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Resolution Seismic Characteristics of the Holocene Mud Deposits in the Southeast Innershelf, Korea

한국 남동 내대륙붕해역의 홀로세 뻘질 퇴적층의 고해상도 탄성파 특성

  • Choi, Dpng-Lim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Oh, Jae-Kyung (Dept.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Lee, Chi-Won (Petroleum and Marine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
  • Woo, Han-Jun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최동림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질연구부) ;
  • 오재경 (인하대학교 해양학과) ;
  • 이치원 (한국자원연구소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 우한준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질연구부)
  • Published : 1997.03.30

Abstract

The Holocene mud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innershelf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studied using the shallow seismic reflection profiles coupled with sediment sampling. The Holocene mud deposits are developed as a belt in the innershelf area from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to off Pohang along the coastline. The surficial sediments in the study area gradually become finer and well sorted from south to north. The seismic facies in the Holocene sequence change northward from parallel reflectors in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and northeastward prograding reflectors in the southern part off Ulsan to transparent layer in the nearshore off Ulsan to Pohang. The regional difference of seismic facies indicates that the Holocene sediment characters are varied with localities. By combining the surficial sediments properties with seismic facies patterns, the suspended sediments mostly supplied from the Nakdong River may be transported northward along the shore by the north-flowing Tsushima warm current. The Holocene mud sequence overlying the ravinement surface which is produced by erosion of underlying sediments during a rapid transgress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stand system tracts probably formed during the highstand of sea level similar to the present-day sea level.

천부 탄성파 단면도와 해저 퇴적물 자료들을 이용하여 한반도 남동 내대륙붕 해역에 분포하는 홀로세 뻘질 퇴적물의 발달양상을 분석하였다. 홀로세 뻘질 퇴적물은 낙동강하구해역부터 해안을 따라 북쪽의 포항해역까지 대상으로 내대륙붕해역에 발달하였다. 연구해역 표층퇴적물은 남쪽에서 북쪽해역으로 가면서 서서히 세립화되고 또한 분급도가 양호해진다. 고해상도 탄성파 퇴적상은 낙동강 하구역의 평행한 내부 반사층리, 울산 남쪽해역의 북동향을 향하는 전진형 반사층리, 그리고 울산 북쪽에서부터 포항까지의 해역은 투명한 퇴적상으로 변하면서 발달하였다. 퇴적상의 지역적 차이는 홀로세 퇴적물 특성이 지역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해저퇴적물 분포특징과 탄성파 퇴적상 발달양상으로부터 낙동강에서 공급된 부유퇴적물이 주로 북향의 대마난류에 의해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진적으로 조립질에서 세립질화되고 분급화되는 퇴적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홀로세 뻘질 퇴적층은 빠른 해침과정에 의해 형성된 평탄한 침식면위에 현재의 해수준과 유사한 고해수준기 동안 형성된 고해수준 퇴적체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