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지방류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표지방류에 적합한 표지표 연구

  • 오택윤;김주일;백철인;손호선;고정락;차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79-280
    • /
    • 2002
  • 우리나라에서는 연안어장의 수산자원을 증강시키기 위해 매년 인공종묘 넙치 치어방류를 실시하지만 이에 대한 효과조사가 미미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넙치치어에 적합한 표지표를 찾고자 본 연구에서는 여러종류 표지표를 사용하여 시험어에게 표지표를 표지하여 표지어의 생존을, 표지표 부착을 그리고 표지어의 성장등을 검토하여, 재포시 어업인의 눈에 쉽게 표지어가 발견되고, 표지어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높은 표지표 부착율을 유지하면서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은 표지표를 찾고자 한다. (중략)

  • PDF

염색 표지 방류를 이용한 제주 천제연 하구 실뱀장어 자원량, 가입량 및 소상량 추정

  • 황선완;황선도;이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89-290
    • /
    • 2003
  • 제주도의 하구역에는 12월에서 5월 사이 실뱀장어가 나타나며, 주로 1월에서 3월 사이 나타난다. 2003년 3월 및 4월 초 제주 천제연 하구에서 주 소상시기인 그믐 전후 족대를 이용하여 실뱀장어를 잡아 표지 방류하여 자원량 및 가입률을 추정하였다. 피부 착색용 중성염료는 부착용 표지 방류가 어려운 자치어를 비롯한 소형어류 표지로 이용되어진다. (중략)

  • PDF

장기선 음향텔레메트리에 의한 어류행동 추적 시스템의 측위정도

  • 태종완;신현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2-73
    • /
    • 2003
  • 최근들어 인공어초의 경우 그것을 투입한 후 그 효과에 대한 문제가 많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어초는 연안어장에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대상 수산물 보호,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어장 시설물이다. 인공어초를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조사하는 수단인 자망에 의한 어획실험, 장수조사, 표지방류 등이 있다. 하지만, 자망은 어초에 대한 어류의 직접적인 반응을 알기 어렵고 잠수조사는 시간의 제약성, 그리고 표지방류에 의한 방법은 재어획이 이루어져야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염색 표지 방류 방법을 이용한 제주 천제연 하구 실뱀장어 자원량 추정

  • 문형태;이태원;황선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06-406
    • /
    • 2001
  • 피부 착색용 중성염료는 부착용 표지 방류가 어려운 자치어를 비롯한 소형어류 표지로 이용되어진다. 이 용도로 널리 이용되어지는 Neutral Red, Bismarck brown, Acridine orange, Sudan black과 Toludine blue로 실험실에서 실뱀장어를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Sudan black은 염색이 되지 않았고, Toludine blue는 머리 부분만 염색되었으나 수 시간 내에 탈색 되었다. Acridine orange는 1/50,000 농도에 노출하였을 때 24시간 후 100%가 사망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Stocking and Laboratory Rearing i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Tagging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표식개체의 실내사육 및 방류효과)

  • Kang, Kyoung-Ho;Wi, Chong-Hwan;Kim, Kwang-Soo
    • Journal of Aquaculture
    • /
    • v.9 no.2
    • /
    • pp.109-115
    • /
    • 1996
  • Tagging method, recapture frequencies and mortalities were investiga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release technique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Tagged and untagged H. discus hannai were reared for 90 days in the laboratory. Attachment of plastic piece by Alteco was used as tag material. The growth, mortality and falling rate of tags were examined. Data from stock in natural condition showed that fishing rate, fishing mortality and natural mortality of tagged group were 0.04, 0.0195 and 0.4652, respectively.

  • PDF

Laboratory Tagging Experiment of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A. Agassiz)의 실내 표지방류 실험)

  • HUR Sung-Bum;YOO Sung-Kyoo;RHO Sum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8 no.4
    • /
    • pp.363-368
    • /
    • 1985
  • Tagged and untagged sea urchins, Hemi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were reared for 84 days in the laboratory, Vinyl tape and trapall paper were used as tag materials. The natural mortality, mortality by predation and shedding rate of tags of the tagged group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untagge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 of natural mortality between tagged and control groups were very significative, howev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tagged groups was insignificative. No effect of tag attachment seems to be present at the point of natural predation by starfish, and $x^2-test$ between two the tagged groups on the loss rate of tags showed also insignificance. The mortality shortly after tagging seems to be negligible, and the distinct decreasing effect on growth due to tag attachment was not revealed because of insufficient individuals and rearing periods.

  • PDF

장기선 음향텔레베트리에 의한 통영해역에서의 조피볼락의 이동범위 측정

  • 신현옥;태종완;명정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74-75
    • /
    • 2003
  • 인공어초를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조사하는 수단으로는 자망 등에 의한 어획실험, 잠수조사, 표지방류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이동중인 어류의 생태를 파악하는데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이동 중인 어류에 초음파 핑거를 부착해 추적하는 방법이 어류의 생태 조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영바다목장에 방류한 어류의 이동범위 및 일주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기선 음향텔레베트리 기법을 사용하여 2003년 3월 20일부터 3월 26일까지 통영바다목장 해역에서 실험을 행하였다. (중략)

  • PDF

초소형 자기 어류 표지에 의한 치어의 방류 효과 조사

  • 유진형;황두진;윤양호;서호영;고현정;손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4-355
    • /
    • 2001
  • 국내 수산자원은 어선세력의 증가와 어획기술의 발전에 의한 어획합력, 연안역 개발에 의한 산란 성육장의 축소 등으로 1970년대 이후로 자원감소의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효율적 자원조성을 위한 방안으로서 치어방류 사업이 근년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1999년에는 약 2,300만 마리의 치어방류를 하고 있으며, 방류효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조사 보고 되고 있다 (Sung, 1998). (중략)

  • PDF