Hexagram Gon, Kun (坤)

  • 투고 : 2023.03.30
  • 심사 : 2023.06.23
  • 발행 : 2023.06.25

초록

수지비괘(水地比 ䷇ 8)는 하나의 양효와 다섯 음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양오음괘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일양오음괘는 하나의 양을 의미하는 의식과 다섯 음으로 나타나는 무의식의 관계와 역동을 상징한다. 일양오음괘는 초효에서 시작하여 상효에 이르기까지 그 양효의 위치에 따라 여섯 개의 다른 괘의 모습을 갖는다. 심리적인 측면에서 이것은 의식의 자리에 따라 정신의 내용이 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양효의 움직이는 그 진행 과정을 통해 정신적 에너지의 흐름도 살펴볼 수 있다. 즉, 일양오음괘의 시작인 첫 번째 지뢰복괘(地雷復 ䷗ 24)의 정신적 내용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다가 그 최적의 자리인 다섯 번째 수지비괘(水地比 ䷇ 8)를 거쳐 마지막 여섯 번째인 산지박괘(山地剝 ䷖ 23)의 과정을 거쳐 가게 된다. 다시 말해 양효 하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괘와 해당 효사의 내용은 일정한 정신적인 흐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회복하여 처음 시작하는 복괘는 의식의 시작이며, 이후 이효, 삼효, 사효 등으로 진행되는 과정은 의식의 흐름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다섯 번째 자리인 비괘 오효에서는 그 정점에 이르게 되어 의식의 최적 상태에 놓이게 된다. 자연과 동일하게 정신도 최고의 상태에서 점차 하락의 길로 들어서는데 그것이 마지막 여섯 번째인 박괘 상효에 이른다. 그런데 모든 것이 떨어져나가는 박괘의 상효는 효사에 다시 시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을 이어받는 것이 복괘의 초효이다. 이것은 심리적으로 힘든 우울의 상태에서 회복의 단계로 바뀌는 정신의 순환(circumambulation)을 의미한다. 이런 순환 과정에서 지나가야하는 단계가 있는데 그것이 중지곤괘(重地坤 ䷁ 2)이다. 절기상 음력 9월인 박괘와 11월인 복괘 사이에 10월의 곤괘가 놓여있다. 이것은 회복과 치유의 흐름에는 반드시 곤괘의 모성적 과정을 거쳐야함을 뜻한다. 정신의 재생에 심리적 자궁으로의 후퇴는 필연적인데 박괘, 곤괘, 복괘로 이어지는 흐름이 그것을 보여주는데 곤괘가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더불어 비괘를 비롯한 일양오음괘는 그 본체 역시 여섯 음효로 이루어진 곤괘이다. 즉, 여섯 개의 일양오음괘는 모두 곤괘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일양오음괘 양효들과 그에 상응하는 곤괘 음효와의 상관성을 살펴봄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것은 여섯 개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의식의 상태와 연결되는 모성적 무의식의 역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양오음괘는 각각 모성 원형과 의식의 통합에 대한 표현을 상징한다. 이것을 잘 드러내는 것이 일양오음괘의 괘상의 의미이다. 그것의 괘상은 어머니를 상징하는 곤(坤 ☷)과 아들을 의미하는 장남의 뇌(雷 ☳), 중남의 감(坎 ☵), 차남의 간(艮 ☶)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양효의 차례대로 순차적으로 지뢰복(䷗), 지수사(䷆), 지산겸(䷠), 뇌지예(䷏), 수지비(䷇), 산지박(䷖)이 만들어진다. 이것은 상징적으로 의식의 진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어머니와 아들의 결합을 의미하는 일양오음괘들은 모성적 무의식과 의식의 진전되는 관계를 표상한다. 또한 아들의 위치에 따른 어머니와의 관계는 의식의 태도에 대한 모성의 역동과 연관이 된다. 이런 일양오음괘 여섯 괘의 흐름에서 심리적인 의미를 연역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의식의 활성화가 가장 정점인 상태가 비괘 오효에 해당하고 마땅히 이에 상응하는 곤괘 오효의 내용을 비교하면 의식과 모성적 무의식의 통합의 상태와 의미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흐름 전체가 개성화 과정에 비유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exagram Bi (比 ䷇ 8) is one of the hexagrams comprised of one-unbroken line and five-broken lines.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symbolize the relationship and dynamics between one yang-consciousness and the five-yin unconsciousness. The hexagram of one-unbroken line and five-broken lines has six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ne unbroken line from the beginning line to the top line. In terms of psychology, this means that the position change of one yang line in relation to five yin lines may symbolize the function of consciousness which clarifies and determines the content of the psyche. In addition, the flow of psychic energy can be examined through the process of one unbroken line's movement. In other words, the psychic contents of the beginning line of hexagram Bok (復 ䷗ 24), which is the beginning of the hexagram of one-unbroken line and five-broken lines, proceed sequentially, and then arrive at the process of the last sixth, hexagram Bak (剝 ䷖ 23) through the fifth, the hexagram Bi (8).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nt of the hexagram and the lin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one unbroken line show a certain psychic flow. As a result, the first hexagram Bok (復 ䷗ 24), after recovering and starting newly, means the beginning of consciousness. After that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the second, third, and fourth lines represents the flow of consciousness. And in the fifth place, the fifth line of hexagram Bi, it reaches its peak and is placed in the optimal state of consciousness because of its right and centered position at this hexagram Bi. Like nature, the psyche gradually enters the path of decline from the highest state, which leads to the last sixth, the top line of hexagram Bak. However, the top line of the hexagram Bak, where everything falls off, contains the content of starting again in its top line. It is the beginning line of hexagram Bok to inherit this. This means the circumambulation of the psyche that changes from a psychologically difficult state of depression to a stage of recovery. There is a stage that must be passed in this circulation process, and that is the hexagram Gon (坤 ䷁ 2). October(tenth month)'s hexagram Gon is placed between hexagram Bak, the nin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and hexagram Bok, the eleven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This represents that the flow of recovery must go through a maternal process of hexagram Gon. The retreat to the psychological uterus is inevitable in regenerating the psyche. This process flows from the hexagram Bak and through hexagram Gon to the hexagram Bok. At this situation the hexagram Gon acts the absolutely necessary role. 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including the Bi hexagram, is also the Gon hexagram composed of six-broken lines. In other words, all six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Gon hexagram, and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nbroken lines of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and the corresponding broken lines of the hexagram Gon. This can be said to be the dynamics of the maternal unconscious connected to the state of consciousness in six forms. Therefore, each hexagram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symbolizes the expression of the integration the mother archetype with the consciousness. Revealing this well is the meaning of the hexagram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Its hexagram image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Gon (☷), which symbolizes the mother, and the thunder (☳) the eldest son, the water (☵) the middle son and the mountain (☶) the third son. As a result, the hexagram Bok (復 ䷗ 24), Sa (師 ䷆ 7), Gyeom (謙 ䷠ 15), Ye (豫 ䷏ 16), Bi (比 ䷇ 8) and Bak (剝 ䷖ 23) are sequentially created in the order of the unbroken line. This is symbolically the evolutionary process of consciousness. In this way, the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which mean the conjunction of mother and son, represent the adva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unconscious and consciousnes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on is related to the dynamics of mother archetype to the attitude of consciousness. The psychological meaning can be deduced from the flow of six lines of hexagrams of one-unbroken and five-broken lines. And the state in which the activation of the consciousness is at its peak is the fifth line of the hexagram Bi, and comparing it with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fifth line of hexagram Gon not only can find the state and meaning of the conjunc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maternal unconscious, but the entire flow can be compared to the individuation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신환 (2006): "鶴山 李 正浩의 易學 思想", ≪동양철학≫, 26. 서울.
  2. 권호용 (2017): " 「주역(周易)」 구덕괘(九德卦)의 원의(原義) 분석", ≪동서철학연구≫, 84. 서울.
  3. 김석진 (2019): ≪새로 쓴 대산주역강의 1≫, 대유학당, 서울.
  4. 김충열 (1997): "손.익괘의 논리와 교훈", ≪주역연구≫, 2. 한국주역학회, 서울.
  5. 김충열 (1999): "역의 우주관, 성명관 그리고 문화관", ≪주역연구≫, 3. 한국주역학회, 서울.
  6. 김충열 (2000): "伊川易이 오늘날 왜 필요한가?", ≪주역연구≫, 5. 한국주역학회, 서울.
  7. 김학권 (2014): "이형상(李衡祥)의 일상적(日常的) 도덕규범(道德規範)으로서의 역학(易學)", ≪공자학≫, 27. 서울.
  8. 신성수 (2005): ≪주역통해≫, 대학서림, 서울.
  9. 신성수 (2016): "주역의 미래예측(未來豫測)과 시공간 인식-분석심리학의 동시성이론과 관련하여-", ≪동방문화와 사상≫, 1. 서울.
  10. 신성수 이현구 (2013): "주역(周易)의 분석심리학적 이해-건괘(乾卦), 곤괘(坤卦)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31. 서울.
  11. 신성수 (2013): "주역과 분석심리학의 鍊金術-곤(困).정(井).혁(革).정(鼎)괘를 중심으로-", ≪동양문화연구≫ 16. 양산.
  12. 신성수 (2014): " 「주역(周易)」 과 분석심리학의 원형(原型, Archetype)", ≪인문학연구≫ 26. 서울.
  13. 신성수 (2015): "분석심리학의 동시성원리와 「주역」 의 통(通) 개념", ≪철학.사상.문화≫ 19. 서울.
  14. 이주현, 이부영 (2022): "주역 점(占)의 실체 체험-죽음, 신 그리고 사랑: 아버님의 영전(靈前)에서", ≪심성연구≫, 37(2). 한국분석심리학회, 서울.
  15. 이진영 (2022): "주역 수지 비괘(水地比卦 )와 맹자 왕도 정치론의 관련성 연구-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을 중심으로-", ≪유교사상문화연구≫, 89. 서울.
  16. 이현구 (2016): "周易과 분석심리학의 상관성 연구-道의 실현과 개성화 과정을 중심으로",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 논문, 서울.
  17. 임명진 (2010): " 「周易參同契」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대전.
  18. 임명진 (2005): "茶山易學의 의학적 응용에 대한 연구: 14벽卦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 학위 논문, 대전.
  19. 임채우 (2006): "陰陽관계론에서 본 여성관-男尊女卑論의 易學的 근거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동양철학≫, 84. 서울.
  20. 장영동 (2010): "周易에 나타나는 '물'과 '茶水'의 상관관계 硏究",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익산.
  21. 허진웅, 조용준(역) (2012): ≪중국문자학강의≫, 고려대학교 출판부, 서울.
  22. 허진웅, 홍희(역) (2003): ≪중국고대사회≫, 동문선, 서울.
  23.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1992):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 출판사, 서울.
  24.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2000): ≪한국문화 상징사전 2≫, 두산동아 출판사, 서울.
  25. Abt T, 이유경(역) (2005):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26. Ad de Vries, Arthur de Vries (2004): Elsevier's Dictionary of Symbols and Imagery, Elsevier, Amsterdam.
  27. Edinger EF (1992): Ego and Archetype, Shambhala, Boulder.
  28. Huang A (2010): The Complete I Ching, Inner Traditions, Vermont.
  29. Jaffe A(역음), 이부영(역) (2012): ≪C. 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30. Jung CG (1978): CW9-II, A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1. Jung CG (1989): CW11, Psychology and Relig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2. Jung CG (1983): CW13, Alchemical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3. Jung CG (1989): CW14, Mysterium Coniunction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4. Jung CG (1985): CW16,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5.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4): C.G. 융 기본저작집 제2권,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36.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4): C.G. 융 기본저작집 제3권, ≪인격과 전이≫, 솔출판사, 서울.
  37.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2): C.G. 융 기본저작집 제5권,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의 상징≫, 솔출판사, 서울.
  38.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4): C.G. 융 기본저작집 제6권,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출판사, 서울.
  39.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6): C.G. 융 기본저작집 제8권,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출판사, 서울.
  40.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4): C.G. 융 기본저작집 제9권, ≪인간과 문화≫, 솔출판사, 서울.
  41. Von Franz ML, 이부영, 이광자(역) (2018):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융연구원, 서울.
  42. Von Franz ML, 김현진(역) (2019): ≪창조신화≫, 한국융연구원, 서울.
  43. Wilhelm R (1997): The I Ching or Book of Changes, trans. by C. F. Bay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