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the Soft Bottom of Youngsan River Estuary, Korea 1. Benthic Environment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1. 저서환경

  • LIM Hyun-Sig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ung-Yang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Benthic environmental parameters were analysed at 40 st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5 to February 1996.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DO)-concentration in the surface and bottom water layers, grain size, chemical oxygen demand (COD), ignition loss,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in the sediment of Youngsan River estuary.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4.1 to $29.8^{\circ}C$ in the surface and 4.0 to $20.7^{\circ}C$ in the bottom layers. Salinity ranged from 15.1 to $33.6\%_{\circ}$ in the surface and 31.5 to $33.2\%_{\circ}$ in the bottom layer. The salinity in the outer pan of the study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inner area from autumn to spring, whereas they remained lower in summer.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ranged from 5,1 to 11.2 $mg/\ell$ in the surface, and 0.79 to 10,2 $mg/{\ell}$ in the bottom layers. Hypoxic condition ($\le2.0mg/\ell$) was developed in the bottom water layer from Youngsan dike to Mokpo Harhour in summer due to the summer stratification. The surface sediment type was silty clay with a mean grain size of $9.12{\pm}0.45\phi$. The range of COD was from 6.15 to $15.49mgO_2/g$ with a mean of $10.59{\pm}12.64mgO_2/g$. The COD in the inner station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uter stations, and decreased toward the outer part of the study area. Ignition loss (IL) ranged from 3.35 to $15.45\%$ with a mean of $5.96{\pm}1.91\%$.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the following five environmental parameters: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in the bottom layer and mean grain size, clay content and COD in the sediment. The forty stations in the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al groups. Group I wa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the estuary characterised by relatively low surface salinity and bottom water temperature, fine sedimemt texture, high organic matter and low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uring the summer. Meanwhile, Group III showing relatively high bottom salinity and water temperature was located in the outer part of the estuary characterising coarse sediment and low organic content in sediment. Group II wa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 The division of the areal groups had high correlations to the DO in the bottom layer and clay content in the sediment.

영산강 하구역의 저서동물 군집구조 연구 일환으로 이 일대 해역의 저서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에 40개 정점을 설정하고 1995년 4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계절별로 표층 및 저층수괴의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 그리고 표층퇴적물의 입도분석과 함께 강열감량. COD 및 POC를 측정하였다. 수온은 표층의 경우 $4.1\~29.8^{\circ}C$, 저층의 경우 $4.0\~27.0^{\circ}C$범위였다. 염분의 경우 표층은 $15.1\~33.6\%_{\circ}$, 저층은 $21.5\~33.2\%_{\circ}$범위였다. 표층 수온은 여름철에는 내만역이 외측에 비해 높은 양상이었으며, 가을부터 봄까지는 내만역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저층수온은 여름철에 내만역에 형성된 성층으로 인해 외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양상이었다. 표층 및 저층염분은 담수가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내만역이 외해역에 비해 전 계절에 걸쳐 통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용존산소는 표층의 경우 $5.1\~11.2mg/\ell$ 범위였으며 저층의 경우 $0.79\~10.2mg/\ell$였다. 특히 여름철에는 하구둑에서 목포항에 이르는 내만역의 광범위한 해역에 $2.0mg/\ell$ 이하의 저층빈 산소수괴가 형성되었다. 퇴적물의 평균입도는 $9.12{\pm}0.45\phi$로서 하구둑에서 외해역으로 나갈수록 입도가 조립해지는 양상이었다. 퇴적상은 내만역에는 실트성 점토질, 외측역에는 점토성 실트질의 퇴적상이었다. 퇴적물의 COD는 $6.15\~15.49mg\;O_2/g$범위로서 평균 $10.59{\pm}12.64mgO_2/g$였으며, 강열감량은 $3.35\~15.45\%$범위로서 평균 $6.96{\pm}1.91\%$였다. POC는 $0.61\~1.39\%$범위로서 평균 $1.07{\pm}0.16\%$였다. 이들 퇴적물 환경요소들의 공간분포양상은 내만역에서 높고 외해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저층수괴의 수온, 용존산소량, 퇴적물의 평균 입도, 점토 함량, COD 등 5가지 환경 요인을 사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산강 하구역은 저층수괴의 용존산소량과 퇴적물의 점토 함량에 따라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영산강 하구둑에서 목포항 주변까지를 포함하는 내만역에 위치한 정점군은 표층염분과 저층수온이 낮으며, 입도는 상대적으로 세립하며 유기물 함량이 높고 여름철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는 정점군이다. 고하도와 화원반도로 둘러싸이고 목포구 수로를 통해 외해역과 면해 있는 정점군에서의 퇴적물 입도는 상대적으로 조립하며 유기물 함량은 낮은 양상이었다. 또한 여름철에도 산소결핍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저층수온과 저층염 분도 다른 정점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이었다. 한편 목포항 주변에서부터 외해역과의 중간에 위치한 정점군에서의 제환경 요소들은 두 정점군의 중간값을 나타내고 있다. 결국, 각 정점군의 점토 함량의 차이 및 세립한 입도와 높은 유기물 함량. 그리고 빈산소 수괴의 출현은 영산강 하구역에서 저서동물의 공간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징적인 환경요인이라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