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dimentation, geochemical behavior and seismic stratigrapht of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s along the Korea Strait and a part of south and southeast offshore area of the Korea Peninsula was carried out. In the inner shelf floor with depth ranging up to 80m zonal distribution patterns of mud, sandy silt, and silty sand were observed. In the outer shelf, however, coarse sandy sediments are dominant, and shills and gravels were frequently observed. These observations seem to confirm the Holocene sedimentary processes on the continental shelves off the south, south to east coasts of Korea discussed by Park (1985 and 1986) and Park and Choi (1986). The suface sediments (upper most 5cm thick)from selected 9 stations were analyzed for Al,Mn, Fe,Cr,Ni,Cu,Zn and Pb in order to study geochemical behavior of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ll data were normalized to Al to com,pensate the size effect of the sediments.In general,inner shelf sediments show slight enrichment compared to the outer shelf sediments.In particular,Pb and Zn show heavy enrichment in most of the sediments.to degrees comparable to those observed at the polluted Kwangyang and Masan Bay sediments.Thus,it is considered that rapid migration or movement of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study area does exist. Three seismic stratigraphic uni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eismic records.The acoustic basement the lower sedimentary deposit(B)and the upper deposit(A)were observed.The strong reflectivity R,in particular, between unit A and B is considered to be an erosinal unconformity during the last Glacial time.
Mineral compositions of 89 Yellow Sea surface sediments collected at the second cruise in 2001, were determined using the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and Siroquant v.3.0 program. Yellow Sea surface sediments are composed of major minerals (quartz 57.8%, plagioclase 16.0% and alkali feldspar 10.0%), clay minerals, and calcite. Illite (8.7%) is the most abundant clay mineral, chlorite (2.6%) is the second, and kaolinite (0.6%) is few. however smectite is not detected. Quartz content is very high around the margin of the Yellow Sea, however is very low along the northwest to southeast direction extending from southeast of Sandong Peninsula to southwest of Jeju Island. It has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with that of coarse sediment (sand). The coarse sediment, is mainly consisted of quartz, may be much supplied from the eastern part and southwestern part of the Yellow Sea. Illite distribution pattern is opposite to that of quartz. It is similar to those of clay and mud particle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fine sediment may be largely supplied from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Yellow Sea.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is kind of investig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sediment provenance of the Yellow Sea only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Benthic environmental parameters were analysed at 40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5 to February 1996.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DO)-concentration in the surface and bottom water layers, grain size, chemical oxygen demand (COD), ignition loss,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in the sediment of Youngsan River estuary.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4.1 to $29.8^{\circ}C$ in the surface and 4.0 to $20.7^{\circ}C$ in the bottom layers. Salinity ranged from 15.1 to $33.6\%_{\circ}$ in the surface and 31.5 to $33.2\%_{\circ}$ in the bottom layer. The salinity in the outer pan of the study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inner area from autumn to spring, whereas they remained lower in summe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ranged from 5,1 to 11.2 $mg/\ell$ in the surface, and 0.79 to 10,2 $mg/{\ell}$ in the bottom layers. Hypoxic condition ($\le2.0mg/\ell$) was developed in the bottom water layer from Youngsan dike to Mokpo Harhour in summer due to the summer stratification. The surface sediment type was silty clay with a mean grain size of $9.12{\pm}0.45\phi$. The range of COD was from 6.15 to $15.49mgO_2/g$ with a mean of $10.59{\pm}12.64mgO_2/g$. The COD in the inner station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uter stations, and decreased toward the outer part of the study area. Ignition loss (IL) ranged from 3.35 to $15.45\%$ with a mean of $5.96{\pm}1.91\%$.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the following five environmental parameters: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in the bottom layer and mean grain size, clay content and COD in the sediment. The forty stations in the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al groups. Group I wa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the estuary characterised by relatively low surface salinity and bottom water temperature, fine sedimemt texture, high organic matter and low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uring the summer. Meanwhile, Group III showing relatively high bottom salinity and water temperature was located in the outer part of the estuary characterising coarse sediment and low organic content in sediment. Group II wa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 The division of the areal groups had high correlations to the DO in the bottom layer and clay content in the sediment.
Tidal sand ridges and sand waves are well developed in the Yellow Sea off Tae-An Peninsula, Korea. Their transport directions were inferred based on high resolution seismic profiles, surficial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tidal regime. Tidal sand ridges are asymmetric, with long axes parallel to or slightly oblique to the dominant NE-SW tidal current direction. They show steep south and/or southeast flanks, which are in concordance with the apparent direction of internal cross-bedding in the south. Holocene sediments occur in accordance with distributional patterns of tidal sand ridges. These features indicate that Holocene active tidal sand ridges move toward the open sea in southeast, south and southwest direction. Sand waves which are distributed in flat sea floor with depth of about 40-60m show also asymmetric forms with a steep east-to-northeast face. Surficial sediments in the sand wave field are characterized by well sorted fine sands compared with poorly sorted adjacent areas. The sand waves appear to undergo easterly or northeasterly landward mov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2002.11a
/
pp.15-24
/
2002
Polychloinated biphenyls (PCBs) 및 유기염소계 농약은 UNEP에서 지속성유기오염물질(POPs)로 규정하고 있는 화합물로서 환경내 잔류성이 강하고 먹이사슬을 딸라 생물증폭되는 화합물로 알려지고 있다. 광양만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표층퇴적물, 생물, 해수 중의 농도를 정량ㆍ정성분석하였다. 해수의 용존상을 제외한 모든 매질에서 PCBs와 DDT 화합물이 주요 유기염소계 화합물로 검출되었다. 퇴적물 중의 총 PCBs, DDTs, CHLs(클로르단 화합물), HCHs (헥사클로르사이클로헥산)의 농도는 각 각 0.61-1.97 ng/g, 0.16-1.16 ng/g, nd-0.51 ng/g, 0.05-0.79 ng/g의 농도 범위를 나타냈다. 퇴적물 중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농도수준은 우리나라 주요 만 (부산만, 영일만, 울산만, 경기만)에서 조사된 퇴적물 중의 농도와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며, 저서생물에 독성학적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이매패류 중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의 농도는 총 PCBs (4.42-19.ng/g), 총 BBTs (7.54-22.6ng/g), CHLs (0.49-2.0ng/g), HCHs (0.82-7.32ng/g)의 범위를 나타었다. PCBs의 경우 산업시설 및 도시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해수 중의 PCBs 농도는 제철소 인근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해수의 용존상에서는 입자상에서와 달리 DDTs보다 HCHs가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는 두 상에 분배되는 이들 화합물의 성향에 따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Alluvial fan delta often extends into deep water, forming steep-faced delta front. Depositional features of modern steep-faced fan-delta slope and prodelta are characterized by slump scar, chute/channel, swale, lobe, splay and debris fall. These features largely originate from sediment failure or sediment-laden underflows (sediment-gravity flows) off river mouth. Sedimentary facies of equivalent ancient systems comprise sheetlike and/or wedged bodies of gravelstone and sandstones, slump-scar and -fill, chute/channel-fills, and sheetlike, lobate and slump mass on steeply-inclined fan-delta foreset and prodelta.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v.2
no.1
/
pp.8-13
/
1997
The Holocene mud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innershelf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studied using the shallow seismic reflection profiles coupled with sediment sampling. The Holocene mud deposits are developed as a belt in the innershelf area from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to off Pohang along the coastline. The surficial sediments in the study area gradually become finer and well sorted from south to north. The seismic facies in the Holocene sequence change northward from parallel reflectors in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and northeastward prograding reflectors in the southern part off Ulsan to transparent layer in the nearshore off Ulsan to Pohang. The regional difference of seismic facies indicates that the Holocene sediment characters are varied with localities. By combining the surficial sediments properties with seismic facies patterns, the suspended sediments mostly supplied from the Nakdong River may be transported northward along the shore by the north-flowing Tsushima warm current. The Holocene mud sequence overlying the ravinement surface which is produced by erosion of underlying sediments during a rapid transgress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stand system tracts probably formed during the highstand of sea level similar to the present-day sea level.
The faunal assembalges of macrobenthos and their habitat conditions on the soft-bottoms around Dokdo(Dok Island) was investigated using a box corer and a van Veen grab in Sept. 1999 and May 2000. The sediments in the slope sites were composed of sand particles and those in Ullneung Basin were mud. The sediments in the shelf sites were in the range of fine to medium sand. The organic content of the slope sediments was in the range of 1 to 2%. The macrobenthos occurred at the slope sites represented by 15faunal groups belonging to 8 phyla, and the major faunal group was polychaetous annelids. They comprised ca. 80.6% in slope sites, and 84.8% in shelf sites. Dominant species in the slope were Exogone verugera(40.9%), Cossura longocirrata (8.4%), Tharyx sp. (6.6%), Scalibregma inflatum (4.9%), Aedicira sp. (4.7%), Aricidea ramosa (3.8%), and Sigambra tentaculata (3.7%). Dominant species in the shelf were Chone sp. (49.3%), Tharyx sp. (18.4%), Ophelina acuminata (6.7%), Chaetozone setosa (3.8%), Glycera sp. (2.6%), and Aedicira sp. (2.4%). The mean densities of macrobenthos in the slope and shelf area were $2,028\;ind./m^2$ and $456\;ind./m^2$, respectively. The trophic composition of benthic polychaete worms in the slope area was different from that in shallow shelf area: surface deposit feeding worms were most abundant in slope area whereas filter feeding worms in shelf area.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and MDS plo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Dokdo slope region was related with the sediment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ize and organic content. In the case of vertic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lope sites, most faunas concentrated in the upper sediment layer within 2cm depth.
우리나라의 서해(West Sea)는 일명 황해(Yellow Sea)라고 일컬어지는 약 40여 m의 평균 수심을 갖는 대륙붕 해저지형 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전형적 육연해이다, 그런데 이 바다는 중심부(황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양가강 하구에 이르는 서부 해안을 가지며 북부에는 발해만의 해안이 있고 동부에는 서해(황해) 특유의 넓 은 조수환경(tidal environment)과 조수해안이 발달한다. 그러나 남쪽으로는 북서태평양과 연결된다. 한국 서해안이 평균 4m 이상의 조차(tidal range)를 나타내는 조간대 조수환경이 며 조간대 해저지형(intertidal morphology)이 전형적인 퇴적층(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연구가 잘되어 세계 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위 barrier island system and tidal depositional environments와는 크 게 다른 퇴적과정과 환경이다. 경기도 남양만의 조수 환경의 경우, 조간대 해저지형 요소인 조류로(tidal channel)와 조간대 정규해저(intertidal zone proper)에 관한 동력적 퇴적과정 연 구결과 조간대 특유의 lateral sedimentation 과 vertical sedimentation 2가지 퇴적과정중 후 자의 퇴적과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퇴적과정의 진행이 매우 안정한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퇴적과정의 조간대 퇴적물의 쇄설 입자는 약 20% 미만의 모 래(sand) 입자 50~70%의 실트(silt) 와 점토(clay) 입자가 20~30%에 달하는 입자조직 (grain texture)의 퇴적상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동력적인 조수수괴의 수위(level of tidal water)는 평균 만조선과 평균 저조선으로 한정되며 이것은 퇴적과정과 퇴적작용의 조정(control) 요인으로 조간대 퇴적상의 발달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면 남양만 등의 대부분의 서해안 조간대 표층 퇴적상(녁\ulcorner미 sedimentary faci-es)은 만조선에서 간조 선에 가까울수록 조립화현상(coarsening trend)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상 변화는 저조선에 서 만조선으로의 조간대 지형과 주조수로의 지형.수력학적 특성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a) a general decrease in width b) a general decrease in depth c) a general decrease in maximum and average current velocities d) a general increase in contents of suspended mud e) a general decrease in grain size of the bottom sand and an increasing abundance of muddy deposits. 우리나라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체)의 수직 층서(vertical stratigraphy)는 지난 3여년동안의 수십개의 vibracoring(주상시추)에 의하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게 밝혀지고 있는바 이것은 현세(Holocene)와 선현세(preHolocene: 11000 years BP)의 오랜시간 경과에 따른 조수환경 변화의 수직퇴적 과정과 기후 해수면 변화의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박용안 외, 1992-1995)결과적으로 서해안 조수퇴적체(층)의 분지주변(basim margin)진화과정이 밝혀지 고 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v.1
no.1
/
pp.83-92
/
1998
Heavy metals concentration in superficial sediment of effluent discharging area was rapidly increased by annual loadings of Zn(8.465 Kg), Ni(3,291 Kg), Cu(1,636 Kg) and Pb(1,250 Kg) from sewage effluent of 63×10/sup 6/ m³/yr. In a consequent result, 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Zn and Cu in the sediment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preindustrial reference values. The evaluation by multiple ecological risk indices showed that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sediment of discharging area was 'heavily Polluted level' by sediment quality criteria and increased 2.6 times b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t was also judged that toxicological effects of sediment receiving the primary effluent would occasionally (16~47%) occur by guidelines for adverse biological effect.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