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피효과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5초

표피효과를 고려한 중전압 전력선 채널특성 분석 (Analysis of Medium Voltage Power-Line Channe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Skin Effect)

  • 김선효;이원태;이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731-73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고속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 전안 전력선로의 특성을 표피효과를 고려한 전송 파라메타로써 채널특성을 분석하였다. 중전압 통신 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고주파 개념을 이용한 산란 계수법으로 구하였으며 광대역 특성을 갖는 결합기를 이용하여 0∼30MHz 주파수 대역에서 중전압 전력선의 채널특성을 측정하였다. 통신 선로의 표피효과를 고려하였을 경우 주파수에 대한 선로의 감쇠 특성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표피효과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선로의 감쇠 특성은 급격히 감소함은 알 수가 있었다. 임피던스 특성은 주파수가 높을수록 임피던스 크기가 점점 낮아지며 변화량도 적어짐을 알 수가 있었다.

고압 산소챔버를 활용한 피부표피 반응 사례 연구

  • 민근식;천정민;박노국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압산소치료 후 포유동물의 피부에서 Melanin 세포의 생성이 줄어들었음을 이미 보고된 바 있고, 치료 후 전층 피부이식 생존율을 높였고, 또한 인체의 피부 진피층 확인은 더 많은 임상데이터가 필요하나 고압산소치료 후 표피면의 변화는 빠른 시간에 확인 할 수 있다고 판단됨으로 이에 피부진단기의 기준면과의 평행(parallel polarization) 이미지로 피부표피의 변화를 확인 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고압산소챔버를 활용한 피부표피에 대한 분석 및 실험 결과, 주름살 및 상처(Wrinkle & Scar) 분석에서 피실험자 남자1 3%, 남자2 2%, 여자1 5.9%, 여자2 2.3%로 피실험자 모두 감소 현상을 보여 피부 탄력도가 좋아 지는 효과를 보였다. 피부미백(S-Gray) 분석에서는 피실험자의 피부 표피면의 멜라닌 및 에리즈마 색소의 피부 톤이 남자1 1.1%, 남자2 2.3%, 여자1 4% 로 피실험자 4명 중 3명은 상승 효과를 얻었으나, 피실험자 다른 1명인 여자2는 2.3% 하향의 결과가 나타났다. 홍도(Erythema) 분석, 피실험자 정상인 부위인 D.BLUE/BLUE 값이 남자1 5.6%, 남자2 4.9%, 여자1 17.3%, 여자2 15.3% 증가 현상을 보였으며 남자와 여자의 효과 차이가 10% 이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아 남자 보다는 여자가 우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비정상인 에리즈마 색소(민감도)의 비정상인 부위인 YELLOW/RED 컬러 값에서 남자1 5.2%, 남자2 5%, 여자1 9.2%, 여자2 4.5% 감소 하였음을 보였다. 이에 피실험자 모두 에리즈마인 민감성 산소치료에 따른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연꽃식물 조직의 표피 특성과 연잎효과 (Epidermal Features of the Nelumbo nucifera Tissues and Lotus Effect)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95-103
    • /
    • 2012
  • 연잎효과는 연꽃의 잎에서 규명된 현상으로 표피세포에서 기원하는 미세구조에 의해 물방울이 잎 표면이나 내부조직에 침투하지 않고 경사면으로 흘러내리며 표면 위 먼지나 이물질을 함께 떨어지게 한다. 잎 표면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자기정화 능력인 연잎효과에 대해서는 여러 영역에서 연구되고 다방면으로 응용되고 있으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연잎을 생장단계별 또는 표피조직 부위별로 비교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잎과 줄기를 대상으로 생장단계별, 부위별 표피조직의 미세 표면구조를 연구하여 연잎효과 표면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잎효과는 미세돌기와 왁스결정체가 발달한 잎의 상피조직에서만 나타나고, 왁스결정체만 발달한 하피 및 줄기의 표피조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미세돌기의 발달이 연잎효과를 나타내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고, 왁스결정체가 돌기표면 위에 축적되면 연잎효과는 더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F IC 설계를 위한 새로운 CMOS RF 모델 (A New CMOS RF Model for RF IC Design)

  • 박광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8호
    • /
    • pp.555-55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CMOS 소자의 RF 동작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Si 표면에서의 메탈 라인 사이의 커패시턴스 효과와 표피효과 및 근접효과를 포함한 RF IC 설계를 위한 새로운 CMOS RF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Si 표면에서의 메탈 라인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모델링하였으며, 표피효과는 메탈 라인의 등가회로에 병렬회로를 부가하여 사다리꼴 등가회로로 구현하였다. 근접효과는 사다리꼴 등가회로에서 교차 결합된 인덕턴스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를 부가함으로써 모델링하였다. 제안된 RF 모델은 BSIM 3v3에 비해 측정 데이터와 잘 일치하였으며, GHz 영역에서 소자 동작의 주파수 종속성을 잘 보여주었다.

대전류 펄스 성형을 위한 젤리롤형 인덕터의 제작과 특성분석 (Fabrication and testing of jelly-roll type inductor for high current pulse forming)

  • 김영배;김종수;진윤식;류홍제;김진성;이병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89_1390
    • /
    • 2009
  • 펄스파워 전원장치에서 전류펄스 파형을 성형하기 위해 인덕터를 이용한다. 이 인덕터는 고주파용이므로 철심(core)이 없는 공심이어야 하며, 또한 표피효과(skin effect)로 인한 저항손실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표피효과를 줄이기 위해서, 인덕터는 권선의 동판을 3장 겹쳐서 나선형으로 감은 젤리롤(jelly roll)형으로 제작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인덕턴스값과 저항값을 측정한 결과를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고주파 공진형 인버터를 이용한 알루미늄 박판가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uction Heating for Aluminum Sheet Using High-Frequency Resonant Inverter))

  • 신대철;김성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90-9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공진형 인버터를 이용하여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용 고주파 공진형 인버터와 고주파로 인한 표피효과(Skin effect)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실험기구를 제작하여 상자성체의 대표적 금속인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유도가열과 표피효과의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알루미늄 박판 가열의 가능성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양식 담수어 및 해산어의 사료 Carotenoids 대사의 비교와 체색개선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Dietary Carotenoids Metabolism and Effects to Improve the Body Color of Cultured Fresh-water Fishes and Marine Fishes)

  • 하봉석;권문정;박미연;백승한;김수영;백인옥;강석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0-284
    • /
    • 1997
  • 무지개 송어, 산천어, 뱀장어, 볼락 및 우럭에 대한 사료 carotenoids의 체내대사와 체색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사료에 ${\beta}-carotene$, lutein, canthaxanthin, astaxanthin 및 ${\beta}-apo-8’-carotenal$을 각각 첨가하여 4 내지 5주간 사육하여 표피의 carotenoids 성분의 변화를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지개 송어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zeaxanthin, ${\beta}-carotene$ 및 canthaxanthin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lutein, isocryptoxanthin 및 salmo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canthaxanth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astaxanthin, ${\beta}-carotene$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지개 송어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이 isocryptoxanthin, echinenone 및 canthaxanthin을 경유하여 astaxanthin으로 lutein은 canthaxanthin으로 산화되고, canthaxanthin은 isozeaxanthin을 경유하여 ${\beta}-carotene$으로 환원되며 astaxanthin은 triol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산천어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zeaxanthin이 주성분이며, 그 외 triol, lutein, tunaxanthin, ${\beta}-carotene$, ${\beta}-cryptoxanthin$ 및 canth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canthaxanth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lutein, ${\beta}-carotene$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천어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이 zeaxanthin으로 산화되고, lutein은 tunaxanthin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환원되고, canthaxanthin은 ${\beta}-carotene$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산화되며 astaxanthin은 triol을 경유하여 zea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뱀장어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beta}-carotene$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lutein, zeaxanthin 및${\beta}-cryptoxanthin$등이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lute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었고, canthaxanthin astaxanthin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뱀장어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과 lutein은 그대로 축적되며, canthaxanthin은 ${\beta}-carotene$으로 그리고 astaxanthin은 zea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 할 수 있었다. 볼락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zeaxanthin, ${\beta}-carotene$, tunaxanthin A, tunaxanthin B, tunaxanthin C 및 lutein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beta}-cryptoxanthin$, ${\alpha}-cryptoxanthin$, ast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lute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beta}-carotene$, canthaxanthin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볼락 표피에서의 carotenoids의 대사경로는, ${\beta}-carotene$은 lutein으로 산화되며, lutein, canthaxanthin astaxanthin 및 ${\beta}-apo-8'-carotenal$은 zeaxanthin을 경유하여 tunaxanthin으로 각각 산화 및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우럭 표피의 carotenoids 조성은, ${\beta}-carotene$, astaxanthin 및 zeaxanthin이 주성분이였으며, 그 외 ${\alpha}-cryptoxanthin$, ${\beta}-cryptoxanthin$, lutein 및 canthaxanthin을 소량 성분으로 함유하며, 표피의 carotenoids 축적율은 lutein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체색 선명화 효과가 가장 컸으며, canthaxanthin, ${\beta}-carotene$ 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럭 표피에서의 carotenoids 대사경로는 ${\beta}-carotene$${\beta}-cryptoxanthin$으로 산화되고, lutein은 ${\alpha}-cryptoxanthin$을 경유하여 ${\beta}-carotene$으로 환원되고, canthaxanthin은 ${\beta}-cryptoxanthin$, zeaxanthin을 경유하여 ${\alpha}-cryptoxanthin$으로 환원되며, astaxanthin은 isocryptoxanthin, zeaxanthin을 경유하여 tunaxanthin으로 대사되며, ${\beta}-apo-8’-carotenal$${\beta}-cryptoxanthin$, zeaxanthin을 경유하여 ${\alpha}-cryptoxanthin$으로 환원되는 대사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고속통신시스템의 기가비트 연결설계 고려사항 (Design Considerations of Gigabit Interconnection for High-speed Communication Systems)

  • 박종대;박영호;남상식;김수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4호
    • /
    • pp.415-420
    • /
    • 2001
  • VLSI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디지털 시스템의 동작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고속 통신시스템 의 하드웨어 설계 시 신호 무결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수적이다. 디지털시스템에서의 잡음원 은 전송선에서의 전원장치, 접지 바운스, 실장 재료 등에 관련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네트 워크/통신시스템의 기가비트 연결 설계기술에 필요한 요소들을 언급하였고, 실제 설계 신호 불연속에 영향을 미치는 커넥터의 누화 및 전송선의 표피 효과, 유전손실 등을 고려한 백플 레인보드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